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람도예 : 금파 주은정: 김해시 진례면 진례로 122/010-6416-5366
2017 전국차도구공모전 동상 / 김해공예대전 동상 / 경남공예대전 장려/ 전국차사발공모전 입선
전국분청공모전 입선
2016 경남공예대전 장려
2015 대한만국 공예대전 장려 / 경남공예대전 은상 / 김해공예대전 특선
2014 대한민국공예대전 특선 / 경남공예대전 동상
현)경남공예조합 회원, 경남도예협회 회원
- 가람요 전창현 : 경북 문경시 문경읍 당포길 112-32 / 054-571-5711 / 010-2319-9147
1975 대구 출생
2002 계명대학교 미술대학 산업미술학과(도예전공) 졸업
< 수 상 경 력 >
2017 평창동계올림픽대회 예술포스터 공모 당선, 문화체육관광부
2017 CICA 37 선정, 알코라 도자박물관, 스페인
2013 경상북도 공예품대전 대상
2012 전국찻사발공모대전 특별상
2011 갤러리박영 신진작가 공모 당선
2010 해외주재문화원(베트남영국), 재외공관(홍콩영사관) 상설전시작품 선정
2009 대한민국공예품대전 한국공예가협회이사장상
< 전 시 내 역 >
2009-2017 개인전 8회
2016-2017 아트페어 7회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예술포스터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16 TEA is HOT, 테헬렌틴슈어 도자센터, 테헬렌, 네덜란드
2015 Keramik & Tea, 베스터발트 도자박물관, 훼어그렌츠하우젠, 독일
2013 Narrative Vessels from Korea, 베셀스 갤러리, 보스턴, 미국
2010 판타스틱월드전,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 가락무안요 : 여산 강경찬 : 경남 밀양시 무안면 양효2길 23
1999 도예입문(무주 가락요) 시미즈 히로시선생님 사사
2001 일본 락산요 도자기 수업(미에현)
2007 가락 무안요 축요
2007 밀양 도예가회 장작가마 교류전
2008 밀양시 관광기념품 공모전 동상
2009 통도사 성보박물관 초대전
2010 봉산 컬츄럴 센터 개인전(대구)
2010 대한민국 찻사발 특별전(월정사 성보박물관)
2010 경남 찻사발 공모전 으뜸상
2011 창원 성산아트홀 개인전
2012 전국 찻사발 공모대전 동상
2013 여산 김경찬 작품전(대백프라자 갤러리)
- 가마가 텅빈 날 : 고미숙 경기도 이천시 경충대로2993번길 26-25 031-631-3144 | 010-2278-3544
http://blog.naver.com/dalpange98
- 가마뫼 : 김종철 경기도 이천시 경충대로 2993번길 031)633-7245
- 가마지기 : 강병덕 : 경기여주시여양로285
- 가야도예 : 이성훈 :김해시 진례면 진례로 275-58 /010-5161-2212
- 가야비파구룡요 : 土昇 김남진: 경남 사천시 사남면 조동길 60 (T 055- 254-4365)
http://cafe.naver.com/gaya900/
- 가원도예공방 : 문애기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시어골길50번길 25-6 010-7359-8820
- 가은요 : 토주 남강南杠 박연태 : 경북 문경시 가은읍 모래실길 28-51 / 070-8680-5140 010-8850-1242
경일대학교 졸업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예과 졸업
(사) 한국차인연합회 한국다도대학원 14기 졸업
다도구 명인 제13-1102-24호
2001~2004 문경대 도예과, 대구예술대 도예과 출강
2005~2012 문경시 여성회관 출강
2016~ 문경시 여성회관 출강
상주 교육청 학생수련원 출강
< 수 상 경 력 >
2003~2004 기능경기대회 금메달 및 동메달
2011~2012 김해 분청도자기 공모전 은상, 동상
2013 일백인 찻사발 전국 공모전 대상
2014 문경 전국 발물레 경진대회 대상(일반부)
문경 전통 찻사발 공모전 은상
2015 아름다운 우리도자 공모전 최우수상(경기도 도자 박물관)
경남 찻사발전국공모전 동상
김해 분청도자 공모전 동상
문경 전국 발물레 경진대회 은상 2회
구미디자인대전 금상
경북 공예품 경진대회 및 관광기념품공모전 각 장려상
그 외 각종 공예대전 및 차도구전, 미술대전 입·특선 110여회
< 전 시 내 역 >
개인전
2001 분청전(대구,한양갤러리)
2002 花器화기(대구,석갤러리)
2003 茶도구전(대구,봉성갤러리)
2004 茶도구전(대구,중앙갤러리)
2005 茶자리 메움전(서울,통인화랑)
2008 茶樂다락(대구,대백갤러리)
2010 茶도구전(서울,가이아갤러리)
2016 그릇전(대백프라자 갤러리)
2017 차도구전(다운재 갤러리)
단체전
2002 대구 미술도예작가 초대전(대구동아백화점)
2004 대구예술대 개교 기념 초대전
2006 문경도자 명품전(세종문화회관 전시실)
2007 경북 우수공예품 유럽전(프랑스 파리 예니아트홀)
2008 한국 다도 신문사 개관 초대 개인전
2009~ 현(사) 한국미술협회 문경지부 정기전
2010~ 현(사) 경북 도자기협회 정기전
2012 한·일 도자교류전(일본 교토박물관)
2013 한·호 장작가마 국제 도자교류 워크샵 및 전시(쎄라피아)
2016 동·서양 도자 교류전(미국노스캐롤라이나 캠벨하우스 갤러리)
한·중 도자명인 100인전
그 외 120여회 전시
현) 가은요 대표
(사)문경전통도자기 협동조합 회원
(사)한국미술협회 문경지부 회원
(사)한국미술협회 정회원
(사)한국차인연합회 회원
한국 다도대학원 14기 총동창회장 역임
(사)경북도자기협회 이사
- 가지산요 : 임순덕(임리아) : 울산시 울주군 상북면 양등리
- 가평요 : 김시영 : 강원도 홍천군 서면 길곡길 412
- 갈미도예 : 서회진 경기 하남시 감초로70번길 63 / 010-2300-1311
- 갈평요 : 설송 신석용 : 경북 문경시 문경읍 관음길 50 / 054-572-3481 / 010-2010-3481
1999 도예 입문
2003 문경요 도천 천한봉 선생 사사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사기장 32-나호, 대한민국 도예명장)
2007 문경대학 도자기공예과 졸업
중국 경덕진 도자대학교 청화과정 수료
중국 경덕진 양빙 선생 사사
2009 대만 잉거박물관 두두옥 다완 영구 소장
2011 중국 심양 공예미술대사 장옥동 선생 사사
2012 중국 북경 청화대학교 제2기 공예미술대사 고급연수반 수료
< 수 상 경 력 >
2006 제1회 국제다구디자인공모전 특선 외 4회 입상
2007 제22회 대한민국 전통미술대전 특선 외 1회 입상
2008 문경 전통찻사발공모대전 특선
2010 제11회 중국 국제예술작품공모전 동상(중국 항주)
2015 문경 전통찻사발공모대전 은상
2016 제3회 경남찻사발 전국공모전 특별상
2017 제14회 전국찻사발 공모대전 대상
< 전 시 내 역 >
2007 중국 경덕진박물관 개인전
2008 도천 천한봉 도예 60년전
2009 한·중 도자명인 100인전
한국·대만 교류전(대만 신광백화점)
2010 인사 아트페어 전시(토포하우스)
중국 공예미술대사 및 국제예술작품 전람회
2015 한국생활다기 명품전
현) 갈평요 운영
- 강수화백자연구소 : 강수화 (KANG SOO HWA / 姜壽華) 1935 ~ 1991 )
함남 원산출생1972-1991 경희대 교수 및 요업공예학과장/1981 남한산요(강수화백자연구소) 소장 등
- 강진 청우요 : 이신 윤윤섭 : 전남 강진군 대구면 청자촌길 30-11 / 061-434-3477
강진무형문화재 39호 청자장이천에서 "해평요"운영 -->강진으로 요장을 옳겨 "청우요"운영
- 강진탐진청자 : 예청 : 전남 강진군 대구면 청자촌길 20-16
제1호 강진군 명인 지정
제3호 전라남도 공예명장 선정
대한민국황실명장지정
제7회 대한민국 황실공예대전 황실문화대상 수상
전국 대한민국 공예품 대전 국무총리상
제17회 대한민국 청자공모전 디자인부문 최우수상
청자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특허출원
한국관광공사 지정 우수문화상품선정
- 강파도예 : 1代 토우(土偶) 김종희(金鐘禧) 2代 강파(江波) 김일(金一) 3代 김은(金垠)
