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기계

앱트뉴로사이언스 270520 ---->지오릿에너지-->지엔원에너지

썬필이 2020. 11. 2. 10:53

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27052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지엔원에너지(A270520) | Snapshot | 기업정보 | Company Guide

지엔원에너지 270520 | 홈페이지 홈페이지 전화번호 전화번호02-3771-3423 | IR 담당자 주소 주소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학의로 268 809호(관양동, 안양메가벨리) KOSDAQ  코스닥 기타

comp.fnguide.com

- 희귀 유전질환 볼프람증후군 펩타이드 치료제 개발 소식에 상승 
  1,200원(+4.44%)  - 2025.04.10
  ▷동사는 언론을 통해 뇌질환치료제 개발을 이끌고 있는 정종경 사장이 세계 최초로 
  볼프람증후군(Wolfram syndrome)의 근본 원인을 겨냥한 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해 특허를 
  출원하고, 생명과학분야 글로벌 저명 학술지 엠보리포트(EMBO Report)에 논문을 
  발표했다고 밝힘. 지난 9일 발표된 정종경 사장의 논문에 의하면 볼프람증후군의 두 원인 
  유전자인 WFS1, CISD2가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며, 두 유전자 중에 하나가 문제가 생겼을 때 
  다른 유전자의 작용을 강화하면 질병이 치료된다는 것으로 전해짐. 
  ▷정종경 사장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CISD2 서열에서 유래한 펩타이드 치료제를 고안했으며, 
  이번에 논문 발표와 더불어 특허를 출원한 치료제의 특징은 펩타이드를 기반으로 한다는 
  것으로 펩타이드의 서열을 활용한 DNA 치료제, mRNA 백신, AAV를 활용한 유전자 치료제에 
  대한 권리까지 명시돼 있는 것으로 알려짐. 
- 폐수에서 리튬추출 첫 파트너로 글로벌 기업 낙점 소식에 상승 2,805원(+3.31%)  - 2024.04.02
  ▷일부 언론에 따르면, 리튬 폐수에서 리튬직접추출(DLE) 사업을 추진 중인 동사가 글로벌 
  이차전지 소재 기업을 첫번째 파일럿 플랜트 설치기업으로 확정한 것으로 전해짐. 
  동사는 충청남도 소재의 글로벌 이차전지 소재 기업에 DLE 기술을 적용한 파일럿 플랜트를 
  설치한 뒤 실증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회사는 두 차례에 걸쳐 각각 고농도, 저농도의 
  리튬폐수에서 리튬 추출 작업을 진행한 상태라고 밝힘.
  ▷1차 고농도 리튬 폐수 테스트는 880ppm의 리튬농도를 함유하고 있는 리튬폐수를 
  8800ppm까지 농축시켰고, 2차 저농도 리튬 폐수 테스트는 220ppm의 리튬폐수를 
  5400ppm까지 농축시키는데 성공했다고 밝힘. 
  두 농축액 모두 최종 리튬 회수율 95%를 보였으며, 정확한 테스트 결과와 관련해 외부 공인 
  기관에 평가를 의뢰한 상태라고 언급.▷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관계사인 엑스트라릿의 
  기술이 리튬 농도에 관계없이 광범위한 범위의 폐수에서 리튬을 추출할 수 있는 우수한 
  기술임을 입증했다"며, "외부기관의 평가 결과가 나오는대로 관련 제조업체들과 공유할 계획"
- 엑스트라릿, 배터리 등급 리튬 추출 글로벌 테스트 실시 소식에 급등 
  12,840원(+9.28%) - 2023.06.23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4월 지분을 취득한 이스라엘의 엑스트라릿이 하반기 중 이스라엘, 
  요르단, 터키, 캐나다, 미국 등에서 파일럿 플랜트테스트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힘. 
  계획은 5~10kg의 배터리 등급의 탄산 리튬을 제조하는 능력 시연이 포함됐음.
  ▷엑스트라릿은 지난 4월 이스라엘 에너지부로부터 직접리튬추출(DLE) 기술을 인정받아 100만 
