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치엘비(A028300) | Snapshot | 기업정보 | Company Guide
에이치엘비 028300 | 홈페이지 홈페이지http://www.hlbkorea.com 전화번호 전화번호052-240-3500 | IR 담당자 02-3453-4414 주소 주소울산시 울주군 온산읍 당월로 216-53 KOSDAQ 코스닥 제조 코스닥 제조 | FICS 조선 | 12월 결산 PER(Price Earning Ratio)전일자 보통주 수정주가 / 최근 결산 EPS(주당순이익) * EPS = 당기순이익 / 수정평균발행주식
comp.fnguide.com
- 간암신약, 역대 최장 생존기간 넘어 ‘23.8개월’로 연장 소식에 상승
50,700원(+4.11%) - 2024.05.24
▷동사는 언론을 통해 간암신약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의 글로벌 3상 환자
전체생존기간 중앙값(mOS)이 최종적으로 23.8개월로 집계되며, 기존 치료제들은 물론
리보세라닙 병용요법의기존 데이터도 넘어섰다고 밝힘. 대조군인 소라페닙의 경우 기존과
동일한 15.2개월로 집계돼 8.6개월의 큰 격차를 보였으며, 당초 리보세라닙 병용요법의
mOS는 22.1개월로 간암치료제 사상 가장 긴 환자 생존기간을 입증한 바 있음.
이번 결과는 추가 분석 데이터가 반영되어 확정된 것이며, 전체 내용은 오는 31일
(현지시간)부터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 '암학회(ASCO)'에서 공개될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HLB제약, HLB테라퓨틱스 등 일부 HLB 그룹주도 상승.
- 미국 보스턴에 'HLB US사무소' 설립 소식에 상승 97,300원(+4.40%) - 2024.04.18
▷동사는 언론을 통해 글로벌 빅파마와의 협업을 강화하고 그룹 계열사의 해외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 보스턴 캠브리지 이노베이션센터(Cambridge Innovation Center·CIC)에
사무소를 개설했다고 밝힘. 동사는 보스턴 사무소를 통해 미국 계열사와의 소통과 협업을
강화하는 한편, 그룹사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신약개발 기술이나 소재를 발굴하거나
해외 기업들과 공동 연구 등을추진할 경우 이를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할 계획. 특히,향후
간암신약 판매를 통해 막대한 유동성이 확보될 경우 해당거점을 통해 기술력이 높은 미국
바이오텍을 인수하거나 우수한 신규 파이프라인을 도입하는 등 글로벌 톱티어 기업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전초기지로 활용한다는 구상임.
▷한편, 전일 간암신약인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이 중국 간암치료 가이드라인에 '
우선권고 요법(preferred regimen)'으로 등재됐다고 밝힘.
- HLB 그룹주 HLB,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효능 입증 소식 등에 급등 - 2024.04.08
▷HLB는 언론을 통해 미국 샌디에고에서 개최된 암연구학회(AACR)에서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 간동맥주입화학요법(HAIC)을 병용한 임상 2상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고 밝힘.
현재 HLB는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 병용요법으로 간암 1차 치료제 미국 신약 허가 절차를
진행 중으로, 이번 임상은 미국 허가 절차와 상관 없는 별도의 임상이라고 설명.
▷공개된 연구 초록(abstract)에 따르면, 중국 산둥 암병원은 비절제성 간암 환자를 대상으로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과 HAIC을 병용한 임상 2상을 진행했으며, 임상 결과 18명의
환자 중 3명의 환자에서 완전관해(CR)가 관찰됐으며, 객관적반응률(ORR) 44.4%, 질병통제율
(DCR) 88.9%가 확인됐다고 밝힘. 특히, 완전관해된 환자를 제외한 15명의 환자는
리보세라닙 병용요법 처치 후 수술이 가능해졌으며, 이미 수술을 마친 환자 8명의 암 병변은
완전히 절제됐다(R0 절제율 100%)고 설명.