경남 합천군 가야면 가야산로 1289 / 055-932-9998
1代 토우(土偶) 김종희(金鐘禧)
- 개천요(開川窯) 개천 박상진 : 경기 광주시 탄벌길 166-8 / 031-766-1885
1958 전북 정읍출생
1971 지순택 고려도요 입문
1974 박부원 도원요연마
1987 개천요(開川窯) 설립
1989 일본국 다가시마백화점-전통분청사기워크샵(도쿄, 요코하마, 교도, 오사카)
1992 경기도 우수 도예인 지정
1993 서울도예비엔날레 전 워크샵(서울시립미술관)
1995 경기도지사 표창
1999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정추국제공예비엔날레 조직위원회 감사장
2001 세계도자기엑스폭-경기도지사 감사장
2005 소사벌 공모전 대상수상
2006 전라남도 디자인 공모전 심사위원
2007 제37회 전국공예품 대전 심사위원
2008 대한민국 명장 도자분과 심사위원
2008 17대 대통령 감사장
2009 경기디자인 공모전 심사위원
2010 현대도예 공모전 대상 수상
2011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41호 지정
2012 전통공예산업대전 심사위원(KBD 주관)
2012 전통가마보존 협회 회원
- 거칠뫼 : 도정 박순관 :
- 경은도예-->수작 : 김종석 : 상주 / 010-2049-4679
- 경주요 : 김태훈 (도예공방후니<구>)
- 고당도예 : 古堂 趙斗彦 조두언 :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경충대로311번길 3 / 010-7106-0294
- 고도산방 : 오미애 : 김해시 진례면 진례로 311번길 46-52/010-4599-4694
- 고려도요(지순탁요) : 도암(陶庵) 故 지순탁 :
- 고려천목요 이구원 : 경북 문경시 산양면 경서로 579 / 054-554-3582
- 고령요 :土人 백영규 경북 고령군 개진면 개경포로 160 / 054-955-9449
출생:1938년 10월 15일, 일본 소속; 고령요(대표), 고령요 도예전수관(전수관장)
수상: 2008년 올해의 명다기전 봉상
2000년 경상북도지사 표창
1999년 국제전통도예 명인명장 50인전 은상
경력:경상북도 문화재위원회 위원
고령요 대표
- 고산요 : 이규탁 : 경기 이천시 신둔면 석동로 100-14 / 031-632-8218
1978 일본 高取窯 입문 11대 高取靜山선생 문하 도자술 전수
1981 高取靜山과 제자전 (뉴욕)
1982 일본 암전옥 미술관 도예전
1985 KBS도자기 공모전 장려상
1991 고산요 설립
1992 일본 RKB방송국 초청 전시회
1996~1999 대한민국 도예대전, 공예품경진대회, 한중일 전통도예작가전, 전국관광기념품공모전 등에서 수상,
한일도자기 문화 교류 400년전 출품, 이천도예가협회전 출품, 명지대학교 대학원 도자기발표 작품전, 세계도자기 엑스포 생활도자전
2000~2004 한국다기명품 100인전,세계도자기 엑스포 전승도자 초대 출품전, 한국현대도예작가초대전, 카나다한국도자전,
한국중견도예가 다완 초대전 장작가마를 사랑하는 사람전 등
현 고산요 대표,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 출강, 명지대학교산업대학원 도자기 기술학과 출강
작품소장 : 멕시코 국립박물관, 러시아 구립밪물관, 국립민속발물관, 국립박물관, 조선관요 박물관,성균관대학교 박물관
- 고선요(고선도예연구소) 부전요 故)고선 박인원 : 경기도 광주군 초월면 도평리 222-1
백자명인 해강 선생님으로 부터 사사하고 :동국요"와 "부전요"를 거쳐
경기도 광주에서 고선요를 설립하여 활동중인 중견도예가
- 고성도예 : 古城 조병호(여주시 도예명장1호) 031-885-3613경기 여주시 대신면 대신1로 102 / 아들 조용준
1966년 부산 대한도자기(주) 연구소 입사
1970년 수원동아요업 연구실장 엮임
1974년 선도산업(주) 연구실장 엮임
1977년 현 고성도예연구소 설립
1980년 국전 도예부분 출품
1982년 서울신문 도자공모전 출품
1982년 한일물산전 4회
1982년 일본 同和신문 한국도예부문 초대
1982년 일본 名古전회관 라이온스클럽 초청 笑岩 金享垣 서도전
1982년 한국 전통도예대상 초대작가
1983년 미국LA羅城 올림피아 라이온스클럽 초대 서도전
1983년 부산 임호화랑 개인전
1983년 월간 시사통신 은행월간 행원지 백자초대
1985년 제15회 전국민예품 경진대회 서울시 출품 입선 및 본선 입선
1985년 제15회 전국민예품 경진대회 경기도 출품 입선 및 본선 입선
1985년 신 미예대전 초대작가
1986년 제16회 전국민예품 경진대회 중앙 입선
1987년 한국미예연구회 신미예 대전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1989년 제19회 경기도 공예품경진대회 입선
1996년 제26회 경기도 민예품경진대회 경기도 입선
1998년 경기도지사 표창 제2296호
1999년 여주대주관 세종도예 공모전 심사위원
1999년 롯데백화점 광주, 이천, 여주 초대전
1999년 2001 세계도자기엑스포 주관 생활도자공모전 초대작가
2000년 2001 세계도자기프레엑스포 조대작가
2005년 경기으뜸이 지정
2006년 여주군 도자 명장 제1호 지정
- 고송도예 고송(古松) 이재환 : 이천시 사음동 583-2
- 고암요 : 고암(古岩) 김흥복金興福 : 경기 이천시 경충대로2993번길 80 / 031-633-0358
- 고운도예 :동주 東洲 이경호 : 광주 동구 운림동 468-3
- 고천도자기 :고천 한완수 : 경남 사천시 축동면 서삼로 973 / 055-854-0005
- 관문요:심천 김종필 - 경북 문경시 문경읍 화계1길 83 / 054-572-3931 / 010-3502-3931
계명대학교 산업미술학과(도자전공)
2000 ~ 2003년 문경요 도천 천한봉 선생 사사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사기장32-나호, 대한민국 도예명장)
< 수 상 경 력 >
2009 전국찻사발 공모전 은상(立鶴다완)
국제다도구 디자인 공모전 장려상
2010 전국찻사발 공모전 금상(立鶴찻사발-중소기업청장상)
대한민국 올해의 명다기(다완부문) 은상
국제다도구 디자인 공모전 장려상, 특선
2011 전국찻사발 공모전 특별상
대한민국 올해의 명다기(다완부문) 은상
국제다도구 디자인 공모전 특선
2013 전국찻사발 공모전 은상(立鶴찻사발)
2014 경남찻사발 전국공모전 금상(立鶴찻사발)
전국찻사발 공모전 은상(金海찻사발)
2015 경남찻사발 전국공모전 대상(彫三島찻사발)
2016 전국찻사발 공모전 대상(立鶴찻사발-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대한민국 올해의 명다기(다완부문-학상)
< 전 시 내 역 >
2015 한일 조선가라츠 도자전(동경-한큐백화점 갤러리)
2016 동양과 서양의 만남전(미국-켐벨하우스갤러리)
2017 호치민-경주세계문화엑스포 미술교류전 참가(호치민)
2018 대한민국 관광명품 선정(청와대 사랑채)
< 작 품 소 장 >
중국 치박 박물관
대만 잉거 박물관
현) 관문요 대표
- 관욱도예 : 관욱 김종욱 : 경북 문경시 문경읍 관음길 292-12 / 김수태 054-572-2511 / 010-6324-8086
2008 단국대학교 도예디자인과 졸업
< 수 상 경 력 >
1999 교욱부 장관배 입선(여주대학)
2000 세계도자기 프레엑스포 클레이올림픽 특별상
2001 도자 조형부문 대상(충청북도 도지사)
강진 황토축제 물레부문 은상
단국대학교 물레성형부문 은상
여주대학 물레경진대회 대상
교육인적자원부 장관배 물레부문 은상(성화대학)
경희대학 주최 도예부문 장려상(서울미술협회)
2002 경기도 기능대회 도자기부문 장려상
여주대학 물레경진대회 대상
2003 강진황토축제 물레부문 은상
2007 백제문화제 물레경연대회 금상(부여군수)
문경찻사발공모전 특선 2회
2009 경기도 세계도자비엔날레 입선
대한민국 현대도예공모전 입선 2회
2011 대구광역시 기능경기대회 금상
전국기능경기대회 1위
최우수 신지식인 선정
최우수 지식서비스 최우수기업 선정
2013 발물레경진대회 대상
2014 도자기기능대회 지도위원
2014 도자기 기능경기대회 심사위원
전) 한국도자도예고등학교 강사
현) 관욱요 2대 운영
- 관음요 : 미산 김선식 ; 경북 문경시 문경읍 갈평길 56 / 054-571-5780 / 010-3548-2549