  달러의 보조금을 지원 받았으며, 보조금은 오는 9월 가동을 목표로 이스라엘 사해에 설치되는 
  파일럿 플랜트 건설에 사용될 예정. 
  또한, 오는 7월 요르단 마그네시아 지역의 파일럿 플랜트도 가동될 예정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현재 미국 지열발전소 인수를 위해 실사를 진행 중"이라며, 
  "지열발전소 인수가 완료되면 엑스트라릿 기술을 적용한 파일럿 플랜트를 운영할 예정"
  ▷한편, 동사는 지난 4월 리튬사업 전략적 제휴를 통한 사업확장을 목적으로 XtraLit Ltd. 
  주식 750,000주를 194.31억원에 신규 취득키로 결정한 바 있음. 
  취득후 지분비율은 29.88%임. 
- 지열냉난방시스템 및 연료전지 설계, 시공 기술력 보유 현재가(원) 13,970 -
  NICE평가정보 - 2023.05.19 1684451154232.pdf (pstatic.net)
- 바이오가스법 하위법령안 입법예고 소식 속 관련주로 부각되며 상한가 - 2023.04.28
  ▷전일 언론에 따르면, 정부가 하수찌꺼기, 가축분뇨 등유기성 폐자원의 재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일정 규모 이상을 배출·처리하는 공공과 민간에 바이오가스 생산목표를 
  할당할 것으로 알려짐. 
  공공 의무생산자의 경우 2025년 50%를 시작으로, 2045년부터는 80% 생산목표율이 부여되고, 
  민간 의무생산자는 2026년 10%를 시작으로, 2050년부터 80%가 부여될 것으로 전해짐. 
  환경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가스의 생산 및 이용 촉진법'
  (바이오가스법) 하위법령안을 오는 28일부터 6월9일까지 입법예고할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바이오가스 발전사업을 영위중인 지엔씨에너지와 바이오가스를 기반한 
  신재생에너지(전기, 가스, 수소)와 바이오황 관련 사업을 추진중인 에코바이오가 시장에서 부각.
  [종목]: 지엔씨에너지, 에코바이오
- 저농도 염수 개발 기술 확보 기대감 등에 급등 18,020원 (+11.37%) - 2023.04.17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최근 지분 투자로 최대주주가 된 엑스트라릿(Xtralit)과 고효율 리튬 
  추출 신기술의 상용화를 공동으로 추진한다고 전해짐. 사이먼 린치 엑스트라릿 대표는 이날 
  서울 삼성동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보유한 리튬직접추출(DLE) 기술로 약 20여곳의 염수를 
  테스트 중으로 올해 연말까지 최소 5대의 파일럿 플랜트를 운영할 계획이라며, "엑스트라릿은 
  저농도의 염수에서 리튬을 추출할 수 있는 유일한 기업"이라고 밝힘.
  ▷한편, 사이먼 린치 대표는 오는 18일 열리는 동사의 임시주총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찾은 
  가운데, 동사는 지난 6일 194억원을 투자해 엑스트라릿의 지분 29.88%를 취득, 단일 주주 
  기준 최대주주에 올랐음. 
  린치 대표는 임시주총에서 사내 이사로 선임돼 미국 유타주 그레이트 솔트 호수의 리튬 추출 
  사업을 이끌 예정임.
  ▷이 같은 소식 속 동사의 최대주주인 엔투텍도 시장에서 부각.
- 이스라엘 엑스트라릿 투자 완료 소식 등에 급등 20,000원 (+22.17%) - 2023.04.07
  ▷동사는 언론을 통해 리튬직접추출(DLE) 사업을 하는 이스라엘 엑스트라릿(Xtralit)에 
  1,500만 달러(194억원)의 투자를 완료했다고 밝힘. 유상증자 참여를 통한 신주 취득으로 투자 후 
  지분율은 29.88%, 단일 투자자 기준 최대주주에 올랐다고 언급. 
  이어 이번 지분 취득과 함께 흡착제에 대한 국내 독점 판매권도 확보했다며, 이는 동사가 미국에 
  추진 중인 리튬직접추출 파일럿 플랜트 건설 외에도 다른 기업들과 협업 가능성을 
  고려한 것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미국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기업들이 해외 