▷한편, HLB테라퓨틱스는 언론을 통해 재발성 교모세포종(GBM) 임상 2상이 막바지 단계에
들어선 가운데 중간분석 결과 초록을 공개한다고 밝힘. HLB테라퓨틱스의 미국 자회사
오블라토(Oblato)는 미국 캘리포니아 샌디에고에서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
(AACR 2024)에서 9일(현지시간) 오전 해당 임상 결과를 포스터 형태로 발표할 예정이며,
올해 초 이뤄진 분석 결과에 따르면 1년 생존율은 38.9%, 전체 생존기간 중앙값(mOS)은
9.7개월로 기존 히스토리컬 데이터와 비교해 환자의 생존을 크게 개선한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HLB테라퓨틱스, HLB제약, HLB, HLB바이오스텝, HLB글로벌 등
HLB그룹주가 상승세를 기록
[종목]: HLB제약, HLB테라퓨틱스, HLB, HLB바이오스텝, HLB글로벌
- HLB 그룹주 리보세라닙, 케어론Rx 유력 허가 예상 의약품 목록 등재 소식에 강세 - 2024.03.21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간암신약에 대한 미국식품의약국(FDA)의 허가 기일이 불과
50여일 정도 남은 가운데, 미국 내 주요 PBM(처방약급여관리업체)사로 꼽히는 케어론Rx
(carelon Rx)에서도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을 유력한 허가 예상 의약품
(significant product approvals) 목록에 등재한 것으로 전해짐.
케어론Rx는 지난 17일 공개한 '2024년 1분기 약물 및 생물학적 파이프라인 업데이트
(Drug and biologic pipeline update Q1 2024)' 보고서를 통해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을
올해 허가가 날것으로 예상되는 주요 20개 의약품 목록에 나란히 선정.
해당 파트에는 동사의 신약을 포함해 일라이 릴리와 머크, 화이자 등 주로 빅파마에서 개발 중인
약물들이 포함됐으며, 케어론Rx는 20개의 약물을 소개하며 해당 제품들이 올해 시장에
출시될 것이라고 전망.
▷이와 관련 HLB 관계자는 "주요 PBM들이 리보세라닙 병용요법을 잠재적 약가 협상 대상으로
여기고 있다"며, "앞으로 간암 신약 출시와 이후 본격적인 등재 심사에 관심을 기울이는
PBM들이 더욱 많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HLB, HLB생명과학, HLB제약, HLB글로벌, HLB바이오스텝, HLB이노베이션,
HLB테라퓨틱스/HLB파나진 등 HLB 그룹주가 상승.
[종목]: HLB, HLB생명과학, HLB제약, HLB글로벌, HLB바이오스텝, HLB이노베이션,
HLB테라퓨틱스, HLB파나진
- HLB 그룹주 HLB그룹, 바이오유럽서 빅파마와 비즈니스 협력 논의 소식 등에 급등
▷HLB그룹은 언론을 통해 오는 8일까지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의 제약바이오
파트너링 컨퍼런스 '바이오유럽 2023'에 참여해 글로벌 빅파마들과 비지니스 협력에 대한
논의에 나선다고 밝힘. 이번 행사에는 HLB와 미국 자회사인 엘레바, HLB제약, HLB셀이
참여하며, 리보세라닙 병용요법이 미국 간암 신약허가 본심사단계에 진입, HLB그룹 신약
파이프라인에 대한 대외적 신뢰도가 크게 향상되며, 해외 제약사들로부터 미팅 요청이 부쩍
증가함에 따라 이번 행사에 동반 참여를 결정하게 됐다고 설명.
▷한편, HLB는 미국 자회사 엘레바 테라퓨틱스(Elevar Therapeutics)가 최근 FDA로부터
통보받은 중간리뷰(Mid Cycle Review) 미팅 결과에서 특이한 이슈 제기가 없었다고 밝힘.
