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산업 미디어

애니플러스 310200

썬필이 2021. 2. 18. 12:26

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31020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애니플러스(A310200) | Snapshot | 기업정보 | Company Guide

애니플러스 310200 | 홈페이지 홈페이지http://www.aniplustv.com 전화번호 전화번호02-7162-7015 | IR 담당자 주소 주소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10 28층(여의도동, Three IFC) KOSDAQ  코스

comp.fnguide.com

- 지난해 실적 호조에 급등 3,840원(+10.66%) - 2024.03.04
  ▷지난 29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113.46억원(전년대비 +91.54%), 
  영업이익 228.62억원(전년대비 +137.49%), 순이익 99.62억원(전년대비 +83%). 
- 애니하면 애니플러스~ Not Rated 현재주가 (12 월 1 일) 3,455 원 -
  신한투자 - 2023.12.05 1701732822860.pdf (pstatic.net)
- M&A와 해외진출에 따른 매출 성장 기대 현재주가 (9/25) 3,280원 -
  한국IR협의회 - 2023.09.27 1695769924554.pdf (pstatic.net)
- 세계관 최강자를 향해 주가 (4월 21일) 4,250원 -  
  신한투자 - 2023.04.24  1682294908203.pdf (pstatic.net)
- 애니플러스의 애니맥스 인수 의미 매수(유지)  T.P 8,300 원(상향) 주가(23/04/20) 4,255 원 - 
  SK증권 - 2023.04.21  1682033753225.pdf (pstatic.net)
- 라프텔을 필두로 가파른 실적/밸류에이션 리레이팅 전망 등에 소폭 상승 
  4,800원(+2.45%) - 202302.28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향후 실적 향상과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의 핵심은 22년 인수한 국내 
  최대 애니메이션 전문 OTT 라프텔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라프텔과의 유의미한 사업적 
  시너지가 예상되며 국내/아시아 시장 내 지배력 확대(콘텐츠+굿즈), 오리지널 애니 콘텐츠 
  제작을 통해 과거 단순 유통 구조에서 탈피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동사의 올해매출액은 1,101억원(YoY +74.2%), 영업이익은 231억원
  (YoY+58.5%, OPM 21%)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라프텔, 로운컴퍼니 등 2022년에 
  인수한 자회사 실적 온기 반영, 연간 소싱하는 신작 애니 작품 수 증가(총 120 편, YoY +20%), 
  신규 미디어아트 전시관 확보/LO 를 통한 실적 고성장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8,000원[신규] 
 - 2021년 실적은 A+, 올해도 고성장 지속 전망 Not Rated (M) 현재주가 (3/30) 4,030원 -
  유안타증권 - 2022.03.31 analysis.downpdf (hankyung.com)
-  2021년 실적은 A+, 올해도 고성장 지속 전망 투자의견 Not Rated (M) 현재주가 (3/2) 4,935원 -
  유안타증권 - 2022.03.03 analysis.downpdf (hankyung.com)
- 일본 애니메이션 IP 기반으로 성장 중 Not Rated 주가(21/02/17) 1,605 원 - SK증권 - 201.02.18
- 일본 애니메이션 IP 중심으로 방송 채널과 캐릭터 상품 사업을 운영
- 3Q20 기준 매출 비중은 방송 콘텐츠 79%, 캐릭터 상품 14%, 전시 및 행사 7%
- 일본 애니메이션에 대한 국내 판권 시장 과점 중
- 동사의 애니메이션은 자체 채널 외 OTT 플랫폼에서 방영, OTT 시장 확대 수혜 기대
- 코로나 19 여파 벗어나 2021 년부터 흑자전환 전망, 애니 IP 기반 사업 확대 예상
  애니메이션 IP 기반 방송 콘텐츠 및 캐릭터 상품 전문업체
  애니플러스는 일본 애니메이션 IP 중심으로 방송 채널과 캐릭터 상품 사업을 운영 중이다. 
  3Q20 기준 매출 비중은 방송 콘텐츠 79%,캐릭터 상품 14%, 전시 및 행사 7%다. 
  동사의 국내 방송 채널은 ‘애니플러스’이며, 핵심 고객층은 15 세~성인 연령대의 
  매니아 계층이다.
  주요 수익원은 VOD(주문형비디오)와 방영권료다. 전시 및 행사 사업은 자회사 미디어앤아트가 
  영위 중이며, 반 고흐, 클림트 등 대형 작가의 작품을 재해석하는 전시회를 개최해 
  성공한 사례가 있다.
  일본 애니메이션 국내 판권 과점 중
  애니플러스는 일본 애니메이션에 대한 국내 판권 시장을 과점 중이다. 
  매 분기 30 여개의 일본 애니메이션 신작이 출시되는데, 이 중 절반 이상의 국내 판권을 동사가 
  가져오고 있다. 동사는 일본 애니메이션 관련된 제작위원회에 속한 관계사들과 
  네트워크 및 오랜기간 축적된 신뢰를 통해 판권을 원활하게 매입 할 수 있다.
  동사가 가져온 애니메이션은 방송 채널 애니플러스 외 넷플릭스, 왓챠 등 OTT(개방된 인터넷을 
  통하여 방송 프로그램, 영화 등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에서 방영되고 있기 
  때문에 동사는 신규 OTT 플랫폼들이 증가하면서 OTT 플랫폼 시장 확대에 따른 수혜를 
  입을 것으로 판단한다.
  코로나 19 여파로부터 벗어나 2021 년부터 흑자전환 전망
  애니플러스의 2021 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약 30%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흑자전환 할 
  것으로 전망한다.
  코로나 19 여파로 1H20 매출이 부진했지만, 2H20 부터 회복세를 나타냈다. 
  특히 자회사 미디어앤아트의 전시 및 행사 사업은 코로나 19 여파로 매출이 급감 했지만, 
  2021 년에는 사업의 정상화가 기대된다.
  한편 캐릭터 상품 사업의 경우 매장을 확대할 계획이고, 방송 콘텐츠 사업은 OTT 플랫폼 
  확장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한다. 
  애니플러스는 애니메이션 IP 기반으로 캐릭터 상품 외 게임,카페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추가적인 성장동력도 확보할 것으로 판단하다.

'광고산업 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퍼스코리아 322780  (0) 2021.04.26
클리노믹스 352770  (0) 2021.03.08
엔비티 236810  (0) 2021.02.02
피엔아이컴퍼니 242350  (0) 2020.11.30
플레이디 237820  (0) 2020.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