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프릴바이오(A397030) | Snapshot | 기업정보 | Company Guide (fnguide.com)
에이프릴바이오(A397030) | Snapshot | 기업정보 | Company Guide
에이프릴바이오 397030 | 12월 결산 | <!-- AprilBio | --> 홈페이지 홈페이지http://www.aprilbio.com 전화번호 전화번호070-4027-7616 | IR 담당자 02-6956-8383 주소 주소강원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 의생명과학대학 B
comp.fnguide.com
- 바이오USA서 글로벌 파트너 미팅 본격화 소식에 급등 15,400원(+10.00%) - 2025.04.22
▷동사는 일부 언론을 통해 개발 순항 중인 다중항체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 성과
가시화를 위해 내달 열리는 바이오USA에서 잠재적 글로벌 파트너들과 미팅을
본격화한다고 밝힘. 현재 REMAP 플랫폼을 적용한 다중항체 ADC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는
가운데, 현재 진행하고 있는 연구의 핵심은 ADC에 사용될 타깃항체가 REMAP에 적용됐을 때
기존 ADC와 마찬가지로 링커와 페이로드에 접합돼 비열등한 효능을 나타내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아직 특허출원 전이라 자세한 데이터 공개는 어려우나 REMAP이 다중항체 ADC
개발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설명.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많은 투자자들이 기다리고 있는 ADC 플랫폼 개발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어 회사가 고무돼 있다"라며 "개발방향에 대한 해외 기업들의 반응이 긍정적이었던
만큼 향후 좋은 소식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며, ADC 외에도 REMAP을 활용한 다수의
다중타깃 파이프라인이 동시에 개발되고 있다"고 밝힘.
- 日 EME와 차세대 나노바디 기반 치료제 공동 개발 추진 소식에 상승
12,570원(+4.75%) - 2025.04.08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일본 항체·단백질 엔지니어링 전문 기업
EME(Epsilon Molecular Engineering Inc.)와 손잡고 차세대 나노바디 기반 치료제 공동 개발에
나선다고 밝힘. 양사는 이를 위해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각자 보유한 핵심 플랫폼
기술을 접목해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공동 연구개발 및 상업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설명.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EME의 세계적 수준의 나노바디 발굴 플랫폼과 당사의 독자적
플랫폼 REMAP의 시너지를 통해, 혁신적이고 차별화된 차세대 치료제를 글로벌 시장에
선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REMAP을 적용한 차세대 파이프라인을 빠른 시일 내에
선보이겠다"고 밝힘.
- 빅파마 파트너링으로 신분상승 노려보자 N.R 현재주가(2024.10.18) 23,550원 -
한양증권 - 2024.10.21 downpdf (hankyung.com)
- NDR 후기: 구체화 되어가는 미래 방향성 매수(유지) 목표주가(유지) 24,000원
현재주가(04/11) 14,000원 여력 71.4% - DS투자 - 2024.04.12 1712885725832.pdf (pstatic.net)
- 알테오젠을 놓치셨다면 매수(유지) 목표주가: 30,000 원(상향) 현재주가: 14,610 원
상승여력: 105.3% -SK증권 - 2024.03.11 1710113405251.pdf (pstatic.net)
- 바이오 장세 도래 시 기업 가치 퀀텀 점프 전망 등에 상승 13,190원(+3.94%) - 2024.02.22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APB-R3(IL18 타겟 융합단백질, 면역질환/NASH)의 경우 올해 상반기
1상 결과 확보 및 추가 기술수출 타진을 목표로 내부적으로는 최대한 빠른 L/O 기조를 보이고
있다고 밝힘. 임상 진전에 따른 추가 마일스톤 달성과 신규 기술수출, 그리고 플랫폼 사업의
본격화를 통해 올해 흑자 전환을 목표(BEP 약 150억원)로 하고 있다고 설명.
▷APB-A1(CD40/CD40L 상호작용 억제, 면역질환)의 경우 올해 3분기 갑상선안병증(TED) 임상
2상 진입, 연말 다발성경화증 2상 진입이 기대된다고 밝힘.
CD40/CD40L 타겟 가치가 빅파마로부터 입증되었으며 파트너 룬드벡의 개발 의지가 높아
파이프라인 가치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 적응증 추가 시 추가 계약 가능성 존재
(현재 적응증 최대 3개)한다고 밝힘.