중간 리뷰 미팅은 신약 허가(NDA) 본심사 개시 후 대략 3~5개월 시점에서 FDA가 주최하는
미팅으로 이번 미팅에서 특이하다고 할 만한 이슈 제기가 없었던 만큼 신약 허가를 위해
현재까지 특별히 보완해야 할 사항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을 FDA로부터
확인받은 결과라고 설명.
▷이 같은 소식 속 HLB, HLB제약, HLB글로벌, HLB바이오스텝, HLB생명과학, HLB파나진,
HLB테라퓨틱스, HLB이노베이션, HLB생명과학 등 HLB 그룹주가 상승.[종목]: HLB, HLB제약,
HLB글로벌, HLB바이오스텝,HLB파나진, HLB테라퓨틱스, HLB이노베이션, HLB생명과학
- HLB 그룹주 HLB 자회사 엘레바, 美 뉴저지 간암 치료제 첫 판매면허 취득
소식에 소폭 상승 - 2023.05.26
▷언론에 따르면, HLB 미국 자회사 엘레바가 미국 뉴저지 보건부로부터 의약품판매면허를
취득하며 '리보세라닙'의 미국 내 판매 준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엘레바는
미국 상업화 준비에 1년 이상 소요되는 점을 고려, 수 개월전부터 각종 면허나 등록 절차,
마케팅 준비 등을 진행해 뉴저지주에서 이상 없이 면허를 받았으며, 앞으로 미국 전역에서
순차적으로 의약품 판매 면허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와 관련, HLB 관계자는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이 간암 1차 치료제로 탁월한
약효와 안전성을 입증했다"며 "FDA의 신약허가를 받을 수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힘.
▷한편, 리보세라닙은 HLB가 글로벌 특허권을 보유하고 있고 있으며, HLB생명과학이 한국
판권과 유럽·일본에 대한 일부 수익권을, 항서제약이 중국 판권을 가지고 있고, 이외 지역에
대한 글로벌 판권은 엘레바가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HLB, HLB바이오스텝, HLB제약, HLB테라퓨틱스 등 HLB 그룹주가 상승.
[종목]: HLB, HLB바이오스텝, HLB제약, HLB테라퓨틱스
- HLB, 美 FDA에 간암 치료제 '리보세라닙' 신약허가신청서 제출 완료 소식에 급등 - 2023.05.17
▷HLB는 금일 언론을 통해 간암 1차 치료제로 개발중인 표적항암제 ‘리보세라닙’에 대한 모든
신약허가 준비 과정을 마치고, 16일(현지시간) 美 FDA에 신약허가신청서(NDA)를 제출.
국내 바이오기업이 자사의 항암 신약물질에 대해 자체적으로 임상을 모두 마치고 글로벌
시장에서 신약허가 절차를 진행하는 건 이번이 처음으로 알려짐.
▷김동건 HLB 대표는 "동사는 IR 행사때마다 주주들에게 ‘끝내 좋은 결과로 보답하겠다’고
여러 차례 자신감을 밝혀왔는데, 마침내 그 약속을 지킬 수 있게 됐다"며, "새로운 치료옵션을
간절히 기다리고 있는 간암 환자와 가족들, 그리고 오랜 신약개발 여정을 함께해 온 임직원과
주주들이 큰 위안과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남은 절차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언급했음.
▷한편, 리보세라닙은 HLB가 글로벌 특허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HLB생명과학이 한국 판권과
유럽·일본에 대한 일부 수익권을, 항서제약이 중국 판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 소식에 HLB, HLB바이오스텝, HLB제약, HLB생명과학, HLB글로벌 등 HLB그룹주가 상승.
[종목]: HLB, HLB바이오스텝, HLB제약, HLB생명과학, HLB글로벌, HLB테라퓨틱스,
HLB이노베이션
- 美 임상약리학회서 리보세라닙 등 약물 상호간 약동학적 결과 발표 소식에 상승 - 2023303.17
▷HLB는 언론을 통해 표적항암제 리보세라닙을 포함한 약물 상호간 약동학적 결과를 미국
임상약리학회(ASCPT)에서 포스터 형태로 발표한다고 밝힘.
