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기술(A032820) | Snapshot | 기업정보 | Company Guide
우리기술 032820 | 홈페이지 홈페이지http://www.wooritg.com 전화번호 전화번호02-2102-5100 | IR 담당자 02)2102-5112 주소 주소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56길 9, 4층(상암동, 우리기술빌딩)
comp.fnguide.com
- 정부 주도 SMR 개발 참여 소식에 상승 2,070원(+3.50%) - 2024.05.22
▷동사는 언론을 통해 '혁신형소형모듈원자로기술개발사업단'과 '모듈형원자로 MMIS
안전계통 표준 플랫폼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i-SMR 기술개발사업은 오는 2028년까지 경제성·안정성·유연성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춘
i-SMR을 개발한 후 표준설계인가 취득을 골자로 한다며, 동사는 국책과제를 통해 SMR에
적용되는 원전 제어계측시스템(MMIS) 모듈을 신규 개발할 예정이라고 설명.
▷원전 독점 기술을 바탕으로 스마트(SMART)원전 사업, 'SMR얼라이언스' 등 SMR 개발에도
지속 참여해 오고 있다며, 동사는 MMIS 국내 독점 공급사이기 때문에 한국형 SMR 개발에
성공할 경우 수출 등에 수혜가 기대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AI 확산으로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 각국이 SMR 상용화에나서고 있다"며 "국내 독점적 MMIS 기술
보유기업으로서 차세대 SMR용 MMIS 표준을 개발해 SMR 상용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힘.
- 원전·방산·철도 사업 수혜주 분석 등에 상승 1,442원(+5.64%) - 2024.04.24
▷한국IR협의회는 동사에 대해 독보적인 제어계측 기술로 원자력, 방산, 철도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며, 이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고 언급. 이와 관련, 원자력 발전소 3대 핵심 기술인
계측제어설비(MMIS) 국산화에 성공해 국내 신한울 1~4호기, 신고리 5,6호기에 독점
공급했다고 언급. 2023년 사업부문별 매출 비중은 시스템(원자력) 38%, 방산 33%,
SOC(철도) 23%, 기타 6%로 구성되어 있다고 설명.▷아울러 올해 매출액은 전년대비 30.2%
증가한 823억원으로 안정적인 수주잔고(23Y 957억원)를 기반으로 주력 사업부별 실적 호조가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 올해 사업부별 매출액은 시스템(원전) 316억원(YoY +33%),
방산 267억원(YoY +27%), 철도 188억원(YoY +27%), 기타 52억원(YoY +44%)이며,
연간 영업이익률은 전년대비 4.5%p 개선된 15.1%를 기록할 것이라고 언급.
- K-원전, K-방산, K-철도 수혜주 현재주가 (4/19) 1,313원 -
한국IR협의회 - 2024.04.24 1713913715116.pdf (pstatic.net)
- 자회사 우리DS, 현대로템 신형 장갑차 적용 제품 개발 진행 소식에 강세
1,537원(+6.88%) - 2024.04.04
▷동사의 100% 자회사 우리디에스(우리DS)는 언론을 통해 현대로템의 신형 차륜형 장갑차에
적용되는 휠 및 런플랫을 개발 중이라고 밝힘. 우리DS는 현대로템에 장갑차용 휠 및 런플랫을
독점 공급하고 있어 향후 신형 장갑차 해외 수출이 본격화될 경우 추가 수주가 기대된다고 설명.
▷우리DS 관계자는 “장갑차의 런플랫 관련 독보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핵심 고객사인
현대로템의 신형 장갑차에 적용될 신제품 개발을 진행 중”이라며, “고객사가 폴란드향 대규모
전차 납품에 이어 신형 장갑차도 수출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인 만큼 향후 우리DS의
휠및 런플랫 매출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힘. 이어 “신형 장갑차는 우수한 성능을
보유하고 있어 우크라이나 인근 국가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
폴란드를 시작으로 헝가리, 불가리아 등 동유럽 국가로 수출이 확대될 경우 추가 매출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음.
- 원전이 이끌고 방산 및 PSD가 민다 NR 종가(2024.03.22) 1,460원 -
하이투자 - 2024.03.25 1711324365570.pdf (pstatic.net)
- SMR 사업 수혜 기대감 등에 급등 1,477원(+10.97%) - 2024.03.12
▷메리츠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인공지능(AI) 기술이 발달하면서 전력 소모가 증가할 것이라며,
소형모듈원전(SMR)이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동사는 국내에서 실질적으로
SMR 사업 수혜를 볼 수 있는 종목이라며, 이익 기여도와 성장성 측면에서 원전이 확실한
주력사업부라며, 원전계측제어 시스템인 MMIS의 핵심부품인 DCS를 제작한다고 설명.
▷이어 국산화에 성공한 이후 신한울 1, 2, 3, 4호기, 새울 3, 4호기에 납품하고 있다며,
한국 i-SMR 사업에 참여한 18개 중소기업 가운데 하나라고 밝힘.
이에 올해와 내년 국산화 성과가 나타나며 원전 매출이 전년 대비 각각 30%, 34% 늘어날
것이라며, 이익은 각각 76%, 57% 증가할 것으로 전망. 또한, 2026년부터 성장 속도가 더욱
빨라질 수 있다며, 신한울 3, 4호기 부품 공급과 경상정비 매출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
- 31억원 규모 원전 예비품 공급 완료 소식 등에 상승 1,582원 (+3.06%) - 2023.05.02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해 8월 '한국수력원자력'과 체결한 31억원 규모의 신월성 1·2호기
(월성 3발) 'PMAS(Plant Monitoring & Annunciator System)' 예비품 공급계약에 따라 해당
제품공급을 완료했다고 밝힘.