▷국내 바이오텍 중 조 단위 기업 공통 특징으로 자체 신약개발 플랫폼, 유의미한 L/O 이력이
꼽히는데 동사는 두 가지 모두 충족함에도 아직 낮은 시총을 기록하고 있다며,
바이오 장세 도래 시 기업 가치 퀀텀 점프가 가능하다고 밝힘
- Anti-CD40, 입증된 PoC에 대한 가치산정 필요 매수(신규) 목표주가(신규) 24,000원
현재주가(01/26) 13,570원 여력 76.9% - DS투자 - 2024.01.29 1706493887375.pdf (pstatic.net)
- 사람에서도 작동하는 알부민 바인더 NOT RATED 현재주가 (1/26) 13,570원-
유안타증권 - 2024.01.29 1706483862058.pdf (pstatic.net)
- 빅파마가 증명하는 파이프라인의 가치 N.R 현재주가 (23.12.27) 15,900 -
대신증권 - 2023.12.028 1703724414881.pdf (pstatic.net)
- 한올 벗겨보면 알테오젠도 보인다 매수(신규편입) TP 24,000 원(신규편입) 주가: 11,470 원
상승여력: 109.2% -SK증권 - 2023.12.04 1701648189049.pdf (pstatic.net)
- 컨콜 후기: 풍부한 현금 보유, 임상 순항 중 N/R 현재주가(10/26) 21,550원 -
DS투자 - 2023.10.27 1698375231106.pdf (pstatic.net)
- 이제는 다시 못 볼 2 천억대 밸류 Not Rated 현재주가: 23,050 원 -
SK증권 - 2023.10.11 1696981895596.pdf (pstatic.net)
- 높아지는 파이프라인 가치, 현재는 바겐세일 구간 N.R 현재주가 (23.09.08) 22,200 -
대신증권 - 2023.09.11 1694392835714.pdf (pstatic.net)
-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APB-A1 임상1상 기대감 및 과도한 주가 저평가 분석 등에 급등
26,750원(+11.46%) - 2023.08.10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파트너사인 글로벌 제약사 룬드벡이 4.48억 달러에 기술이전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APB-A1(LuAG22515)의 임상1상이 8월3일에 종료됐으며,
이르면 하반기, 늦어도 2024년 초에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전망.
이번 임상1상이 동사에 갖는 의미는 자체 개발한 SAFA 플랫폼(얄부민 바인더 융합기술)이
적용된 파이프라인에서의 첫 사람 대상 임상 결과이기에 SAFA 플랫폼에 대한 컨셉 입증과,
동일한 CD40L 타겟으로 임상을 진행중인 경쟁 파이파라인 대비 우수성 입증 두 가지라고 설명.
▷아울러 현 시점 기준 2개 파이프라인이 임상1상을 종료, 또는 종료를 앞뒀음에도 불구하고
기업가치는 상장 당시 대비 시가총액 기준 855억원 증가에 그쳤다고 밝힘.
특히, 2024년에는 APB-A1, R3의 임상2상 진입, 2대 주주이자 항암제 후보물질 APB-R3의
파트너사인 유한양행의 APB-R3의 임상 개시 가능성도 존재하는만큼 파이프라인에 대한 가치
반영이 과도하게 저평가된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힘.
- 바이오텍을 산다면 꼭 봐야 할 기업 Not Rated 주가(23/08/09) 24,000 원 -
SK증권 - 2023.08.10 1691629135520.pdf (pstatic.net)
- APB-A1의 기술수출로 입증된 실력 현재주가 (6/28) 23,700원 -
한국IR협의회 - 2023.06.30 1688080582214.pdf (pstatic.net)
- 유럽간학회서 NASH 치료제 연구결과 발표 소식에 상승 23,850원(+4.61%) - 2023.06.27
▷동사는 언론을 통해 유럽간학회(EASL)에서 자사 후보물질 ‘APB-R3’의 비알코올성지방간염
(NASH)과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PSC) 대상 연구결과 2건을 발표했다고 밝힘.
