이엔드디(A101360) | Snapshot | 기업정보 | Company Guide
이엔드디 101360 | 홈페이지 홈페이지http://www.endss.com 전화번호 전화번호043-268-8588 | IR 담당자 02)2029-7031 주소 주소충북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409번길 37 KOSDAQ 코스닥 제조 코스닥 제�
comp.fnguide.com
- 새만금 공장 준공으로 전구체 생산 능력 대폭 확대 전망 등에 소폭 상승
28,600원(+2.14%) - 2025.03.12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월11일 CAMP2(새만금) 공장이 완공되어 준공식을 진행했다며,
CAMP2는 전북 새만금 산업단지 4.5만평 규모 부지에 약 2,000억원을 투자하여 전구체 약
3만톤 CAPA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힘.
이번 새만금 공장의 완공으로 인해 동사의 전구체 CAPA는 기존 5천톤(CAMP1, 청주)에서
3.5만톤으로 크게 증가했다고 설명.
▷CAMP2의 예상 가동률은 1Q 10%, 2Q 40%, 3Q 70%, 4Q 90%가 전망된다며, 동사의 BEP
가동률은 70% 수준으로 분기 기준 흑자는 3Q25부터 달성될 것으로 전망.
동사의 전구체향 발생 가능한 매출(출하량 90%, ASP $14/Kg, 환율 1,400원 가정)은 5천톤
기준 882억원, 3.5만톤 기준 6,174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
▷아울러 동사는 2030년 기준 전구체 CAPA 10.5만톤을 목표하고 있다며, 10.5만톤의 발생
가능한 매출은 약 1조8,522억원 수준으로 2024년 매출액의 약 18배 이상 수준을 달성
가능할 것으로 분석.
- 전구체 사업 현황 점검, 연내 흑자 전환 구체화 Not Rated 현재주가(7.2) 53,400원 -
하나대투 - 2024.07.03 2013년 0월 0일 (hanaw.com)
- 빨라지는 증설 속도, 실적에 반영 중 Not Rated 현재주가(6.4) 38,900원 -
하나대투 - 2024.06.05 2013년 0월 0일 (hanaw.com)
- 유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에 상승 38,900원(+5.42%) - 2024.06.04
▷전일 장 마감 후 유상증자로 인한 권리락 효과가 금일 발생한다고 공시.
기준가격은 36,900원임.
- NCM 전구체 공급 계약 체결, 리레이팅 가능한 시점 Not Rated 현재주가(1.12(유지) )29,600원 -
하나대투 - 2024.01.15 2013년 0월 0일 (hanaw.com)
- 전구체 사업 기반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41,500원(+4.14%) - 2023.07.25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2년 하반기 소입경 전구체 생산 Capa를 기존 1천톤에서
5천톤으로 증설을 완료했으며, 시운전까지 마쳤다고 언급.
또한, 지난 6월 새만금에 4.5만평 부지를 확보, 2025년까지 2.5만톤의 전구체 생산 Capa를
확보할 준비를 마쳤다며, 연내 본계약 성사 시 2023년 초도 양산 물량,
2024년 생산 계획, 2025년까지의 증설 스케쥴, 2만톤 증설 이후 새만금 부지 활용 방안 등 중장기
로드맵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아울러 2023년 매출액 733억원(+21.2% YoY), 영업이익 18억원(-21.1% YoY)을 전망.
이와 관련, 촉매 시스템 부문의 실적이 저조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글로벌 U사와 연내 본계약을
체결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포인트라고 언급. 이에 올해 내로 전구체 생산을 개시하고,
2024년부터 전구체 사업을 기반으로 본격적인 성장을 전망한다고 밝힘.
- 새만금 전구체 증설 본격화, 2차전지 매출 기대 Not Rated 현재주가(6.9) 41,500원 -
하나대투 - 2023.06.12 2013년 0월 0일 (hanaw.com)
- 2차전지 전구체 매출 본격화 기대감 등에 급등 37,900원 (+25.50%) - 2023.03.15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2차전지 전구체 매출 본격화가 기대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현재 5천톤 규모의 CAPA 완공 및 시운전을 완료하였으며 제2공장에 2만톤을 추가
증설 중으로 2025년 2.5만톤 이상의 CAPA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
전구체 판가 2만원/kg 기준 2025년 연환산 매출액 5,000억원 수준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판단.