이번 연구는 여타의 다른 약물과 함께 리보세라닙을 복용 시 인체의 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약물 대사효소인 'CYP3A4' 관련 약물상호작용(DDI) 측면에서 잠재적 리스크를 평가하기
위해 진행됐으며, 병용약물들에 대한 개별적인 결과는 라벨링에 기재될 예정이고 리보세라닙을
다양한 약물들과 함께 복용할 때 투약 방법의 기준이 될 전망임.
▷이 같은 소식에 HLB, HLB제약, HLB생명과학, HLB글로벌 등 HLB 그룹주가 상승.
[종목]: HLB, HLB제약, HLB생명과학, HLB글로벌
- 리보세라닙, 간암 치료제로 5월 美 FDA 품목허가 신청 계획에 강세
34,250원(+8.56%) - 2023.03.07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글로벌 권리를 보유한 표적항암신약 '리보세라닙'이 오는 5월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품목 허가 제출 스케줄이 확정된 것으로 전해짐.
다양한 적응증 중에서도 글로벌 임상 3상을 마친 간암 1차 치료제를 대상으로 본격적인 신약
허가 절차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음.
▷이와 관련 항서제약의 자료를 인용한 한국투자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동사와 항서제약은
2분기 중 FDA에 품목허가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며, 지난 2월1일에는 중국 NMPA로부터
간세포암 1차 치료제로 승인받은 것으로 전해짐.
▷또한, 한국투자증권은 동사가 미국 상업화 성공을 위해 투자 및 사업구조 변경을 본격화하고
있다며, 2월17일 기존 사업인 선박 및 파이프 사업의 물적분할 계획을 발표하는 등
바이오회사로 거듭나는 동사의 행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음.
▷금일 동사를 비롯해 HLB제약, HLB글로벌, HLB생명과학, HLB테라퓨틱스 등
HLB 그룹주가 동반 상승.
- 에이치엘비그룹, 美 '베리스모'의 최대주주로 등극 소식에 상승 - 2021.04.26
▷에이치엘비그룹은 언론을 통해 미국 CAR-T(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 치료제 개발사
'베리스모 테라퓨틱스'의 지분 인수 자금 납입을 완료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의 관계자는 "에이치엘비그룹이 베리스모의 최대주주로 올라서며 CAR-T
치료제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고 설명.
▷한편, 에이치엘비그룹은 지난달 29일 에이치엘비제약과 에이치엘비가 총 169.77억원을
투자해 베리스모의 지분 30%(5,738,332주)를 취득한다고 공시한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에이치엘비, 에이치엘비제약, 에이치엘비파워, 에이치엘비생명과학 등
에이치엘비 그룹주가 상승세를 기록.
[종목] : 에이치엘비, 에이치엘비파워, 에이치엘비제약, 에이치엘비생명과학
-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 공매도와의 전면전 선포 속 강세 96,500원 (+7.22%) - 2021.02.01
▷언론에 따르면 전일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는 성명서를 통해 공매도와의 전면전을
선포한다며 공매도의 대표적 피해기업인 동사를 거론한 것으로 알려짐. 공매도가 재개될 경우
공매도 잔량 상위 종목 셀트리온과 동사를 시작으로 게임스톱처럼 해당 종목 개인 주주들과
연대해 공매도 세력에 맞서는 운동을 시작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짐.
▷지난달 27일 기준으로 공매도 잔고 비중 기준 코스닥 6위인 헬릭스미스도 시장에서 부각.
- 리보세라닙, 옵디보와의 병용임상서 효과 확인 소식에 상승 96,100원 (+3.11%) - 2020.11.20
▷동사는 언론을 통해 美 자회사 엘레바가 2020 결합조직암학회(CTOS)에서 리보세라닙과
옵디보를 병용투여한 임상 3상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힘.