2005 大韓民國 文化藝術部門 新知識人 選定
2013 大韓民國藝術財團 (사)藝術名人 選定
2014 慶尙北道最高匠人 選定
1991 7代 金福萬(父)에게 觀音窯陶 繼承 및 陶藝 傳受
1998 傳承陶藝大展 入賞
東亞工藝大展 入賞
1999 嶺南陶藝 百人展 出品
2000 京都相國寺 茶碗 永久展示
國立民俗博物館 井戶茶碗 永久展示
2001 聞慶陶藝家 九人展(大阪)
韓美文化財團 招請 美州巡廻展示
韓國茶器 名品特別展
2002 全國嶺南美術大展 工藝部門 特選
2003 太平洋 濟州 茶博物館 茶器 永久展示
全國嶺南美術大展 工藝部門 優秀
2004 大邱 大德文化會館 招請 展示會
2005 全南 順天 文化藝術會館 展示會
中國 靑道(칭다오) 總領事館 後援 展示會
全國嶺南美術大展 工藝部門 特選
大韓民國 文化藝術部門 新知識人 選定
景命辰砂(특허), 觀音竹葉茶器(특허)
2006 京都 野村美術館 高麗茶碗展
全國嶺南美術大展 綜合大賞 受賞
2008 城南 Arts Center 金善植 個人展
2010 現代美術大展 特別賞 特選 受賞
第35回 大韓民國 傳承工藝大展 入賞
(鐵畵梅竹紋壼)
金牛文化財團 인효마을돕기 慈善展示會
2011 아랍에미레이트 두바이 韓國總領事館 招請 個人展
2012 現代美術大展 最優秀賞, 特別賞 受賞
美國 NCECA 展示會 찻사발 出品
2013 嶺南日報 招待展
2014 釜山 금정문화회관 展示會
2015 KBS大邱放送總局 開國 76週年 記念 特別招待展
2016 慶尙北道 文化賞(57회)
TBC 초청 수성아트피아 초대전(도예명가를 찾아서)
2017 한전아트센터 초대전
BBS 부산 불교방송 특별 초대전
現) 正文文學賞制定施行(後援會長)
영강지상 白日場 制定 旅行(後援會長)
地域開發 革新委員會 會員
韓國造型藝術學會 會員
- 광산도예 : 무원 노병수 경북 문경시 문경읍 여우목로 474-86 / 010-7777-0092
- 광성도예 : 광성 박성호 : 031-885-0196경기 여주시 현암2길 58-8
- 광재도예 정광재
- 광주요 : 광호(廣湖) 조소수 (1912∼1988)
- 괴산요 : 故) 희재 황규동(1917-1993) 충북 괴산에 철화백자 가마터를 복원하여 <괴산요>를 세움
- 구선도방 : 김용윤 :
- 구양요 : 이용백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경충대로 312번 길 010-6631-6878
2015 경기도지사 표창
2015 한국·미얀마 문화교류전
2013 인도네시아 문화부장관 표창
2013 한국·인도네시아 문화교류전 (카사블랑카)
2010 한국·인도네시아 문화교류전 (간다리아)
2010 주일한국대사관 일본 문화원 초대전
2007 경기도지사 표창
- 구천요:구진인: 경남 밀양시 산내면 도래재로 38-6
- 군당요 : 박동기 :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산수로 45-30 010-3225-1925
- 궁림요업 : 김수산 : 경기 여주시 신륵로 107 / 031-884-5776
- 규담요 : 오규영 :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용면리 355- 3 /010- 3249- 2543
- 금당요 : 김구현 : 경북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305-9 / 010-5360-0708
1993 전통목조각 입문(명장 소천 이동술 선생 사사)
1998 새재조각 설립
2002 영남요 입문
2002~2006 무형문화재 105호, 전수장학생 선정
2008 관봉요 운영
2010 금당요 개칭
2012 동아예술대전 특선
2014 동아예술대전 동상
2015 동아예술대전 은상
- 금산도예 :금산 양계승 : 061-745-1120 전남 순천시 상사면 민속마을길 398
- 금석도요 : 임호형: 경기 이천시 경충대로2993번길 26 / 031-637-3467 / 010-6456-7073
http://blog.naver.com/lim73000
<임호형 작가_ 양력>
1990년 도예입문
2002년 금석도예설립
2006년 오산시청 로비 성호미술인협회 회원전
2007년 해태크라운 공모전 입선
2007년 대한민국 현대공모전 입선
2007년 온고을 전통공예 전국 공모전 특선
2008년 해태 크라운 공모전 특선
2008년 대한민국 현대도예 공모전 입선
2008년 온고을 전통공예 전국대전 특선
2008년 동경 한국문화원 명지대학원 도예과 동문전
2008년 이천셰계도자엑스포단지 전시실 명지대학원 도예과 동문전
2008년 명지대학원 작품전시
- 금암요 : 달묵 박영현 :경남 사천시 금암길 92 / 055-833-6606
- 금우요 한순옥 : 경북 문경시 문경읍 관음1길 257 / 010-4780-8696
- 금정요 : 송병성
- 금천요 오인탁 (오재근) : 경북 문경시 산양면 현리4길 79 / 010-5636-7325
흙의 질감과 흙의 맛을 추구하는 도예가
주 작업 : 찻사발, 다구, 달항아리
2013~ 문경전통찻사발축제 참가
< 수 상 경 력 >
2005 현대도예 공모전 찻사발전 입상
2010 충남 공예품경진대회 특별상
2011 서울 티월드 페스티벌 특별상
2015 경남 찻사발대전 입선
2016 문경 찻사발 공모대전 입선
< 전 시 내 역 >
2004 테이블웨어 1회전
2006 인사동 경인미술관 춘향전
2007 서울 티월드페스티벌 참가
부산 차문화전
2008 공예트렌드 페어전
2009 서울 북촌 지노갤러리 담다전
2012 한국예술가협회전(인사동 하나로 갤러리)
2013 창원 차문화전
2014 김대중콘벤션 차문화전
2015 여의도 국회 차문화전
COEX 핸드메이드 페어전
경주 도쿄호텔 차문화전
2016 여의도 국회차문화전
경주 토쿄호텔 차문화전
2017.06 여주 황학산 도자기로 만나는 야생화 전시회
2017.09 찻사발 이야기전(문경문화예술회관)
현) 금천요 운영
- 기봉요: 박치만 : 울산 울주군 온양읍 대안4길 10
- 기천요 : 又泉 장기은(2대) :경북 성주 기산 장원석
- 길성도예 : 원당 길성,김기정(딸) 경남 하동군 고전면 진양로 280- 8
- 길암요 : 토현 김길진 : 경북 문경시 문경읍 주흘로 241-29 / 054-571-9955
故) 토암 김성기(뇌암요) 차남
- 길천도예원: 이한길(李漢吉) 경남 김해시 진례면 진례로 337-3 / 055-345-5043
- 김갑순요 : 김갑순 :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새오리로 326-7 하람공방
2007~2011년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도자수학
< 전 시 내 역 >
개인전
2013 웅갤러리(서울)
2013 근대화상회(서울)
2015 아트갤러리 청담(청도)
2016 갤러리 다운재(울산)
2018 정소영의 식기장(서울)
동원화랑 (서울)
단체전
2009 동원화랑 3인전(대구)
2012 가산화랑 3인전(분당)
2014 KCDF 기획전시 ‘공간에 스며들다’ (서울)
2015 동산방화랑 artist discovering project (서울)
2016 gallery kley 장작가마 6인전(호주)
2017 창경궁, 정조, 창경궁에 산다.(서울)
- 김해요 : 도월 김경수 : 김해시 생림면 안양로 308-36 / 055-335-6066
- 나도요 : 나선옥: 경기도 하남시 덕풍북로 210, 104동 207호 010-6364-6683
- 나래 도자공방 : 홍도경:010-5030-7109/김미경 010-8634-7109 /여주시 북내면 가정긴골길 81
- 나오리공방 : 양승호 : 충남 태안군 이원면 이원로 2811-10
주요경력
1978-1981 : 서울 근방에 작업장 설치 및 작업
1981-1983 : 영국이주, 트임기법 개발. 아트센터 및 공동작업장에서 일함.
1983-1985 : 프랑스이주, 작업장과 통가마 설치,작업
1985-2000 : 스위스에 작업장과 통가마 설치, 프랑스,스위스를 오가며 일함.
2000 : 국제예술단체 나오리 창설, 태안 이원면 만대마을 전통 통가마 설치
2000-2013 : 갯펄도예 개발, 제1회 ~ 7회 나오리 축제 기획 및 주관, 스위스 나오리 협회 결성(2009),
한국과 유럽을 오가며 창작 및 교육활동
현재 : 아티스트 그룹 나오리 대표, 제7회 나오리 생태예술축제 총감독,
고향 태안에서 도예창작·장작가마운영·예술교육을 기획, 예술의 본질과 사회적 환원활동 추구.