▷이에 동사의 올해 매출액은 1,351억원(+123.3%, YoY), 영업이익은 108억원(+201.2%,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기존 촉매 사업은 전년과 동일하게 견조한 Cash Cow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3년 하반기 공장 가동으로 2차전지 전구체 실적 반영이 시작되는 가운데,
향후 고객사 증설과 CRMA 수혜가 지속될 것으로 분석.
- CRMA 발표 임박, 2차전지 전구체 매출 본격화 기대 Not Rated CP(3월14일): 30,200원 -
하나대투 - 2023.03.15 2013년 0월 0일 (hanaw.com)
- 소입경 전구체 장인 Not Rated 현재가 (11/25) 29,750원 -
IBK투자 - 2022.11.25 analysis.downpdf (hankyung.com)
- 2차전지 실적의 급성장, EU 원자재법 수혜 가능성까지 Not Rated CP(9월02일): 27,950원 -
하나대투 - 2022.09.05 2013년 0월 0일 (hanaw.com)
- 소입경 전구체 출격 대기중 Not Rated 현재가 (5/11) 27,150원 -
IBK투자 - 2022.05.12 analysis.downpdf (hankyung.com)
- 소입경 전구체 매출 본격 반영될 2022 Not Rated 현재가 (12/28) 30,000원 -
IBK투자 - 2021.12.29 20211227154006800_ko.pdf
- 2차전지 산업과 궤를 같이 할 기업 Not Rated 현재가 (6/29) 27,800원 -
IBK투자 - 2021.06.30 20210630131638253_ko.pdf
- 올해부터 2차전지 부문 본격적인 실적 성장 전망 등에 상승 - 2021.02.15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2차전지 전구체 생산능력 증설로 올해 하반기부터 2차전지
부문의 본격적인 실적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
이에 따른 전구체 예상 매출액은 21년 276억원, 22년 1,116억원 기록할 것으로 분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77,000원[유지]
▷아울러 시설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키움증권 주식회사 등 대상 3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39,869원, 전환청구일:2022-02-17 ~ 2026-01-17) 공시.
- 견조한 본업 + 신규 모멘텀 가시화로 2021년 최대실적 예상 BUY TP(12M): 53,300원(상향)
현재주가(2월03일): 40,550원 - 하나대투 - 2021.02.04
www.hanaw.com/download/research/FileServer/WEB/info/small_cap/2021/02/03/210204_ED_F.pdf
- 정부 친환경 정책 수혜 및 2차전지 전구체 사업 성장 기대감 등에 강세 40,150원 (+6.22%) - 2021.01.05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정부의 친환경 정책 수혜와 함께 2차전지 전구체 사업의 본격적인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에 따른 정부 예산 증가 및 지난해 9월 2,000억원 규모
추경 편성 반영 등으로 촉매시스템 사업은 높은 실적 성장을 지속할 것이며, 올해 하반기부터 글로벌 주요
고객을 중심으로 2차전지 양극활물질 전구체의 본격적인 공급이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
- 그린뉴딜 + 미세먼지 + 소재 국산화 = 두 배씩 성장하는 매출액 BUY I TP(12M): 36,100원
CP(10월20일): 24,100원 - 하나대투 - 2020.10.21 www.hanaw.com/download/research/FileServer/WEB/info/small_cap/2020/10/21/201021_ED_0.pdf
- 복합전구체 세정 장치/방법 관련 특허권 취득에 상승 25,000원 (+5.26%) - 2020.10.08
▷동사는 니켈-코발트-망간 복합전구체의 세정 장치 및 방법 관련 특허권을 취득했다고 공시.
본 발명은 니켈-코발트-망간 복합전구체의 제조과정 중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과정에서 복합전구체의
세정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치에 관한 특허로 제품 생산공정에 적용함으로써 당사의 생산원가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설명.
- 그린뉴딜과 소재 국산화의 조합 Not Rated 현재주가 (9.28) 22,400원 - 메리츠증권 - 2020.09.29
- 우리나라 미세먼지 저감 정책의 중심 Not Rated 주가(20/09/09) 26,600 원 -SK증권 - 2020.09.10
- 친환경 및 2 차전지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초 소재 전문 기업
- 그린뉴딜 사업 일환으로 미세먼지 농도 줄이기 추진 , 2021 년에도 관련 예산 증액
- 매연 및 미세먼지 저감 촉매시스템 촉매 등 제조하는 환경사업부문 안정적 성장 중
- 2 차전지 양극활물질 전구체 , 국내외 관련 기업들 러브콜 이어져
- 친환경 차량에 탑재되는 2 차전지 수요 증가함에 따라 전구체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가
국내 촉매 소재 대표 기업
이엔드디는 친환경 및 2차전지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초 소재 전문 기업이다. 사업부문은 매연 및 미세먼지
저감 촉매시스템/촉매 등을 제조하는 환경사업부문과 2차전지 양극활물질 전구체를 제조/판매하는 2차전지
소재부문으로 구분된다.