임상 시험은 2개 파트로 나눠 진행됐으며, 파트 1에서는 리보세라닙의 용량을 결정했고,
파트 2에서는 매일 리보세라닙 300mg을 복용하고 2주 간격으로 옵디보 240mg을 투여해
안전성과 효능을 확인했다고 밝힘.
그 결과, 질병통제율(DCR) 76.7%, 객관적반응률(ORR) 13.3%, 무진행생존기간(PFS) 7.2개월을
보였으며, 부작용은 예측 가능한 것이었고, 병용으로 인한 부가적인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알려짐.
▷동사의 관계자는 "신생혈관 억제제인 리보세라닙은 단독에서뿐만 아니라 병용 요법에서
더욱 효과가높다는 점이 다시 입증됐다며, 현재 진행 중인 위암, 간암, 대장암, 선양낭성암
외에도 다양한 고형암에 대한 면역항암제와의 병용임상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힘.
- ESMO 에서 매우 탁월한 간암 임상결과 발표 매수[유지] 목표주가(12M) 144,500원
주가(09.17) 117.000원 상승여력 23.5% - 한양증권 - 2020.09.18
이번 ESMO에 20여개 연구결과 발표.
오는 9/19 열리는 ESMO 학회에 무려 20개의 리보세라닙 관련 연구가 발표된다. 에이치엘비는
중국판권을 제외한 리보세라닙 일체의 권리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20개의 연구결과가 모두
동사의 연구결과라 해도 무방하다. 통상 국내 기업들이 ESMO와 같은 국제 학회에 단 한가지
연구결과를 발표하는 것만으로도 주가에는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ESMO에서 결과를 발표하는 메드팩토, 오스코텍, 이수앱지스 등의 주가도 연중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리보세라닙은 20개다. 주식시장에서 어떤 신약 후보물질이 좋은지 나쁜지에 대한 논란은 많으나
아무도 정답을 알 수는 없다.
연구의 절대량 만큼은 리보세라닙이 국내 다른 신약 대비 월등하다고 볼 수 있다.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간암 병용투여에서 매우 탁월한 결과..
이번 ESMO 발표 내용 중 가장 주목할 연구는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의 간암
병용임상 2상 중간결과다.
총 피험자는 190명이었으며, 70명은 1차요법 120명은 2차요법으로 진행됐다.
컷오프 시점 기준 1차요법에서의 ORR(객관적반응률)은 46%이었고 mPFS(무진행생존기간)
6.4개월이었다.
2차요법에서는 ORR 25% mPFS 5.5개월이였다. 사실 간암에서 약 30% 수준의 ORR은
어마어마한 결과다.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지난달 간암 1차요법으로 허가 받아 엄청난 기대를 모으고 있는
‘티센트릭+아바스틴’의 경우 ORR은 27.3%였고, mPFS는 6.8개월이었다.
또한 올해 3월 간암 2차요법으로 허가받은 ‘옵디보+여보이’의 경우 ORR은 33%였다.
이정도 결과로 ‘티센트릭+아바스틴’, ‘옵디보+여보이’ 둘다 초기 임상 결과로 FDA의
혁신신약과 우선심사 지정을 받았고, 빠르게 FDA승인을 득하였다.
그만큼 이번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의 결과는 매우 탁월한 결과라고 볼 수 있겠다.
참고로 현재 간암 1차요법의 표준 치료제인 소라페닙은 ORR이 10% 내외이다.
또한 옵디보 단독요법은 작년 6월 간암 1차요법 임상에서 실패했으며, 키트루다 단독요법
또한 간암 2차요법에서 작년 2월 실패한바 있다.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글로벌 3상 환자모집 50% 돌파.
동사는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의 간암 1차요법 글로벌 임상 3상을 진행하고 있다.
동사의 핵심 파이프라인이라고 볼 수 있다.
510명 대상의 임상이며 최근 환자모집률이 50%를 넘어섰다.
지난달에는 한국의 10개 사이트가 추가되기도 했다.
글로벌 3상에서 만약 다시한번 ORR 40% 이상의 결과를 낸다면 그야말로
대박의 가능성이 열려 있다.
