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및 IT

로보틱스: 나라도 휴머노이드를 키운다

썬필이 2025. 4. 11. 08:40

로보틱스: 나라도 휴머노이드를 키운다 - SK증권 - 2025.04.11
K-Humanoid 연합체 출범
산학연 관계자 350여명이 참석한 K-Humanoid 4월 10일 출범식에서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휴머노이드가 2025 년 15 억 달러에서 2035 년 380 억원 달러로 성장하는 유망 산업이라고 
발언했다. 
10 년 안에 25 배 성장하는 산업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기업, 대학, 정부 기관/단체 협력으로
2028 년까지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목표가 제시되었고, 2030년까까지 
1조원 이상의 민관 투자를 진행하겠다는 계획이 발표되었다. 
시장은 투자 금액, 모델 개발 완성 시기 보다는 휴머노이드에 대한 정부 관심이 지속된다는 
차원에서 긍정적인 이벤트로 해석했다. 출범식을 통해 로봇 기업들이 제조 현장에서 
휴머노이드를 도입할 수 있는 수요 기업들과 협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는 부분이 가장 
희망적인 부분이었다.
연합체 출범의 이유와 주요 미션은 5 가지 포인트로 요약된다.
1) 로봇 공용 AI 모델 개발- 서울대 AI 연구소를 중심으로 개발하며, 로봇/부품 업체들은 AI 
연구진에 자체 개발한 로봇과 행동 데이터, AI 탑재후 피드백을 지속 제공하기로 한다.
2) 휴머노이드 HW 핵심기술 개발 - 가벼운 무게(60kg 이상), 높은 자유도(50 이상), 높은 
페이로드(20kg 이상), 빠른 이동속도(2.5m/s 이상) 등 고사양의 로봇 생산을 준비한다. 
(센서·액추에이터, 힘/토크/촉각 센서, 가벼우면서 유연한 차세대 액추에이터
(모터+제어기+감속기) 등을 개발한다.
산자부는 휴머노이드 개발과정에서 공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도 구축 및 제공한다. 
실제 산업 현장과 유사한 실증공간, 영상·촉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가상 시뮬레이터 등을 
제공하며, 상반기 내로 한국형 Nvidia Cosmos 구축을 목표로 사업에 착수한다.
3) AI 반도체, 모빌리티용 배터리 등 개발 - 고성능·저전력의 온디바이스용 AI 반도체와 
고밀도· 장수명·고안전의 배터리를 개발한다. 
리벨리온․DEEPX(반도체), 배터리 3 사가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4) 스타트업, 인력 등 양성 - 유망한 연구소와 스타트업을 지속 발굴해 연합에 포함시킨다. 
이를 위해 연내 휴머노이드 펀드 출시를 계획한다. 
5) 공급-수요기업간 협력 강화 - 연합은 수요기업의 관심을 제고하고 필요한 정보 등을 수시 
제공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기술 세미나와 쇼케이스, 경진대회 등을 개최할 계획이다. 
수요기업이 로봇기업의 기술력, 잠재력 등을 확인함으로써 공동기술 개발, 지분투자, 
합작법인 설립 등 다양한 협력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2025 년 4 월 주요 중국 로보틱스 이벤트
-4 월 13 일 중국 베이징에서 세계 최초 휴머노이드 하프 마라톤 대회가 열린다.
-4월 25~26일 중국 상해에서 중국 휴머노이드 생태 컨퍼런스가 개막한다. 
컨퍼런스 안에서 특별 이벤트로 로봇 복싱 챔피언십이 계획되어 있다. 
국내 참관단이 방문 예정이다.
- 4 월 24~26 일 중국 우시에서 월드 로봇콘테스트의 일환으로 Embodied 로봇 체육대회가 
개최된다. 대회는 1) 경기, 2) 응용 시나리오, 3) 인간-로봇 상호작용 부문으로 나눠지며, 
로봇 콘테스트 조직위는 휴머노이드 종합 기량을 겨루는 체육대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경기 종목은 스프린트 달리기, 크로스컨트리 달리기, 축구, 댄스이다. 응용 시나리오는 운반, 
조립, 분류 등 복잡한 임무에 대해 로봇이 환경을 감지, 파악, 계획 설계하는 성능을 
보여주는데 초점을 맞춘다. 
인간-로봇 상호작용 부문에서는 축구, 농구, 격투 등을 통한 로봇의 환경 피드백과 
인간-로봇 상호작용 성능을 두고 경쟁한다.
 4 월 로보틱스 발전이 실감되며, 섹터 투자, 특히 하이젠알앤엠 등 부품 업체들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질 것으로 본다.

'반도체 및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전선 001440  (0) 2025.04.18
가온전선 KS:000500  (0) 2025.04.18
벨로크 424760  (1) 2025.04.10
IT 부품/전기전자 - 미중분쟁 (상호관세 유예발표) 수혜주 찾기  (3) 2025.04.10
유라클 088340  (0) 2025.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