2020 년 1 분기 기준 매출 비중은 촉매시스템 64.3%, 촉매 31.4%, 기타 4.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린뉴딜의 기본 - 미세먼지 저감 정책 수혜주
미세먼지 절감을 위한 정부 정책 기조는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에 맞춰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 사업 등을 단계별로 추진 중이지만, 탄소 중립 사회 실현을 위한 그린뉴딜 사업의
일환으로 미세먼지 농도 줄이기에 힘을 싣는 모습이다. 2019년 미세먼지 관리를 위한 2,000억원 규모 추경을
진행(9월)했지만 예산을 충분히 소진하지 못했고, 올해는 충분한 예산 소진과 함께 내년에는 예산의 증액
(2021년 예산안 기준)도 기대되는 상황이다. 촉매시스템 사업부의 안정적인 매출 성장을 예상하는 이유다.
여기에 노후 건설기계 엔진 교체 사업 부문 및 애프터마켓(After Market) 교체용 촉매를 활용한 B2C 시장
진출 등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국내외 러브콜 이어지는 2차전지 전구체
전기차용 2차전지 양극활물질 전구체 사업부문도 순항 중이다. 전구체 소재를 자체 개발함에 따라 전지 구성
성분에 따른 고객 맞춤형 전구체 제조가 가능하다. 특히 전구체 소립자의 자체 생산이 가능한 국내 유일
기업으로, 다수의 국내외 2차전지 관련 기업들로부터 러브콜을 받고 있다. 친환경 차량에 탑재되는 2차전지
수요가 증가하는 만큼 동사의 양극활물질 전구체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안정적인 실적 성장 속에 2차전지 사업 진출 수혜 NR 현재주가 (8/11) 30,950원 -
유진투자 - 2020.08.12
2020년 기준 PER 18.3배 수준으로 동종업체대비 할인되어 거래 중
현재주가는 2020년 실적기준 PER 18.3배로 국내 동종업체(세종공업, 에코프로 등)의 평균
PER 25.5배 대비 할인되어 거래 중 / 공모가(14,400원)는 높은 기관수요예측 경쟁률
(1,168.7:1)을 보이며 공모가 밴드(12,350~14,400원)의 상단에 형성되었음.
일반청약경쟁률도 808.6:1로 높았음
상장 첫날 시초가는 공모가대비 26.4% 상승한 18,200원에 시작되었고, 종가는 시초가에서
소폭 상승한 21,000원으로 마감하면서 상승세를 보였음
기초핵심소재 기반의 환경 및 2차전지 소재 및 시스템 연구개발 전문기업
2004년 법인 설립. 2013년 7월에 코넥스 시장 상장. 2008년부터 촉매 및 촉매시스템 사업 시작.
2008년 2차전지 사업 시작. 2020년 7월 30일 코스닥 이전 상장함
투자포인트 두 가지
1) 정부의 미세먼지 환경 규제 강화로 매출 증가 전망: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과 예산 지속성
확보로 안정적인 성장 전망.
①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에 따른 정부 예산 증가, 지난해 9월 2,000억원 규모 추경 편성
반영 등으로 촉매시스템 사업은 높은 실적 성장 지속 전망.
② 9개사 약 100여개 모델 OEM 공급 실적 보유.
글로벌 16개국 대상 100여개 프로젝트 진행 증으로 안정적 성장 지속 전망.
③ 2019년 하반기 노후 건설기계 엔진교체 적격사업자로 선정으로 올해 이후 매출
확대될 것으로 전망
2) 2차전지 양극활물질 전구체 사업 본격 성장 전망: 올해 하반기부터 글로벌 주요 고객을
중심으로 본격 공급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2021년 상반기에 2차전지 생산 증설계획도 추진, 2021년에 본격적인 실적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됨
'운수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OQP 078590 (0) | 2020.10.10 |
---|---|
영화테크 265560 (0) | 2020.09.16 |
동아화성 041930 (0) | 2020.07.16 |
에코캡 128540 (0) | 2020.06.30 |
나노 187790 (0) | 2018.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