양승호 프로필
1955년 충남 태안 갯마을 출생
1974년 단국대에서 도예 입문
1978년 단국대졸업
수 상
1983 시각미술 분야 작품 활동비 (영국 중서부예술원)
1983 작품 연구비 (웨일즈예술원, 교육청)
1993 작품 공로비 (스위스, 베른)
1993 국제소금구이공모전, 2등상 수상(독일, 코브렌쯔)
1993 플레처 챌린지 도예공모전 우수상 수상(뉴질랜드, 오클랜드)
1996 바이에른 주정부상 수상(독일. 뮌헨)
작품 소장
해러포드 시립박물관, 그린비비안 미술박물관 (영국) 스완씨 도자기박물관,
다이데스하임 케라미온 도자기박물관 (독일) 프레켄 공예수집관 (스위스, 베른),
란데스박물관 (독일, 칼스루헤) 수공예협회 수집관 (독일, 코브렌쯔),
국립도자박물관 (프랑스, 리모지)
- 남광도예 : 강성구 : 경기 이천시 신둔면 도자예술로62번길 157 / 031-633-0560 . 010-3791-0560
- 남광요 : 노승열 :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분원길 17-38 / 010-3665-6536
2008 33回 대한민국전승 공예대전 입선(사신도문발)
1998 국보 및 보물 도자기 재현전(롯데화랑)
1989 우수공예인(경기도지정) 89-9호
1985 전승도예 협회전(동방프라자)
1984 한국전승도예전(롯데백화점)
1983 남광요 설립
1972 고 안동오선생 수제자
- 남양요 운산 김윤식 : 경북 문경시 문경읍 문경골프장길 88 / 054-571-3933 / 010-9181-6033
1992 가업 계승
< 수 상 경 력 >
2008 영남미술대전 특선
2009 영남미술대전 장려상
2010 현대미술대전 입선
뉴스매거진 제정 전통예술대상 수상
2012 제9회 전국찻사발공모대전 특별상
2014 타임인물문화 전통도예 대상
2017 대한민국 전승공예대전 입선
현) 대를 이어가는 청화백자 8대 남양요 운영
- 노산도방 : 홍성일 이혜진 : 전남 보성군 보성읍 노산길 6-11 / 061-853-4659
- 녹두요 : 이상욱
- 녹원요 :故) 서창 유창곤
녹원 유용철 : 경기 이천시 신둔면 원적로512번길 317 / 031-637-7723
https://www.youtube.com/watch?v=Pyy-V8fOySA&feature=youtu.be
- 농담과 토리 : 농담도예 토리공방 : 경기도 이천시 경충대로 2993번길 25 010-6223-8319
- 뇌암도요 : 토암 故 김성기, 靜岩 金大鎭 :경북 문경시 문경읍 관음1길 162-20 ( 010-4811-4545)
一代 土岩 故 김성기
1931 8月15日 生
1938 9세때 도예가 양근택님의 門下生으로 입문
1948 입문 11년에 늘기(사발) 및 삼도(미시마)다완 작품 완성
1950 이도 다완 완성
1967 입문 30년에 화장 백자 대작 및 진사 대작 완성
1988 입문 51년에 자연 청자 재현
전국 각지에 전통가마 13개소를 조성
1991 충주 국립문화원 전시
세계일보, 영남일보 및 지역지(일간지)게제
잡지 화랑도 및 대구 여성지에 게제
1993 서울 국립 중앙박물관 전시
(한국사기 장인 7인전)
문경시 巿報에 소개
1994 서울 국립 중앙박물관 전시
(한국사기 장인 6인전)
한국 전통도자기 계승 협의회 정회원
1994.3 문경군수 감사패 받음
1994.10 대구체육부장관(이민섭) 감사패 받음
1995.7 대한민국 H. M. A심미회 특별 문화상
1995.9 대구일보에 게재
세계평화문화재단 국제 공모미전 특선
1996.3 제17회 일본 국제 공모미전 수상작가 초대
KOREA H. M. A전시(롯데화랑)
문경 낙동신문에 게재
1996.5 세계학술 문화심의회 국제 그랑프리 수상
1996.7 신일본 미술원에 정회원으로 임명
한국일보, 세계일보, 영남일보, 조선일보,
문화일보, 중앙일보에 게재, SBS모닝와일드에 출현
1996.11 제28회 신일본 미술원(신원전)에서 금상 수상
1997.4 아시아나 항공사 社報에 게재
1997.7 제18회 KOREA H. M. A일본 국제공모 신원전 수상작가 초대전
1997.11 제29회 신일본 미술원(신원전) 수작상 수상
1998 용흥초등학교 장학회 설립
2000.2 김성기 전도 도예전(개인전) - 대구동아쇼핑전시관
2000.6 제30회 경상북도 공예품 경진대회 특선
2000.10 도자기용 유약의 제조방법 및 도포방법 특허출원
(특허출원 제2000-48667/8)
2000.11 한국정수미술대전 도예부분(진사도자기) 입선
2003.1 작고
2대靜岩 김대진
1966 경북 문경 출생
1989 부친 1대 토암 김성기 옹으로부터 전수
2000 경북 공예대전 특선
2001 일본 오사카 문경 도예 9인전
2002 문경대학 졸업
2003 가업계승
도자기 유약 진사, 천목 특허 출원
2004 대구 개인전
2004~2009 각종 감사패 및 주간지에 게재
2016 새 경북시대 개막 기념 달항아리 작가 15인 초대전
2016 현, 뇌암도요 대표
- 다선도예: 백영기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장심길165번길 51-10 010-3205-8657
2015 광복 70주년기념 광주왕실도자전 ? 화해 평화 창조의 새천년을 위하여(남한산성아트홀)
2012 2012 테이블웨어전(남한산성아트홀)
2010 가족을 위한 봄 & 가을 상차림전 2회(예술의전당 미술광장)
2006 이태리 로마교황 베네딕토 16세님께 홍이도다기 증정
2006 백영기 찻그릇전
2004 TEA WORLD FESTIVAL 차문화대전(COEX)
2003 한중문화교류전(중국 치박시)
2002 광주왕실도자기축제 출품 및 전시
2002 대한민국공예작가전(프랑스 파리)
2001 세계도자기엑스포 경기도 광주, 출품 및 전시
- 다올도예 : 김성찬 : 경북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584
- 다인도예: 연기선 :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산이길51번길 11-15 / 010-3368-233
2015 다인도예(대표)
세종문화회관(광화랑 전시)부산롯데호텔.부산문화회관 전시
서울롯대호텔 국보물도자기 재현전
청주국제비엔날레 전시
2007 문경세재 전국찻사발 공모대전 은상(2007.2008)
경기도 공예품경진대회 특선(29.30.31회)
1996 서울특별시 공예대전입선(1996)1993 대한민국 공예대전 입선(1993)1984 도예입문
- 단성요 : 이병권 :경기 용인
- 단원요 : 조민호: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진우3리 670-1 / 010-5473-8820
제8대 광주왕실도자기 명장(2017)
- 단장요 : 강영준 :경남 밀양시 단장면 표충로 156-35 / 055-353-4850
- 담꼴 김종영 :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마소로 11번길 6-19
1989년 -부산공예 고등학교 도자전공 졸업
1990년 -이천 일월도예
1998년 -도예작업장 하늘공방
2000년 -도예작업장 담꼴
2006년 -경기도 관광기념품 공모전
2007년 -경기도 도자 비엔날레
2008년 -한국 전통문화학교 옹기프로그램
2009년 -경기도 도자 비엔날레
2010년 -경기도 기능경기대회
2010년 -제45회 전국 기능경기대회
- 담담도예 김상만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도자공예학과 강사, 묵악도예가회 회원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남정1리 297-2
전화 031-631-8368 019-326-8363 e-mail 2weed@hanmail.net
- 대미요 : 김윤식:문경
- 대부요 : 황인성 :충북 괴산군 문광면 문법3길 35-31 / 010-6889-0107
- 대한도예 : 이정웅 : 경기 여주시 학동1길 36
- 도강요 : 조태환 :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벌열미길 45 / 010-2358-3790
- 도걔요 : 강준호 :
- 도곡요 : 정점교 : 정조이라보 찻사발로 유명한 작가 :경북 영천시 임고면 선원리 202 / 054-336-2223
- 도광요 : 김경선 :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489 전화 054-571-2500 / 010-5296-8567
충남 광천 출생
1982 마산요업센터 수료 도자자격증 취득(도예 입문)
1983 용인 고 한익환 선생으로부터 전통도예기법 전수
2010 대구 불광사 불교대학 초청 전시
Japan CATV 형제도공 전국 방영
< 수 상 경 력 >
대한민국 전승공예대전 5회 입상
대한민국 현대미술대전 대상
대한민국 정수미술대전 입상
대한민국 2012 문경찻사발축제 최우수축제지정
문경전국전통발물레경진대회 대상
- 도농도예: 인현식:경기 이천시 양진로114번길 39 / 031-638-1406
2013 G-공예 페스티벌 (경기도 공예품대전) 대상
2013 제43회 대한민국 공예품대전 국무총리상
2013 제2회 KDB전통공예 산업대전 대상
