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시 남성동 ·본성동에 있는 성. 사적 제118호이다.
진주는 삼국시대 백제의 땅으로 신라와 접경한 최전선에 위치하여 두 나라 간에 전략적인
요충지로 치열한 공방전이 일어났던 곳이다.
삼국이 통일 된 이후에도 진주는 중요한 거점으로 인식되었으며 고려시대에는 남해안에
출몰하는 왜구를 섬멸하기 위한 기지로서 역할했다.
조선시대에도 진주는 그 중요성이 높았으며 경상도와 호남을 연결하는 요충지였다.
조선시대에는 도호부가 설치되었고 경상우병영의 역할을 담당했다.
진주성은 백제 때 건설되었으며 당시에는 거열성지(居烈城址)였다고 하며,
산성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동쪽으로는 남강이 흐르고 강변 절벽 위에 성채가 만들어졌고 서쪽으로는 하천이 있어
천혜의 요새였다.
고려 말 공민왕(恭愍王) 때 7차례 중수되면서 남해안에 출몰하여 분탕질하는
왜구를 방비하는 기지로 사용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김시민(金時敏) 장군이 성채를 보강하여
왜군의 공격을 대비하였다.
1592년 9월 왜군은 약 2만 5천 명의 병력으로 진주성으로 공격해 왔지만 김시민 장군에게
대패하여 임란 3대첩(壬亂三大捷) 중의 하나가 벌어진 곳이다. 1593년 6월 왜군은 곡창지대인
호남을 공략하여 군량미를 확보하고자 약 10만 명의 대군을 이끌고 쳐들어 왔다.
진주성은 호남으로 가는 길목으로 진주성이 무너지면 호남을 잃게되는 중요한 요충지였다.
2차 전투에서는 군관민 6만이 최후까지 항쟁하여, 장렬한 최후를 마쳤고 왜군도 막대한 피해를
입어 호남으로 쳐들어갈 여력을 상실하였다. 이때 논개(論介)는 적장을 안고 남강(南江)에
투신한 일화가 유명하다.
1605년(선조 38) 병사(兵使) 이수일(李守一)이 진(鎭)을 성내로 옮기고 성이 너무 넓어 수비가
곤란하다 하여 내성을 구축하였다.
그뒤 병사 김태허(金太虛)가 1607년 포루(砲樓) 12개를 증축하였고, 1618년(광해군 10) 병사
남이홍(南以興)이 성 수축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지금의 진주성은 대략 이때 완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내성의 둘레는 약 1.7km이고, 외성의 둘레는 약 4km이다.
1963년 1월 21일 사적 제118호로 지정되었다.
공복문 : 공북문은 17세기 이후에 그려진 진주성도와 진주지도에 북쪽으로 나 있는 문 입니다.
공북문의 공은 '손을 모아 가슴까지 들여 올려 공경한다'는 뜻이고, 북은 '임금이 계시는
북쪽인 북두'를 뜻합니다.
따라서 공북문은 '북쪽에 계시는 임금님을 향해 두 손을 모아 공경의 뜻을 표한다"는
의미를 가진 문입니다.
공북문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진주성의 실질적인 정문이며 주 출입문으로 도청 격인
관찰사영과 경상도 우병영이 소재했던 진주성의 주된 문으로 나라에 큰일이 있을때 임금이
계시는 북쪽을 향해 절을 하고 고유하던 자리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공북문은 2002년 5월 1일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하였습니다
영남포정사 문루(嶺南布政司 門樓)
1618년(광해군 10년) 경상우도 병마절도사의 관문이었고 1896년 경상남도 관찰사의
정문이 되어 영남포정사라고 하였다.
1925년 경상남도도청이 부산부로 옮겨지기 전까지는 도청 정문으로 사용되었다.
(진주는 1896~1925년 경상남도도청 소재지였다.)
문루 앞에는 수령 이하의 사람은 말에서 내려 걸어 들어오라는 뜻의
‘수령이하개하마비(守令以下皆下馬碑)’가 있다.
진주성 북장대(晉州城 北將臺)
북장대는 진주성 내 북쪽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한 진주성의 북쪽 지휘소로 전시에 성내와
외성의 군사를 지휘하던 곳이다.
진남루라고도 부르며 광해군 10년 남이흥이 중건했으며 조선 중기의 다락집 형으로 후대
군사시설의 모범이 되었다.
2020년 6월 진주성 북장대 해체 보수공사 중 1864년(고종1년) 경상우병사 이교준이 쓴 것으로
추정되는 상량문이 발견되어 현재는 국립진주박물관에 임시 보관중이다. (사진 4번째)
상량문은 건물 기록서라고 할 수 있으며 건립연대, 공사참여자 등 당시 상황을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자료이며 목조 건물 건축과정에서 최상부 부재인 종도리를 올리는
상량제 때 사용하는 축문으로 쓰인다.
청계서원(淸溪書院)
1833년(순조 33)에 고려 현종 때 거란의 침입을 물리치는데 공을 세운 은열공(殷烈公)
정신열(鄭臣烈)과 고려 말 물레를 만들어 백성들에게 따뜻한 목면(木棉) 옷을 입게 한
문충공(文忠公) 정천익(鄭天益)의 위패를 봉안하기 위해 건립된 서원이다.
1868년(고종 5)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 당시 훼철되었다가 1961년 복설(復設)하면서
봉남서원(鳳南書院)으로 불렀다. 1986년에 재건하였다.
2022 진주성의 가을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주성 晉州城 - 西將臺 -->矗石門 (0) | 2022.04.18 |
---|---|
호국사 護國寺 - 진주시 남성동 (0) | 2022.04.12 |
선진리성 船津里城 - 사천시 용현면 (0) | 2022.04.02 |
산삼주제관 - 함양군 함양읍 (0) | 2022.03.01 |
최치원 역사공원 - 함양군 함양읍 (0) | 2022.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