  염호를 확보해 리튬 추출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번 투자는 한국에 본사를 둔 기업이 엑스트라릿 
  기술을 이용해 염호에서 리튬 추출을 진행하려고 한다면 반드시 동사와 리튬 추출에 필요한 
  흡착제 공급계약을 맺어야 한다"고 밝힘.
  ▷한편, 동사의 최대주주인 엔투텍도 시장에서 부각.
- 美 염호 인수자금 추가 확보 등에 상한가 17,320원 (+29.93%) - 2023.04.05
  ▷전일 장 마감 후 기타자금 확보 목적으로 스왈로 투자조합 대상 1,234,567주(9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8,100원, 상장예정:2023-05-25) 공시.
  ▷이와 관련, 동사는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신규염호 확보에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힘. 
  동사 관계자는 "IRA의 세부지침에 맞춰 미국 염호 인수, 리튬 생산시설 구축에 집중할 방침"
  이라며 "리튬 조달처가 호주, 칠레로 확대되고 있지만, 미국산 리튬의 중요도가 높아질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힘. 
  이어 "기존 인적 네트워크를 이용해 신규 염호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덧붙임.
  ▷이 같은 소식 속 동사의 최대주주인 엔투텍도 시장에서 부각
- 리튬추출 기업 XtraLit Ltd. 최대주주 등극 예정 등에 상한가 13,330원 (+29.92%) - 2023.04 04
  ▷전일 장 마감 후 리튬사업 전략적 제휴를 통한 사업확장 목적으로 XtraLit Ltd. 
  주식 750,000주를 194.31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29.88%, 
  취득예정일:2023-04-06) 공시.
  ▷아울러 기타자금 확보 목적으로 XtraLit Ltd. 대상 832,519주(64.76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7,780원, 상장예정:2023-05-25) 공시.
  ▷이와 관련, 동사는 미국, 아르헨티나, 요르단, 터키 등에서 리튬직접추출(DLE) 사업을 
  진행 중인 XtraLit Ltd.의 지분 취득으로 최대주주에 등극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동사가 상한가를 기록, 최대주주인 엔투텍도 동반 상한가를 기록.
- 업황 반전을 기다리는 시점 Not Rated I CP(12월23일): 3,965원 - 
  하나대투 - 2022.12.26 2013년 0월 0일 (hanaw.com)
- 쉬어가는 구간 Not Rated CP(6월10일): 3,090원 -
  하나대투 - 2022.06.13 2013년 0월 0일 (hanaw.com)
- 쉬어가는 2021년, 기대되는 2022년 Not Rated CP(12월22일): 2,665원 -
  하나대투 - 2021.12.23 2013년 0월 0일 (hanaw.com)
- 신재생에너지 시장 성장의 구조적 수혜 전망 Not Rated CP(6월23일): 4,700원 - 
  하나대투 - 2021.06.24 
https://www.hanaw.com/download/research/FileServer/WEB/info/small_cap/2021/06/23/GNO_vF_0.pdf
- 신재생에너지 사업분야 확대로 그린뉴딜 수혜 기대 Not Rated I CP(12월22일): 2,430원 -
  하나대투 - 2020.12.23 
www.hanaw.com/download/research/FileServer/WEB/info/small_cap/2020/12/22/201222_GNEONE.pdf
- 본격화될 그린 뉴딜 수혜 기업 Not Rated 현재가 (11/06) 2,695원 - IBK투자 - 2020.11.10
 - 동사는 2002 년 설립되어 2006 년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으로 선정된 후 14 년간 지열냉난방
   시스템을 개발 발전시킴