동사의 올해 1분기 원전 사업부문의 누적 수주금액은 120억원으로 전년동기(90억원) 대비
45% 증가했으며, 여기에 최근 공급계약을 체결한 신한울 3·4호기를 포함할 경우 수주 증가세는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의 관계자는 "올해 수주 증가에 따른 원전사업부문의 매출은 전년 대비 30%
가량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와 별도로 폴란드와 체코에서 추진 중인 한국형
원전수출이 성공할 경우, 국내 유일의 원전제어시스템 공급 업체로서 향후 장기간에 걸친
안정적인 해외 매출도기대되는 상황"이라고 밝힘.
- 355.8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71.89%) 규모 공급계약(신한울 3,4 DCS 구매) 체결에 급등
1,810원 (+21.97%) - 2023.04.17
▷두산에너빌리티(주)와 355.8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71.89%) 규모 공급계약(신한울 3,4
DCS 구매) 체결(계약기간:2023-04-17~2027-12-31) 공시.
이와 관련, 동사가 정부의 원자력발전(원전) 지원 정책에 따라 신속하게 추진되는
신한울 3·4호기의 원전제어시스템 독점 공급자로 선정된 것으로 전해짐.
- 압해해상풍력 발전사업 추진 본격화 소식 등에 상승 1,434원 (+3.46%) - 2023.03.16
▷동사는 언론을 통해 ‘해상풍력 발전’ 관련 전문 기업들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압해해상풍력
발전사업’ 추진을 본격화한다고 밝힘. 자회사 씨지오, 압해해상풍력발전소(SPC)를 비롯해
TUV NORD, 세광종합기술단, 세일종합기술공사, 에디슨 전기 등이 대상.
▷동사 관계자는 "동사는 풍력발전에 자체 개발한 '발전 제어·모니터링 시스템'을 공급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업체"라며 "탁월한 제어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 원전 사업에 독점으로 '발전 제어·
모니터링 시스템' 공급해 왔으며 이를 기반으로 풍력발전에 적합한 시스템 개발에도
성공했다"고 설명.
▷아울러 동사는 총 3천억원 규모에 달하는 압해해상풍력 발전사업의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발전소 운영을 통해 연간 420억원의 수익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 융복합 수소충전 사업 진출 소식 등에 상승 1,386원 (+5.88%) - 2023.03.15
▷동사는 언론을 통해 한국가스공사·삼성물산·현대로템·우드사이드 등이 공동 출자한
합작법인인 '하이스테이션'에 25억원 규모의 지분투자를 지난해 말 단행해 올해 초부터 관련
기업들과 '융복합 수소 충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힘.
하이스테이션은 경남 통영시와 수소 교통복합기지 실시 협약을 맺고 '융복합 수소 충전소'를
구축하는 한편, 수소버스 전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하이스테이션의 융복합 수소충전 사업은 국토교통부의
수소교통복합기지 구축 사업과 연계가 가능하고 자자체와 협의를 통해 설비 구축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며, “충전소의 운영을 통해 안정적인 매출 확보도 가능하다”고 밝힘.
- 서울시 DMC 랜드마크 사업 재개 추진 속 인근 지역 빌딩 소유 사실 부각에 상승
1,420원(+3.27%) - 2023.02.14
▷일부 언론에 따르면, 롯데타워에 이어 서울의 100층 이상 초고층 사업으로 추진했던
디지털미디어시티 DMC) 랜드마크 사업이 재개될 것으로 전해짐.
서울시는 3월 4조원 규모의 DMC랜드마크 부지 공급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며, 7월에는
우선 협상 대상자를 선정하고 구체적인 사업 추진에 착수할 것으로 전해짐.
서울시는 3만7262㎡에 달하는 랜드마크 부지 공시지가가 현재 7,000억원에 육박하는 만큼
총 사업규모는 4조원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DMC랜드마크 인근에 우리기술빌딩을 소유하고 있는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 자회사 케이에스씨, 케이알씨, 차륜형 지휘소 개발 프로젝트 참여 소식에 급등
1,275원 (+9.44%) - 2021.02.05
▷이날 동사는 언론을 통해 방위산업을 영위하는 자회사 케이에스씨와 케이알씨가 육군의
AI기반 차세대 지상전투체계의 핵심인 차륜형 지휘소 차량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해 차량 내
공조시스템과 런플랫 타이어를 개발 및 공급한다고 밝힘.
▷동사 관계자는 차륜형 지휘소 차량은 2023년부터 초도납품을 시작해 2028년까지 700여대가
생산될 예정이라며, 냉난방 공조시스템과 런플랫 타이어는 차륜형 의무후송차량 등 다른
차량에도 도입이 가능해 지휘소 차량에 이어 후속 계열 차량들이 양산될 경우 추가 매출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
'조선·기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동 000490 (0) | 2022.02.24 |
---|---|
디와이 013570 (0) | 2022.01.20 |
레인보우로보틱스 277810 (0) | 2021.02.03 |
테라사이언스 073640 (0) | 2021.01.05 |
에쎈테크 043340 (0) | 2020.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