2011 공예트랜드페어 올해의 작가상 (grand prize)
2010 국제 다구 디자인 공모전 대상
2009 경기도 세계도자비엔날레 ‘Ceramics Space & Life’
- 도동요 : 김용석
- 도문도예: 刀文 이상국
- 도문요 : 김대철 : 김천시 농소면
- 도성청자도요 : 김영수 : 경기 이천시 신둔면 도자예술로62번길 156 / 031-632-7716
- 도암요 : 故 지순탹 :경기 이천시 신둔면 원적로512번길 275-26 / 031-638-7478
- 도야공방 : 김세현 : 경기 의왕시 초평로 85-34 / 031-461-3532
2017 우수문화상품 선정 (문화체육관광부)
2017 공예트렌드페어 (coex)
2017 목금토갤러리 공예전 (목금토갤러리)
2016 KRS해외순회전 (필리핀,일본,스페인)
2016 ‘도자-가구’전 (목금토갤러리)
2016 Made 人 KOREA (서울,광주,부산)
2016 G-세라믹라이프페어 (setce)
2014 우수공예품 선정-snowy series (문화체육관광부)
- 도연가마 : 박종현 : 전남 무안군 몽탄면 사옥길 105-2
https://www.youtube.com/watch?v=wArGsd8rC4E
- 도연도예 : 류동문 : 경북 안동시 양의골길 370
- 도연도예 : 손현진 : 경남 김해시 진례면 진례로 341-2
- 도연요 : 도연 陶然 김갑용
인천광역시 공예명장(도자기)
인천광역시 연수구청 녹청자 도예체험교실 강사(문화의집 아트플러그 내)
사)한국도예협회 인천지회장
한국/인천미술협회 회원
인천 녹청자 진흥회 전문이사
인천 공예협동조합 이사
한국전통진흥협회 이사, 인천지회 부회장
인천 연수구 문화원 자문위원
도연요(경서녹청자 연구소) 운영중
경력 및 교육
1957.06.22 충남 홍성군 금마면 출생
최종학력 한국 방송 통신대학교 ‘법학과’ 졸업
1978.03. 옹기장이신 부친가업 계승에 이어 도예입문(손원길도예가)사사
1989 제 44차 서울세계성체대회 교황요한 바오로 2세 방한기념 성체도자기 작품제작 전국보급
1990 도연요 설립(인천 서구 경서동 녹청자 연구겸임)
2005 만해 한용운선사, 포항문화원, 온양문화원 거북선문양, 작품제작 전국보급, 구월 여자 중학교 지역사회 명사초청 도예특강
2010 인천시청 녹청자 작품 1090점 제작납품
2011 인천광역시 공무원 연수원(인재 개발원) 녹청자 특강 및 도자기 물레체험 ,
내일을여는멋진여성 인천협회출강16회(녹청자 체험교실 운영 2016년 포함)
녹청자 물레체험 행사 500여회(연수구 능허대, 봉재축제, 월미도, 소래포구, 문학경기장 등)
2012 제21회 오송국제휴먼 올림픽 대회 조직위원 역임
2013 국제휴먼올림픽대회 트레이너 지도교수 위촉
2014 인천여성복지관 녹청자 특강 11회
2015 오산시청 전통문화 창작 체험관교실 운영 및 오산 문화원 도예 전문강사 역임(2015~2016)
2016.03. 연수구청 녹청자 도예체험교실 운영(문화의집 아트플러그 내)
05. 인천광역시 중구 한중문화관 녹청자 작품2점 기증
수상
1988 제18회, 제21회, 제22회 전국 공예품 경진대회 입선 3회
1990 서울미술제 대상 및 초대작가상 수상
1991 미국 뉴욕전 미술작가상 수상, 인천시 공예품 경진대회 특선3회
2002 인천시 관광상품전 장려상 2회, 입선3회
2003 인천시 지방 기능경기대회 금상 수상(도자부문)
2004 제21회 전국 기능경기대회 장려상 수상(도자부문), 인천시 지방 기능경기대회 금상 수상(도자부문)
2005 제22회 전국 기능경기대회 은상 수상(도자부문), 인천시 지방 기능경기대회 금상 수상(도자부문)
2010 인천 미술대전 입선3회(2010,2011,2012), 대한민국 녹청자 도예부문 공모전 특선1회, 장려상1회,
2011 입선2회
2012 특선1회, 입선1회, 제1회 KDB전통공예산업대전 입상(녹청자)
2012 제8회 국제종합 예술대전 도예부문 대상 수상(녹청자), 제11회 세계문화예술 대상 수상(녹청자 부문)
2013 인천 연수구민상 수상(문화예술 부문)
2014 제12회 대한민국 문화미술대전 최우수상1회, 특선1회 수상(녹청자 부문), 대한민국 도예공모전 특선 수상(녹청자 부문),
제13회 대한민국 문화미술대전 대상 수상(녹청자 부문), 전국공모 인천광역시 미술대전 특선3회수상 (50회, 51회, 52회)
2016.07.13 제19회 인천관광기념품 공모전 입선
08.25 도예부문 MBC사장상 수상
12.23 도예부문 장관상 수상
- 도영도예 : 靑甫(청보) 윤병운: 경기 여주시 강변북로 70-6 / 031-885-4816
- 도예공방 석진 : 성석진
2014 성석진 달항아리전, 오션어스아트홀, 부산
2013 성석진 달항아리전, 갤러리 가비, 서울
2011 통인화랑, 서울 / 성석진 달항아리전, 코엑스, 서울
2010 까치호랑이의 상상적 귀향전, 코엑스, 서울
2008 Yokohama Takashimaya(Yokohama) / 갤러리차이, 서울
- 도예공방섬김 : 김동건 : 경북 경산시 서상길 26 / 010-2554-9816
- 도예공방 일상일기 : 美佳(미가) 오성기 : 경기 군포시 곡란로103번안길 22 / 010-4477-9528
- 도원요 : 지당志堂 박부원 :경기 광주시 초월읍 경충대로 1305-24 / 031-766-4476 / 010-3686-8803

- 도정요 : 도정 안창호 ; 경기 이천시 모가면 진가리 271-4 요장(031) 634- 3607/ 010- 4485- 2814
- 도천요陶川窯 도천 서광윤 : 徐光允 :경기 이천시 마소로 49
1955년 경기도 이천 출생
1970년 지순택요 입문
1979년 도림서원 성형장
1986년 신정희 성형장
1996년 도천요 설립
- 주요전시
1996년 일본 북규수 고꾸라 이즈쯔백화점
1999년 이천 도예 세계
1999년 이천 도예 마을‘흙과 불의 잔치’
2000년 일본 후쿠오카시 엘라홀 갤러리
2001년 한국 전승도예가 서광윤 도예전
2002년 일본 북규수 고꾸라 이즈쯔백화점 (서광수, 서광윤 형제전)
2007년 부산 국제신문 국제 문화센터 서광윤 도예전
2007년 우봉미술전시장 서광윤 도예전
2009년 대구 동아쇼핑 동아미술관 장애우 권익보호기금마련 도예장인전
2010년 부산 국제신문 국제 문화센터 서광윤 도예전 (흙 그리고 불과 함께한 외길 40년)
2012년 인사동 노암갤러리 개인전
2013년 경인미술관 개인전
2015년 루쏘 갤러리 개인전
2016년 세종문화회관 전시회
- 주요수상
1988년 전국공예품 경진대회 입선
1989년 세계미술교류협회 감사장
2004년 소년 소녀가장돕기 미술 및 도자기대회 대상
2004년 이천시장 표창
2009년 대한민국 평화예술대전 공예부문 국회의장상
2009년 대한민국 미술문화 대상
2010년 한국석봉 미술협회 대상
2010년 대한민국 환경문화 대상
2013년 한국을 빛낸 21세기 한국인상 인물상 수상
2013년 사회봉사 대상
2014년 대한민국 문화대상 수상
2014년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상 수상
2015년 국회 문광위 사회봉사대상 녹색상
2016년 대한민국 가족지킴이 사회공헌부문 문화예술 대상
2017년 대한민국전통명장 103호
- 도평요島坪窯 :小民 한일상韓日相 :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도평길 51번길 30-11번지 / 010-5327-6481
2013 광주시 명장심사위원
2013 경기도 제 43회 e-공예Festival(경기도공예품경진대회)심사위원
2012 광주시 도예명장 선정
2010 (사)한국 전승도예협회 이사
2006 광주시 광주왕실도자기축제 추진위원
2005 경기도 기능위원회 경기도 기능심사위원
2005 세계 도자기 비엔날레클레이 올림픽 심사위원
2004 세계 도자기엑스포 문화재단도자 디자인과 분과위원
2001 광주 왕실도예 협동조합 초대 이사장
1999 광주 왕실도예협회 총무
- 도함도예 : 박덕망 : 대구 수성구 달구벌대로650길 48 / 053-794-3610
- 도화 김소영 도예작업실 : 0505-333-3412서울 관악구 청룡길 98-2
- 도화민속 도예연구소 : 陶和<도화> 신응철
1970년대 도화민속 도예연구소 설립하셨고 1980년대 전통 도예가로 활동
- 동강도요 정용구 : 경북 문경시 산북면 운달로 683 / 010-3060-8855
문경대(도자기공예과) 졸
2008~2010 설천중 · 고등학교 도예강사 역임
2008~2009 여주 이세용도예 이세용 선생 사사(현대도자)
2009~2011 조선백자8대종가 조선요 김영식 선생 사사(전통도자)
2015 국제종합예술대전 도예부분 심사위원
국제종합예술대전 추천작가
2016 6월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장(제2016-72호)
2017 10월 국제종합예술대전(심사위원 및 초대작가)
< 수 상 경 력 >
2006 제9회 디지털구미 전국산업디자인대전 특선
2007 전국공모 제26회 대구산업디자인전람회 특별상
2008 제39회 경북산업디자인전람회 입상
2011 문경전통찻사발공모대전 입상
2014 제29회 대한민국 종합미술대전 특별상
제10회 국제종합예술대전 금상