APB-R3는 동사가 아토피 피부염 등 자가면역질환 치료 목적으로 개발하고 있던 후보물질로
이번 연구결과에 근거해 APB-R3의 적응증을 간질환 등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라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APB-R3를 GLP-1 계열 당뇨병 치료제 ‘리라글루타이드’와
병용투여했을 때 NASH 진단 지표인 NAS 스코어가 한층 더 개선되는 것을 확인했다”며
“APB-R3를 리라글루타이드 같은 지방간 치료제와 병용투여할 경우 NASH 치료제로서의 효능이
더욱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이어 “이번 연구결과로 따라 APB-R3가 기존 스틸병, 아토피 외에도 간질환으로 적응증이
확대될 수 있음을 입증됐다”며 “더 나은 조건으로 좋은 파트너와 기술수출 계약을 논의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린 셈”이라고 언급.
- 저평가 분석 및 CD40L 타겟 APB-A1 미국 임상 1상 유효성 공개 기대감 등에 급등
26,800원(+12.61%) - 2023.06.01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항체 라이브러리 기술과 6개의 자가면역 후보물질 및 현금
800억원 (CB 150억) 감안 시 여전히 모범적이고 저평가된 기업이라고 밝힘.
▷아울러 룬드벡에 기술 이전된 CD40L 타겟 APB-A1 미국 1상은 7월에 투약 종료되어 2상
적응증 논의가 진행될 것이며 관련 발표는 룬드벡이 할 것으로 예상.
룬드벡이 진행하는 미국 1상은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지만 대조군이 있는 이중맹검
실험으로 Part B의 실험군과 대조군은 모두 면역증강제를 투여받기 때문에 APB-A1의 유효성
데이터도 검증될 수 있다고 분석.
- 올해 하반기 항체 플랫폼 기술 가치 검증 기대감 등에 급등 26,000원(+15.04%) - 2023.05.23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하반기 항체 플랫폼 SAFAbody 기술의 가치가 임상적으로
검증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하반기 APB-A1의 임상 1상 결과가 기대되며, ABP-R3 임상 종료로 총 2건 완료된다고 밝힘.
동사의 SAPA 기술 플랫폼은 IPO 당시 지속형 기술로 많이 알려졌으나 알부민 결합을 통해 체내
염증 조직에 보다 많은 약물이 축적, 적은 용량으로 높은 효과를 내며, 낮은 부작용이
핵심이라고 설명.
▷또한, 21년 덴마크의 룬드벡(Lundbeck)을 통한 제3자 기술이전을 전임상에서 5,370억원 규모
L/O, 유한양행의 지분투자 및 APB-R5 L/O 통해 기술적, 재무적 검증을 마쳤으며, 이번 APB-A1
임상 1상 결과가 공개될 경우 동사의 SAFAbody 기술의 수요가 향후에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후속 파이프라인 APB-R3의 기술이전 또한 기대된다고 밝힘.
- 올해 SAFA 플랫폼 기술 가치 상향 전망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24,450원 (+4.71%) - 2023.04.24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SAFA 플랫폼 기술 가치는 한단계 상향할 것이며 이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고 언급. SAFA는 바이오의약품의 반감기를 개선하는 플랫폼으로 SAFA가
결합된 APB-A1은 비임상 단계에서 글로벌 제약사 룬드벡에 5,400억원 규모로 기술
수출 됐다고 설명.
APB-A1 임상 1상은 6월, APB-R3 임상 1상은 8월 종료 예정이며, SAFA의 반감기 개선 효능이
임상적으로 검증되면 이후의 기술 수출 시 선급금 비중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44,000원[신규]
- 150억원 규모 사모 CB발행 결정 속 하락 23,200원 (-5.11%) - 2023.04.20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하이 바이오 헬스케어 신기술조합 제3호 등 대상
15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25,655원,
전환청구일:2024-04-21 ~ 2028-03-21).
- 알부민 바인더, 차세대 약물 지속형 기술 Not Rated (I) 현재주가 (8/29) 18,300원 -
유안타증권 - 2022.08.30 analysis.downpdf (hankyung.com)
'제약 바이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솔바이오사이언스 140610 (0) | 2023.10.27 |
---|---|
샤페론 378800 (0) | 2023.09.08 |
바이오인프라 199730 (0) | 2023.07.28 |
일신바이오 068330 (0) | 2023.07.28 |
웰바이오텍 010600| (0) | 2023.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