 - 현재는 국내 지열 냉난방 시스템 M/S 1 위 기업으로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수열을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을 개발함
 - 동사가 공급하는 지열 수열 냉난방 시스템은 365 일 24 시간 사용 가능해 투자비 회수기간이 
   짧고 설치에 특별한 제약이 없어 국내 그린뉴딜 정책과 높은 시너지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됨
 - 정부는 국내 공공기관의 재생에너지 의무사용 비율을 2012 년 10% 에서 2020 년 30% 까지 
   상향시켜 공공기관 건축물의 신재생에너지 사용량은 점차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 동사는 수자원공사 환경부와 함께 수열에너지 활용 단지 클러스터를 춘천과 아라뱃길에 
   조성할 계획을 보유하고 있어 그린뉴딜 정책 확대에 따른 수혜가 기대됨
 - 모회사인 지엔씨에너지와 비상 발전기 수소연료 에너지사업과 지 수열 냉난방 시스템을 
   연계하는 프로젝트도 추진 가능 할 것으로 전망되어 귀추가 주목됨
- 태동기인 국내 수열에너지 산업을 이끌어 나갈 선두기업! Not Rated 주가(20/10/30) 2,495 원 -
   SK증권 - 2020.11.02
  - 국내 1 위의 수열·지열냉난방시스템 전문기업
  - 태동기인 국내 수열에너지 산업은 그린뉴딜 정책의 대표적인 육성 산업!
  - 지엔원에너지는 수열냉난방시스템을 적용시킨 국내 유일 기업
  - 국내 대표 대기업 등 민간에서도 수열냉난방시스템에 대한 관심 높은 상황
  - 2020E 매출액 325 억원(-9% YoY), 영업이익 15 억원(-53% YoY )으로 전망
  국내 1 위의 수열·지열 냉난방시스템 전문기업
  신재생에너지로 분류되는 지열·수열냉난방시스템 국내 1 위 기업이다.
  지열냉난방시스템이란 냉난방을 결합한 공조시스템인 히트펌프를 활용해 지하 200m 깊이의 
  연중 평균온도 15℃를 열교환 형식으로 활용하는 시스템이다.
  그동안 해당 기술을 바탕으로 잠실 제 2 롯데타워,서울시 신청사 등 주요 랜드마크에 
  시스템을 제공해 왔다.
  매출비중(1H20 기준)은 지열냉난방시스템 77.4%, 연료전지 5%, 기타 17.6% 이다.
  수열에너지 산업, 그린뉴딜 정책의 직접적인 수혜 예상
  수열에너지란 댐 또는 하천의 냉수를 이용해 건축물의 냉난방시스템에 이용하는 에너지이다. 
  수열에너지 사업은 지열냉난방시스템 대비 훨씬 더 규모가 큰 사업으로써 우리 환경부는 
  이미 지난 6 월말 그린뉴딜의 대표사업으로 A2 형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환경부는 우선 2027 년까지 소양강댐을 활용해 강원도 춘천에 ‘수열에너지 융복합 클러스터’를 
  조성했으며,‘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인천 종합환경연구단지’ 등에 수열에너지 시범공급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동사는 이미 수열냉난방시스템을 적용시킨 국내 최초 및 유일한 사례인 잠실 제 2 롯데타워 
  건축시 해당 프로젝트를 수행한바 있다.
  따라서, 향후 정부 및 공공기관 주도의 대형 프로젝트 시행에서 매우 유리한 위치에 있다.
  또한, 최근에는 민간에서도 수열냉난방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국내 대표 대기업 및 종합병원 등에서 신규 공장 건축 및 리모델링시 수열냉난방시스템에 대한 
  상당한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므로 수열에너지 국내 대표 기업인 동사의 직접적인 
  수혜를 전망한다. 
  참고로 동사는 지난 9 월말에 그린뉴딜‘유망혁신기업(수열에너지부문)’으로 선정된 바 있다.

자료 : 지엔원에너지, SK 증권

'조선·기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라사이언스 073640  (0) 2021.01.05
에쎈테크 043340  (0) 2020.11.30
케이프 064820  (0) 2020.10.10
이엠코리아 095190  (0) 2020.10.08
메디콕스054180  (0) 2020.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