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 상감기법
분청사기의 상감기법은 고려청자의 상감기법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문양을 나타내고 싶은 곳에 백토(白土)나 자토(赭土, 구우면 검은색으로 나타난다)를 넣은 것이 상감의
기본적인 기법이다.
분청사기에는 이런 기본적인 상감기법은 물론 고려의 상감기법에서 나오는 역상감이나 면(面)상감 등의
기법이 고루 사용되고 있다.
고려 시대에 사용된 상감 기법과 조선시대의 분청사기에 보이는 상감기법 사이에 보이는 큰 차이는
후자가 대범하고 매우 자연스럽다게 표현돼 있다는 점에 있다.
- 스마트K에서
'도자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운 정호다완 :木人 作(造)" (0) | 2018.03.19 |
---|---|
분청사기 조화(彫花)기법 (0) | 2018.03.16 |
분청사기 박지기법 (0) | 2018.03.16 |
분청사기 인화기법 (0) | 2018.03.16 |
분청사기 흐름 (0) | 2018.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