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의 묘에 자란 풀이나 나무를 베어내고 묘를 깨끗하게 하는 일.
벌초는 한식寒食이나 추석 성묘 이전에 조상의 묘에 자란 풀이나 나무를 베어
깨끗이 하는 일이다.
대개 백중百中(음력 7월 15일) 이후부터 추석 전에 모두 이루어진다.
설과 한식에는 성묘는 하지만, 벌초는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설에는 벨 풀이 없고 한식에는 풀이 막 자라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다만 한식에는 겨우내 묘에 생긴 구덩이나 부족한 떼(잔디)를 다시 입혀주는
개사초改莎草를 하기도 한다.
개사초를 할 때는 ‘손이 없는 날’(무방수날)을 택일하는데, 한식은 손이 없는날이라고 한다.
개사초를 하기 전에는 몇 가지 제물을 마련하여 산신, 토지신, 묘의 주인(조상)에게 먼저 고한
다음 진행하고, 개사초가 끝나면 묘의 주인에게 고하여 평안을 알린다.
개사초 전에 산신과 묘의 주인에게 고한 다음, 개사초가 끝나고 산신과 묘의 주인에게
다시 고하기도 한다.
장례를 치른 이듬해 봄에 떼를 입히기도 한다.
백중 이후에는 풀의 성장이 멈추기 때문에 추석전에 벌초해 두면 비교적 오랜 시간 동안
깔끔하게 손질된 묘가 유지된다.
추석에 성묘를 가기 위해 추석 전에는 반드시 벌초해둔다.
그렇지 않으면 보기도 흉하며, 자손이 없는 묘로 여기기도 하였다. 또한 자손이 있음에도
벌초를 하지 않는 행위는 불효로 간주되었다.
한국인은 죽은 조상도 살아있는 사람처럼 예우하였기에, 조상의 묘를 살피고 돌보는
일은 효행이자 후손들의 책무였다.
그러므로 오늘날에도 추석 성묘 전 벌초를 중요하게 여겨, 추석 전 한 달은 성묘하는 차로
도로가 붐비는 현상을 자주 목격할 수 있다.
혹여 벌초할 시간과 사정이 여의치 않으면, 대행업체를 이용하여 벌초하기도 한다.
1990년대 초반부터 예초기의 보급과 함께 벌초대행업이 성행하기 시작하여,
더욱 편리하게 벌초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대행업의 성행도 벌초를 하는 풍속이 계속 전승되고 있는 이유 가운데 하나이다.
벌초하려 조상의 묘가 있는 사량도를 동생과 같이 방문헸다
어떤해는 사촌들 내외와 같이 방문도 하였으나 올해는 날짜 조율이 되지 않아
내년에 함께 방문 하기로 했다 - 2024.09.05
'일상중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마귀 Tenodera angustipennis (0) | 2024.09.12 |
---|---|
칡 kudzu vine. (0) | 2024.09.05 |
진주문화유산야행 (0) | 2024.08.16 |
2024 진주M2(Music & Media)페스티벌 (0) | 2024.08.09 |
한 여름밤의 낭만콘서트 (0) | 2024.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