제10회 국제종합예술대전 대상(부산시장상)(제2199호)
2015 제13회 대한민국 청소년대상제전(새누리당대표최고위원상)(제2015-0751호)
2017 문경전통 찻사발공모대전 입상
제 22회 한민족문화예술대전 대상(서울특별시장상 제 536호)
< 전 시 내 역 >
2013 한국예술협회 인사동 하나로 갤러러 회원전
2014 한국예술협회 인사동 조형갤러리 회원전
2015 9월 경상북도 도예협회전
12월 경상북도 도예협회 초대전
2016 6월 경상북도 도예협회전(경주화백컨벤션센터)
9월 제12회 국제종합 예술대전 심사위원 및 초대작가
11월 제39회 한국예술협회 인사동 조형갤러리 회원전
2017 7월 경상북도 도예협회전(구미강동문화복지회관)
현) 문경전통 망댕이가마 동강도요 운영
- 동곡도예 : 경남 김해시 진영읍 서부로378번길 36 동곡도예 / 010-3007-5772
- 동곤요 : 토강 이동곤 : 부산기장
- 동국요 : 혁산赫山 방철주方澈柱 : 경기 이천시 신둔면 수하리 3-1 / 031-632-7036
1922 년 서울 출생 1967 년 전통 도예 도예 교육을 시작
1971 년 카운티 신둔면 水下 리 동국 가마를 설립
1973 년 제 1 회 한국 인간 문화재 공예전에 출품 문화재 관리국에서 시범 가마로 지정된다
1973 년 - 1997 년 수교 제품으로 납품되고 각국 정상들에게 증정되는
1975 년 고려 청자의 발상지 인 전남 강진에서 청자 점토를 발견, 현재도 유일한 사용중
1976 년 국회 의장 감사장
1978 년 - 1995 년 한국 전승 공예전에 출품하여 입상 6 회, 입선 13 회
1978 년 - 1979 년 전국 공예전에 출품하여 특선
1978 년 기타큐슈 시장 감사장
1979 년 서 재주가 原谷 金基昇 선생님과 신세계 미술관에서 도자기 도서전 개최
1979 년 - 1986 년 한일 문화 친분 전시회에 출품
1982 년 한국 방송 공사 (KBS) 주최 도예 전시회에 출품 입상
1982 년 한국 방송 공사에서 천년 비색 청자 도자기 제작 공정이 방영되는
1984 년 동아 일보 인촌 기념관에서 인촌 기념회 주최의 원로 작가 도예 전시회에 인간 문화재
1984 년 서 재주가 如初 金膺顯 선생님과 陶刻 전시회 개최
1984 년 - 1988 년 문화 공보부의 지명에 의해 해외 문화 공보의 한국 전승 공예 순회전에 출품
1986 년 서 재주가 如初 金膺顯 선생님과 湖厳 박물관에서 도자기 적 전시회 개최
1986 년 - 1987 년 다카시마야 주최 도쿄 뉴 오타니에서 개인전 개최
1989 년 문공 부 추천 멕시코 박물관에서 차 도구 신작 전
1991 년 문화부 지명 청자 특별전 출품 전통 공예관
1992 년 국제 도예 교류 아리타 전 선발 출품
1993 년 한국 전승 공예 다카시마야 전 선발 출품
1995 년 한국 문화재 보호 재단 주최 '한국의 집'전시회에 선정 출품
- 동방도예 : 엄기만 :경기 여주시 북내면 장암1길 83-4
- 동석도예 : 심상섭 :여주
- 동우요 : 임병철 경북 경주시 강동면 호명큰골길 33-18 / 054-745-7449
- 東月窯[동월요] 李弼祚[이필조]
- 동초 송승제
- 동평도예 :안창호 : 호산 안동오 선생의 손자
- 동해도요 : 동해 한종현 : 경기 이천시 신둔면 수광리 315
- 동훈요 : 김동훈 :
- 락(樂)요 : 이태호: 충북 충주시 주덕읍 덕련리 244-27 / 010-3350-3171
- 려금요 : 이규성 : 경북 문경시 마성면 안늘목1길 93-46 054-572-3548
1988 영남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졸업
2005 계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졸업
2008 경상북도장애인예술제 공예부문 심사위원
2011 스포츠서울 Best Innovation 기업&브랜드 문화예술(도예) 선정
뉴스메이크 한국을 이끄는 혁신리더(도예부문) 선정
연합뉴스 TOP BRAND(도예부문) 대상 선정
2012 연합뉴스 고객감동 대상
< 수 상 경 력 >
2004 경상북도 미술대전 특선
대구 공예대전 최우수상, 신라 미술대전 특선
2005~2009 경상북도 미술대전 최우수상, 대구 공예대전 특선
2008 경상북도 미술대전 대상
2010 대구공예대전 특선
각종 공모전 다수 특선 및 입선
< 전 시 내 역 >
개인전
2004 제1회 개인전(대백프라자 전시실)
2007 제2회 개인전(문경시민문화회관 전시실)
2008 려금 도예전 – 함창 중고등학교 개교60주년 특별기획전(상주문화회관 전시실)
2009 제35회 대통령기전국시·도대항레슬링대회 유치기념
려금요특별도예전(문경시민문화회관)
2010 제5회 개인전(창원대우백화점)
제6회 개인전(대백프라자 전시실)
2011 제7회 개인전(문경시민문화회관)
제8회 개인전(부산파스구찌갤러리)
2012 제9회 개인전(구미시문화예술회관)
제10회 개인전(금우문화재단)
단체전
2008 경상북도·중국하남성 미술교류전(영천)
문경미술협회전
문경공예가협회전
대구도예가협회전
초승도예전
동잔회전 외 300여회
현) 려금요 대표
한국미술협회 공예분과 위원
한국미술협회 회원
문경미술협회 회원
문경공예가협회 회원
경상북도미술대전 초대작가
대구공예대전 초대작가
- 로원요 : 권태영
로원요 권태영 약력
1959년생
명지대 산업대학원 도자기기술학과 수료
1980년 도예 입문
1995년 로원도요 설립
2007년 문경 막사발 공모전 특선
2009년 대한민국 녹청자.현대도예 공모전 입선
2010년 목포도자기 전국공모전 입선
2010년 전주전통공예전국대전 입선
2010년 김제 도자공모전 특선
- 만종요 김은식 : 충북 단양군 영춘면 만종리 320 010-7431-6004
- 맑은흙도예 : 이성근 :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도자예술로 6번길 118
- 매곡요 : 우동진 : 경남 양산시 매곡4길 36 / 055-364-3219
- 명성도예 : 우종일: 송해숙 경기 이천시 신둔면 경충대로3159번길 19
- 명작도예 : 우현 김기환 : 경남 창원시 의창구 동읍 신방로 143-6
- 명천도예 :故) 김성대 경남 김해시 진례면 진례로311번길 152-30
- 명촌도예: 김은숙: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궁뜰길 42 / 010-5546-4829
2015 일산 차, 공예 박람회 참가
2010 부산 롯데 백화점 전시회
2008 5월 일산 KINTEX 전시회
2007 내일 여성신문 초대전
2007 5월 성남 아트센터 전시회
2007 2월 서울 제일은행 본점 전시회
1997 전국 유명 백화점 전시회
1993 경기 민예품 경진대회 입상
1988 경기 관광 민예품 입상
1986 명촌도예 설립
- 모멘토 : 김응철
- 몽평요 : 정철수 : 전남 무안군 몽탄면 약곡리 26-1 --->정형용(2代)
- 무늬공방 유재홍 : 충북 청원군 문의면 상장리 상장 2길 6번지 010-2456-5619
- 무등도예 : 고현古現 조기정: 광주 광산구 평동금곡길 53
1937년 광주 출생
1953년 서중학교 졸업
1956년 광주제일고 졸업
1957년 전남대학교 법과대학 입학
1963년 국립박물관 고도요지 발굴작업 참여 시작
1964년 전국 과학전람회 대통령상 수상 (고려청자 연구클럽 지도)
1965년 송도요업사 시술상무 취임(고려청자 연구소)
산업 전람회 최고상 수상
1966년 무등 민예사 개설(고려자기 순청자 유약 재현 성공)
1967년 무등도예 설립
1973년 제 1회 문공부 주최 인간문화재 공모전 도자기 부문 최고상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광주교육대, 숙문전문대 등 4개 대학 강사 역임
1976년 전라남도 문화재 위원
1978년 강진 청자재현 성공
1986년 무형문화재 청자기능 보유자 전남 제 10호
1987년 광주광역시 제 5호, 한국 최초 전승자기 문화재 기능보유자 지정
1988년 금호문화재단 금호문화상 수상
1989년 광주광역시 문화재위원 위촉
1990년 전국 무등미술대전, 전남·광주 미술대전 초대심사
1999년 조선대학교 주관 전통문화산업진흥협의회 상임위원
2000년 한국 원적외선협회 부회장
2001년 한국 무형문화재기능보전협회 회원
2002년 (사)남도 문화예술진흥회 회장
2003년 ‘자랑스런 전남대인’선정
주요 개인전 및 단체전
1975년 고현 조기정 도예전(전일미술관)
1981년 강진요 청자재현 발표전
1983년 강진요 청자재현 발표전
1988년 대구 영·호남 교류전(대구 KBS 총국, 대구광역시 초대 개인전)
1997년 고현 도예관 개관 및 회갑전
2002년 대구매일신문 초대전
1989년 일본 동경 신주꾸 이세단 백화점 7층 화랑전
1991년 일본 후구시마顯 이와기 市 대흑옥백화점 화랑 개인 초대전
1992년 일본 국제도자교류전에 한국 대표작가로 출품
세계 도자문화 선진 5개국 최고 작가 및 일본 문화재급 작가들과 초대전
1996년 세계 세라믹 박람회에 유일한 한국 대표작가로 출품
한국, 중국, 독일과 초청 자매결연을 갖고 한국 최고 대표작가로 전시회
미국 텍사스 주 san-antonio 시 초대전(명예시장증 받음)
1997년 러시아 한국전승도자전 전시회 출품.