- 바이오 잘 모르겠으면 에이치엘비를 사라 매수 [신규]TP(12M) 144,500원
주가(2020.04.10) 97.600원 상승여력 48.1% - 한양증권 - 2020.04.13
http://consensus.hankyung.com/apps.analysis/analysis.downpdf?report_idx=556952
- ‘리보세라닙’ = ‘에이치엘비’, Why Not?! Not Rated CP(11월 20일): 81,700원 -
하나대투 - 2018.11.21
http://hkconsensus.hankyung.com/apps.analysis/analysis.downpdf?report_idx=502850
- 중국 회사 판매실적이 이정표 투자의견 Not Rated 현재가 (4/13) 92,800원 -
KTB투자 - 2018.04.16
http://hkconsensus.hankyung.com/apps.analysis/analysis.downpdf?report_idx=472662
- '아파티닙' 기대감 지속에 소폭 상승 99,900원 (+2.99%) - 2018.04.09
▷토러스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이번 AACR(미국암학회)에서 PD-1계열의
면역관문억제제와 '아파티닙'의 동물임상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는 '아파티닙'의 병용투여에 대한 가능성을 입증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
▷한편, 아파티닙은 VEGFR-2만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약물로써 부작용이 미미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에 병용투여에 상당한 강점이 있을 것으로 분석.
▷투자의견 : Strong Buy[유지], 목표주가 : 106,500원 → 192,000원[상향]
- 자회사 개발 항암제 리보세라닙 약효 입증 임상 결과 발표 소식에 급등
56,800원 (+15.68%) - 2018.03.23
▷동사는 자회사인 LSK 바이오파마를 통해 개발하고 있는 항암제 리보세라닙(아파티닙)이
전이성 대장암 환자 3차 치료제로서 종양이 완전히 사라진 완전관해(CR)를 비롯한 약효를
입증하는 임상 결과가 최근 국제 SCI 저널에 연이어 발표됐다고 밝힘.
▷이와 관련해 동사는 "대장암은 수술을 받은 환자라도 5년내 재발률이 30%에 이르는 악성
종양으로 아직 확실한 치료제가 없는 상황"이라며, "이번 결과는 리보세라닙이 3차 전이성
대장암 3차 치료제로서 충분한 경쟁력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밝힘.
- 국내 최초 블록버스터 신약 기대감에 소폭 상승 49,500원 (+2.06%) - 2018.03.21
▷토러스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표적항암제 ‘아파티닙’의 글로벌 12개국 임상 3상이 통과돼
본격 판매가 시작되면 한국에서 나올 첫 번째 매출 1조원 규모의 블록버스터 의약품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힘.
▷'아파티닙'의 임상 3상은 현재 미국, 유럽을 포함한 글로벌 12개국 95개 병원에서 진행 중으로
진행률은 이미 50%를 넘어섰다며, 중국에서 효과를 확인한 만큼 임상 3상 통과할 확률이 타
물질 대비 매우 높다고 밝힘.
- 아파티닙 첫 임상환자 등록 및 투약 소식에 소폭 상승 33,300원 (+2.78%) - 2017.12.21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회사 LSKB의 표적항암제 '아파티닙' 글로벌 3상 임상시험에서 미국과
유럽 첫 환자가 동시에 등록돼 약물 투약을 시작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최근 유럽 현지에서는 아파티닙이 미국 FDA로부터 위암
표준치료제로 승인받은 블록버스터 약물 ‘시람자’보다 2배 이상의 우월한 효능을 보였다는
임상 결과에 따라, 아파티닙의 임상에 대한 환자들의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라고 밝힘.
'조선·기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텍 067170 (0) | 2017.11.14 |
---|---|
태광 023160 (0) | 2017.11.14 |
알에스오토메이션 140670 (0) | 2017.11.14 |
성광벤드 014620 (0) | 2017.11.13 |
세진중공업 075580 (0) | 2017.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