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과 회령자기 - 더불어 호탕하게
전시기간 : 2022.10.15(토) ~ 11.20(일)
전시장소 : 갤러리 단정(서울 종로구 북촌로5가길 8-7)
참여작가 : 이정수, 최창석
북촌 정독도서관 담벼락을 따라 걷다보면 길 끝자락에서 마주치는 갤러리 단정한 유리창으로 보이는
보랏빛인 듯 푸른빛인 듯 붉은 빛이 감도는 도자기가 시선을 사로잡는다.
마치 분화구에서 용암이 흘러내리다 굳어진 듯 표면에는 구멍이 여기저기 숭숭 뚫려 작은
칼데라호수처럼 느껴진다. 매끈한 표면을 가진 도자기들 입구에는 붉은 용암 같은 꽃이 피어있다.
모두 회령자기란다. 백자와 청자, 분청사기 정도야 잘 알려져 있지만 회령자기라는 이름은 참으로 생소하다.
대륙과 맞붙은 한반도 최북단인 회령지방에서 비롯된 자기인데 원래는 여진족자기문화와 맞닿은
도자기유형이라 한다.
회령자기 유약은 볏짚 재다.
농경문화에서 비롯된 볏짚이 도자기의 옷이라 할 수 있는 유약이 되는 것인데 서브 유약을 무엇으로
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느낌의 색이 나온다. 예측할 수 없는 변화무쌍함에 매료돼 20여 년 넘게
회령자기에 천착해왔다는 바우 최창석 작가는 35년간 도예인으로 살아왔다.
한반도 북쪽 도자기다 보니 남한에서는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던 자기인데 최작가는 1999년 경,
처음 회령자기를 알게 됐단다.
도자기 관련 논문을 보다가 마주친 회령자기에 대해 여러 도예가들과도 적잖은 이야기를 나눴다 한다.
백자, 청자, 분청, 옹기 등등 하고 싶은 도자기는 웬만큼 해온 그에게 회령자기는 무척 매력적으로 다가왔단다.
특히 볏짚재를 이용한 예측 불가능의 영역은 모험심 강한 그에게는 도자기를 만드는 즐거움을
더욱 배가시켰단다.
쌀의 고장 여주에서 태어난 그에게 볏짚재 유약은 또 다른 의미로 다가왔다고. 가장 중요한 곡식인 쌀을
생산하고 버려지는 볏짚을 태운 재가 도자기를 완성하는 오묘한 색으로 부활하는 과정은 극도의
고통을 겪고 영롱한 사리가 된 벼의 깨달음 같은 것이었으리라.
특히 이번 작업에서는 회령유약을 직접 만들고 흙을 보다 다양하게 사용했는데,
회령자기를 통해 다양한 분위기를 한 가마에서 내고 싶었다고 했다.
만들어 놓은 유약이 모자라 급하게 유약을 만드는 과정에서 굵은 채를 이용하다보니 입자가 굵어서
오히려 백두산 천지 느낌을 도자기로 구현해낸 것 또한 회령자기만의 예측불허 즐거움이라고 했다.
20여 년 전 직접 제작한 장작가마에 문제가 있었는데도 그걸 모르고 불을 땐 데다 불이 많이 지나가는
바람에 유약이 과도하게 흘러내렸고, 온전하게 꺼낸 작품은 25%에 불과했다.
그럼에도 작품들은 저마다 고유한 분위기를 드러내며 1300도가 넘는 고온을 견뎌낸 기쁨인 듯
절로 빛을 품어냈다.
최창석 작가는 10월에만 두 개의 전시를 하느라 정신이 없다고 했다.
한 전시는 지난 10월 10일부터 오는 11월 20일까지 갤러리 단정에서 열리고 있는 이정수 사진작가,
최창석 도예가의 '더불어 호탕하게'다.
백두산 사진작가로 널리 알려진 이정수 작가의 백두산 사진과 최창석 작가의 회령자기 콜라보 전시다.
백두산 동쪽 회령지방에서 태어난 회령자기를 백두산 사진과 볼 수 있는 특별한 전시로 주목받고 있다.
아울러 지난 10월 29일까지는 여주 백웅도자미술관에서는 '다시 꽃피는 회령자기' 최창석 도예전을 열었다.
동시에 두 개의 전시를 한다는 게 부담이 됐지만 '기왕 기회가 왔으니 무리해서라도 해야겠다' 생각했다는
그는 덕분에 올 한해를 무척 바쁘게 보냈다.
전통장작가마 작업은 장작을 패는 일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봄부터 매진해야만 했고 덕분에
생활자기류 작업은 뒷전이라 경제적인 고민도 컸단다.
그렇지만 작품을 본 동료 도예가들이나 관람객들 반응이 좋아 그간의 힘겨움이 다 가신다고 했다.
천상 도예가다.
"도자문화 자체가 소외된 세상에 살고 있어요.
도자문화 중에서도 더 소외된 회령자기를 부각시켜 본다는 것, 이번 작업과 전시는
어려움 속에서 작은 불빛을 따라간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봐요."
많은 초대전과 개인전을 해봤지만 회령자기로만 특화된 전시를 한 건 처음이라는
최작가는 만약 기회가 된다면 북한 도예가들과 교류하며 회령자기, 개성옹기 등
북한의 도자기문화를 직접 경험해보고 싶다는 마음도 전했다.
'전시회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0회 다반사전 - ‘코스모스의 가을전’ (0) | 2022.11.11 |
---|---|
제3회 김해여성도예가展 (0) | 2022.11.10 |
2022 공예연구 기획전 - <백자, 어떻게 흙에다가 체온을 넣었을까> (0) | 2022.11.08 |
여은희, 이상훈 2인전 - 궁극의 무 Ⅱ (0) | 2022.11.07 |
제38회 진주여류작가회전 (0) | 2022.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