러시아 세인트 피터스버그 대학 한국학과 설립 100주년 기념전
- 묵심도요 : 송곡 이정우 묵심默心 이학천李鶴天 선친 1세대 도예가
묵심默心 이학천李鶴天 경북 문경시 문경읍 관음1길 193 대한민국 명장 2002-16호
- 묵전요:김평:명장 김태한선생님에 이어 2대째 도예가의 길을 이어감 / 경기 이천시 마장면 장암리 산121 / 010-3364-7023
- 무소 MUSSO : 박성욱 :경기도 양평
2018 평창동계올림픽기념 <아름다운 우리도자, 설원(雪原)을 품다>
2018 한국도자재단-네덜란드 초청 여주주제전 , 네델란드
2017 COLLECT – Saatchi Gallery , London
2017 한국문화재재단 초대작가전 – BLUEMOON 두 개의 달
2017 빅토리아알버트뮤지엄(V&A) 워크샵, 영국
2016 [개관 10주년 기념전 Ⅱ] Post-Tile, 클레이아크 김해 미술관
2015 한국공예의 법고창신. 트리엔날레 디자인 박물관, 밀라노
2015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청주]
2014 법고 창신 자연을 담은 그릇전(메종 르베이지)
2006년 제3회 토야테이블웨어 공모전 대상
2002년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조자공예 대학원 졸업
- 무이미술관 :무이無二 김진성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무주예술촌 무이미술관
- 무주요 : 강미향 : 전북 무주군
- 무토 전성근의 토화담 : 무토 전성근 : 경기 이천시 경충대로2993번길 47 사기막골 도예촌 / 010-2600-2001
1984 기능올림픽 목공예부문 동상 수상
1996 목아박물관 초대전
1998 여주도예 서울 명품전, 태동전
전통의 새로운 모색방향전
1999 여주문화원 운영위원회
2000 여주도예인 협회전
2002 여주도자기축제 추진위원회 겸 집행위원
(재)세계도자기엑스포 한ㆍ중ㆍ일 국제도자디자인 워크숍 초대작가
마주보기전, 강진청자공모전 최우수상 수상
2003 강진청자공모전 대상 수상
(재)세계도자기엑스포 여주디자인워크숍 초대작가
여주디자인워크숍 초대작가
여주도자기축제 추진위원회
경기일보 자문위원, 문화분과위원
2004 여주도자기축제 추진위원
제1회 개인전 ( 한국공예문화진흥원 )
한ㆍ일 작가전 ( 안양 )
한ㆍ미ㆍ일 장작가마 소성전 ( 토아트 )
제2회 개인전 ( 통인갤러리 뉴욕 )
크리스티 경매전 출품 ( 뉴욕 크리스티 2004. 9. 22 )
제3회 개인전 ( 대한민국 환경미술 엑스포, 코엑스 )
2005 제4회 개인전 ( 통인옥션갤러리 )
청주공예비엔날레 초대작가
(재)세계도자기엑스포 퍼포먼스 초대작가
2005 제5회 개인전 ( 롯데회랑 )
한국공예문화진흥원 도자분과위원
2006 제6회 개인전 ( 공예갤러리 나눔 )
제7회 개인전 ( 성북동갤러리 )
제8회 개인전 ( 세종갤러리 서울 세종호텔 )
독일 텐덴츠박람회 초대작가
경기으뜸이 선정, 도예부문 ( 경기도 )
경기디자인공모전 심사위원
2007 제9회 개인전 ( 한국공예문화진흥원 )
제10회 개인전 ( 롯데갤러리, 부산 )
제11회 개인전 ( 동아갤러리, 대구 )
경덕진 국제도자전 초대작가
2008 크리스티 경매전 출품 ( 뉴욕 크리스티 )
제12회 개인전 ( 공예갤러리 나눔 )
G - 디자인공모전 심사위원
경덕진 국제도자전 워크샵 초대작가
2009 도쿄돔 테이블웨어 ( 도쿄 )
한향림갤러리 초대전
2010 전성근 백자전 ( 통인화랑 )
전성근 백자전 ( 야송미술관 )
꼬레요 국제문화창의 박람회 ( 북경 )
제16회 세계문화유산박람회 ( 프랑스 카르제르부르 )
한국전통문화학교 출강
2011 대한민국불교미술대전 심사위원
인터알리아 초대전
토포하우스 초대전
2012 화랑미술제 초대작가(미화랑) 경덕진 현대도자전(중국 경덕진)
한중도자예술교류전(중국 용천)
2013 한중도자예술교류전(경기도자박물관)
사우디 공예전(사우디)
2014 상해 공예전(중국 상해)
미얀마 공예전(미얀마)
작품소장 러시아, 호주, 일본외 17개국 정상
현재, 무토(撫土)공방 운영
- 묵심도요 : 이학천(도예명장) : 경북 문경시 문경읍 관음1길 193
- 문강요 : 김양수
- 문경요 : 도천 천한봉 : 경북 문경시 문경읍 당포길 137-1 (T.054-572-3090 / 2代 천경희 010-5015-2871
천경희 -문경요(2代)
청주대학교 공예디자인학과(도자기 전공) 졸업
1991 문경요 전수
2006 중소기업 우수 기능인 선정
2007 대한민국 신지식인 선정(문화예술부문)
2012 경북무형무화재 사기장 이수자
2013 창조명인 선정(전통문화부문)
現在 문경요 대표
< 수 상 경 력 >
1996 대한민국미술대전 특선
2001 제15회 충남산업디자인대전 특별상
2006 국제다구디자인공모전 장려상
2008 제1회 대한민국 올해의 명다기품평대회 용상
2008 제30회 현대미술대전 특별상
2013 올해의 명다기 품평대회 금상
2014 문경관광상품공모전 동상
2015 문경찻사발공모전 동상
2016 경남전국사발공모전 특별상
2017 경남전국사발공모전 은상
2018 문경찻사발공모전 장려상
< 주 요 전 시 >
2001 흙으로 만든 이야기전(가나아트)
2002 문경요의 꿈 “스승과 제자의 만남전”(예술의 전당)
2005 토화전(한국공예관)
2006 천한봉•천경희 부녀전(대덕문화전당)
2008 고려다완에의 도전展(일본 京都노무라미술관)
2009 현대도자 백호대전(대만 타이페이 신광 백화점)
2009 한국전통공예대전(미국 LA Aloma center)
2010 천한봉•천경희 부녀도예전(일본 京都 노무라미술관)
2012 문경요 천경희 개인전(이즈갤러리)
2014 한국다도 천한봉.천경희 부녀전(일본게이오백화점)
2015 2대도천 천경희 고려다완전(일본노무라미술관)
現在 문경요 대표
- 문경흙사랑도예 : 경북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655 / 054-571-4356
- 미강요 : 노영재 :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분원길 17-38 / 010-3291-8482
호산 안동오 선생의 외손자
- 미교다물요 : 정민호 : 경남 김해시 진례면 고모로442번길 25-13 / 055-345-6125
- 미도요 : 전원 구성회(田元 具誠會)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경충대로 1225-75 / 010-5231-7997
- 미르공방 이석용
2005. 도자기 색과 기술의 만남 /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2005. 뜨락전 / 고산요
2005. 대한민국 현대 도예전(입선)
2004. 대한민국 현대 도예전(입선)
2004. 인연, 순수 그리고 열정 / 대청호 미술관
2003. 기술과 디자인의 만남 /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2002. 함박전 / 경기도 수원 문화재단
2002. 명지대 산업대학원 도자기 기술학과 수료
- 미성도예 : 김지윤 경기 여주시 강문로 169-3
- 민속도예 : 수곡: 고)조홍민
- 민토(旻土) : 최민록 : 경기 여주시 대신면 참샘2길 22 / 010-6287-4854
- 밀성요 : 이승백
- 밀양요 : 김창욱 :경남 밀양시 부북면 위양리 411-9 / 055-355-4110 010-5016-3075
- 박달요 : 정성환 : 경주시 내남면 박달 3리 1174번지.010.5533.0588.
- 박보성 도예공방 : 박보성
- 박시아도요 :박시아
- 반월요 : 홍두현
- 방곡요 : 서동규 : 충북 단양군 대강면 선암계곡로 133
1938 충청북도 단양 출생.
1956 방곡도요 입문.
1963 경기도 민예품 경진대회 출품
1970 경기도 민예품 경진대회 입상
1973 청주상공회의소주최 도예공예품 입선
1975 동아미술제 고예부분 입선
1980 개인전(청주)
1981 한국미술대전 고예부분 입선
1983 부산MBC 이방자여사 초대작품전 찬조 출품
1985 청주상공회의소주최 도예부분 특선
1986 한국 미술대전 공예부분 특선
1987 일본 초청전시회 (동경)
1988 대한민국 국전 입선
1989 전국 민예품경진대회 입상
1990 전국 민예품경진대회 입상
1990 미국 하와이초청 한국전통 도예전시회
1990 일본 초청전시회(요코하마)
1991 일본 동경 출품도예그룹초청 도예전시회
1991 미국 LA한인회초청 한국전통 도예전시회
1991 일본 나고야 초청전시회
1992 전국 민예품 경진대회 입선
1992 일본 川崎 KSP초청전
1992 개인젼(청주)
1992 한국 무역진흥공사주최 우수상품전시회(동경)
1994 일본 동경 전시회
1995 전국 민예품경진대회 입선
1999 특허 제0208771호(녹자)
1999 일본TBC 한국KBS위성방송 공동제작
1999 신지식인 선정(김대중 대통령)
2000 대한민국 도예명장 선정(00-28호)
2000 노동부장관 표창
2000 유럽 3개국 방문(도자 산업 시찰)
2001 국무총리 표창
2002 충북 지방무형문화재 10호선정(사기장)
2004 일본 대한민국 공예명장초청 전시회
2004 대한민국 도예부분 명장심사위원 역임
2005 손 봉숙 국회의원 국회초청 전시회(서 동규명장 작품전 )
2006 대한민국다기대전 - 천년의 혼 숨쉬는 다기(청주 한국 공예관)
2007 중국정부 초청 특별 전시회(대한민국 도예명장 특별전)
2008 문경 찻사발 공모전 심사위원 역임.
