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제목 : ‘한중 문화유산의 만남’展
전시기간 : 2023.11.23(목) ~ 2024.01.31(수)
전시장소 : 다보성 갤러리 1,2,4층전시관(서울 종로구 삼일대로 457 수운회관 )
전시구성 : 1층 한국문화유산 전시 약 300점
2층 중국문화유산 전시 약 300점
4층 중국문화유산 경매작품 47점 등 약 60점(~ 2023.11.30)
17세기 조선시대에 성행한 철화백자는 철사안료(鐵砂顔料)로 문양을 그려 넣은 회백색의 도자기다.
정제된 태토에 회백색 유약을 시유해 소성한 게 특징이다.
백자철화운룡문호(白磁鐵畵雲龍文壺)는 조선시대 도자예술품 중에 으뜸에 속한다.
용의 몸통은 전반적으로 세밀하게 묘사했지만 비교적 단조롭게 압축됐다.
용안은 다소 희화화했고, 구름과 여의주는 간략한 형태로 그려졌다.
전체 구도를 듬성듬성 자유롭게 표현한 것이 이채롭다.
회청색이 감도는 유약을 그릇 전면에 입혔고, 접지면에 가는 모래를 받쳐 구운 흔적이 있다.
궁중도자기 백자철화운룡문호을 비롯한 고려청자, 조선 시대 백자와 분청사기, 왕실에 걸린 궁중화,
전통산수화, 송나라 정요백자, 원·명대의 청화백자 등을 아우르는 한국과 중국 고미술품 500여 점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전시회가 마련됐다.
서울 경운동 수운회관에 있는 국내 최대 고미술 전문 화랑 다보성이 23일 개막해 내년 1월31일까지 여는
‘한국-중국 문화유산의 만남’ 특별전이다.
한국과 중국 수교 31주년을 기념해 두 나라 선조들의 삶 속에 담긴 지혜와 문화를 되새기고 침체된
고미술 시장 활성화를 꾀하기 위해 기획했다.
미술사적으로 귀중할 뿐 아니라 평소 만나기 어려운 희귀한 명품, 명작들로
총 보험가액만 수천억 원에 달한다.
가장 눈길을 붙잡는 작품은 원나라 도자예술의 백미 ‘금련천막부 청화유금인물문화구병
(金莲川幕府青花鎏金人物纹花口瓶)’이다.
긴 목에 구연부가 나팔 꽃송이처럼 벌어져 있고 어깨에 짐승 머리 모양의 두 귀가 달린 화구병이다.
몸체 표면을 금으로 도색한 뒤 파초와 모란이 있는 정원을 청화로 붓칠했다.
굽바닥에는 원라나 시대 최고의 관청 '금련천막부(金蓮川幕府)'라는 관지가 쓰여있어
궁중 유물임을 직감할 수 있다.
기원전 771년에 발원한 주나라 시대 왕실 제사에 쓰인 청동용기 ‘금문사족사이도철문반
(金文四足四耳饕餮纹盘)’도 다소곳이 전시장을 지키고 서 있다.
주나라 천자에게 감로수를 하사받은 왕이 기우제를 지냈다는 이야기가 빼곡이 적혀 있다.
다보성 측은 “대체로 청동기 시대에는 특정 사건이나 사실이 금문(金文)으로 남겨졌으며,
이 청동반 역시 당시의 문화를 금문으로 보여주고 있어 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설명했다.
‘명나라의 화선‘ 문징명(1470~1559)이 1525년에 그린 산수화도 걸렸다.
가로 9m가 넘는 화폭에는 섬세한 필치와 담백한 색상으로 풍경과 인물들의 모습을 생동감 있게
그려넣었다. 산등성이와 바위에는 연두색의 태점을 찍어 그림에 활력을 준다.
완벽한 구도와 뛰어난 색감이 청록산수화(靑綠山水畵)의 깊이를 돋보이게 한다.
명나라 말기 대표적 서화가 동기창(董其昌 1555-1636)의 낙관이 찍혀 있어 당시 소중한
애장품이었음을 말해준다.
이밖에 원나라 황실에서 두루마리 종이 등을 보관하는 지통 ‘청화귀곡자하산문지통
(青花鬼谷子下山纹卷缸)’, ‘중국의 피카소’라 불리는 제백석의 화첩과 인장, 청나라 건율제 때 제작된
용무늬 항아리 ‘건륭어람지보 청화연지홍채용문관 (乾隆御览之宝青花胭脂红彩龙纹罐)’,
밑바닥에 '건륭어제(乾隆御製)'라는 관지가 쓰여있는 해머모양의 법랑채 봉퇴병(棒槌甁) 등은
중국 고미술의 성장과 발자취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작품들이다.
▲중국 유물 60점 온라인 경매
다보성갤러리는 이번 전시와 연계해 중국 도자와 먹 등 희귀작 60점을 경매에 내놓는다.
23~30일 진행되는 온라인 경매에는 원대 금련천막부 청화유금서수문상이반구병
(金莲川幕府 青花鎏金瑞兽纹象耳盘口瓶), 명대 선덕 청화운룡문관(宣德 青花云龙纹罐),
청대 집호형주사먹(执壶形朱砂墨) 등이 새 주인을 찾는다.
고대 신화 속 인물인 '항아'와 달을 형상화해 표현한 먹, 코뿔소의 뿔로 만든 찻잔 등
다양한 유물이 나올 예정이다.
김종춘 다보성 회장은 “명·청대의 유물을 비롯해 희귀하고 가치 있는 중국 문화유산을 느끼고
소장할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시회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경기도자미술관 입주작가 보고전 : 여섯개의 시선> (2) | 2023.11.25 |
---|---|
이학수, 이화영 '전통옹기 민화 부부전' (1) | 2023.11.24 |
온영미 작가 초대展 - '온기Ⅰ아이' (0) | 2023.11.23 |
윤경혜 도예전 - '숨쉴, 틈' (0) | 2023.11.23 |
李白 이수천 도자展 - "물고기 魚 날다" (1) | 2023.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