2008 충북 기능경기대회 도자기부분 심사위원장 역임.
2008 한국도자기 창립총회 발대식(서울 프레스 센터 4.28)
- 방문요 :청마 유태근 :
- 밝달가마 : 여상명 :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 백담도요 :백담 이광 : 경기 광주시 곤지암읍 신대길 32 / 031-762-8000 / 010-9320-9166
- 백두요 : 김경수 - 경북 문경시 문경읍 관음리 528-1 / 010-3814- 2412
2002 백두요 설립
2004 차도구 특별전(서울디자인센터)
문경불교회관 개인전
2006 차도구 특별전 (성남코리아 디자인센터)
2006~2009 개인전 4회 개최(문경시민문화회관)
2009 한·중 차문화 교류전 참가(청주공예전시관)
- 백산도예원 : 문광수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 서부로 479 백산도예원 / 055-345-4353
- 백상요 이충우 :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6길 5-13 / 055-381-9585
- 백석도예 : 경북 문경시 문경읍 요성지곡길 9 / 054-571-6761
- 백암도요 栢岩陶窯 :이상열
- 백암요 : 백암 박승일 : 경북 경주시 남산예길 75 / 054-748-1909
- 백운도예: 박순백 : 경남 김해시 진례면 진례로247번길 5-10
- 벽제도예연구소 정지현 : 경기 여주시 북내면 도예촌길 14-1 / 031-885-4428
- 백허요 : 백정호 :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장심길 296 / 010-4300-8641
2012 분청5인초대전(대구대 중앙박물관) / 광주백자공모전(경기도자박물관)
2011 아름다운나눔보듬터도예전(한전아트) / 자울림전(갤러리다르)
2010 한국의날 WorkShop(요코하마) / 빛고을공예대전(광주)
2009 백정호도예전(갤러리다르)
2008 자울림전(경인미술관)
2007 흙누리전(도쿄)
2006 토왈전(토마도갤러리)
2005 한, 일 문화교류전(coex) / 심양국제박람회(WorkShop)
2002 개인전(대구) / 대한민국 공예작가전(파리)
2001 세계도자엑스포(광주) / 흙누리전(가나아트)
- 번천요:호산 안동오 - (1919~1991년)선생은 1세대작가로 인간문화재였습니다.
- 범호요 : 현성찬 경기 이천시 신둔면 경충대로3183번길 7-4
- 벽전도예 : 벽전(碧田) 손원모 인천 강화군 길상면 길직리 1275 - 21 전화 : 032 - 937 -9376
- 벽진碧珍도예 : 이신원 : 경기 여주군 여주읍 북내면 오학리 292-41
- 보광요 : 조세연
조세연 명장은 전통의 계승하는 동시에 현대적으로 발전시킨 공로를 인정 받아 전승공예대전,
강진청자공모전, 황실공예대전, 이천도자공모전 등에서 다수 수상하였고,
2008년에는 황실문화재단이 선정하는 황실공예 명인에 선정되신 청자 부분의 손꼽히는 도예가입니다.
- 보림도원 : 조성주
1944 충남금산출생
1967 연세대사학과졸업
1970 작도수업
1975 보림도원개업고려청자,이조백자전 도쿄출품
1976 현대고려청자전 대판백화점
1977 현대작가5인전 도쿄 소전백화전
1978 고려청자다도전 송산화랑
현대작가도예전 도쿄소전백화점
1979 고려청자이조백자전 후시사키화랑
1980 제1회개인전 도쿄소전백화점공예살롱
1981 제2회개인전 도쿄소전백화점공예살롱
1982 트레디셔날코리안포터리초대전 뉴욕
1982 제3회개인전 도쿄소전백화점
요장 경기도 이천군 이천읍 증일리152-2
- 보성요 : 三田 송기진
· 전남 벌교 生
· 1989년 도예 入門, 1998년 조선사발의 세계 入門
· 미술학석사 (논문「한국 전통 다완의 연구 -천한봉의 다완을 중심으로-)
■ 개인전
· 17회 개최(서울,부산,대구,광주,일본 동경,중국 북경)
■ 수상경력
· 전국공예품경진대회 전라남도 최우수상 수상, 전국 장려상 수상
· 전국공모무등미술대전 우수상 2회, 특선 2회 수상
· 국제차도구디자인공모전 특별상 수상 외 다수
■ 초대전
· 주일한국문화원 [韓,日 작도교류 초대전] 2003, 2011 (일본 동경)
· 주불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 초대전 2004 (프랑스 파리)
· Italy Karara museum 초대전 2004 (이탈리아)
· 고려다완 도예가 송기진 찻사발특별전 2004(범어사 성보박물관)
· 한국, 일본 도예 교류 초대전 2005 (일본 동경)
· 韓․日 전통공예품 공동전시회 초대전 2005 (일본)
· 대한민국 찻사발 특별전 2010 (월정사 성보박물관)
· 한-중-일 화장토커뮤니케이션 2012-2013(중국 북경, 한국 보성)
· 동아시아 화장토도자 작가 3인전 2013 (중국 북경)
· 국제화장토도자교류전(한국 보성) 2014
· 한-중 전통 화장토도자 전승을 위한 런슈앙허-송기진展(중국 북경)외 다수
■ 대외활동
· [송기진의 일본국보가 된 조선사발 연구] 2004
· [일본국보와 문화재가 된 조선사발에 우리이름 찾아주기 조사연구] 2006
· [보성 분청찻사발의 재현 및 확산을 위한 한․일 심포지엄] 2007
· [세계적인 명품 보성분청찻사발의 복원 및 확산에 대한 컨설팅] 2007
· [보성 정흥리, 도촌리 분청사기요지 지표조사] 2007
· [세계적인 명품 차도구 보성덤벙이 재현사업] 2007
· [세계적인 명품 찻사발 보성덤벙이 한국, 일본 순회전] 2009
· [한․중․일 덤벙도자 학술대회 개최] 2010
· [조선 분청사기의 원류를 찾아서] 조사연구 2011
· [한-중-일 화장토 커뮤니케이션] 기획 2012-2013
· [조선 후기 민요가마 복원 연구] 2013
· [보성덤벙이 도요지 발굴조사] 자문위원 역임 2014
· [국제화장토도자교류전] 기획 2014
■ 주요 언론매체 보도
·조선일보 -초벌분장분청은 우리의 독창적 도자제작기법-
·중앙일보 -시인(나해철)이 떠나는 전라도 여행, “송기진 보성덤벙이” 3회 연재-
·월간중앙 -호조고비끼 재현을 위한 39세 도공의 10년 집념- 이만훈 편집위원 취재, 최재영 사진국장 사진 -2009년 12월호 8P.
·전남일보 - 기획특집 보성덤벙이 송기진-
·전남매일 - 문화도시 예술의 별 “도예가 송기진”-
·월간 전라도닷컴 기획특집 “보성덤벙이”
·광주매일(전면) -新호남가 보성요의 송기진 , -無기교 소박미의 극치 “보성덤벙이” 재현 혼신-
·남도일보(전면) -명인,명장을 찾아서, 보성요 송기진, “보성덤벙이 재현은 나의 숙명”외 다수
·일본 KNTV 뉴스 -주일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 “한․일작도교류초대전, 한국 송기진”
·KBS 한국재발견
·EBS 한국기행 “세월이 만든 도자기 보성덤벙이”
·ARIRANG TV“The age-old craft of BOSEONG slip-wear"
·MBC 생방송 화제집중 -조선도공의 숨결-
·YTN -최고의 멋 보성덤벙그릇-
·KCTV -덤벙이리포트-
■ 작품소장처
·주일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일본 동경)
·주중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중국 북경)
·부산 범어사 성보박물관
·월정사 성보박물관
·KYO갤러리(일본 동경)
·호문화랑(일본 동경)
■ 현 보성덤벙이문화복원연구원 이사장, 보성요(寶城窯) 대표
- 봉학 안병인 :1960년대 日本과 한국에서 활동한 1세대 도예가
- 부곡도방 : 송남 신상호 : 경기 양주시 장흥면 호국로311번길 20-39 / 031-826-4128
- 부광요 : 설영진 : 경북 문경시 문경읍 각서윗길 17 / 054-572-0700 ,010-4539-0700
1989 민요 입문 찻사발 및 차와 다도구 연구 (부광요)
2004 태평양 오설록 뮤지엄 영구 전시
2006~2011 동덕여자대학교 출강
2008 불교 TV “茶人” 방송 출연
ATA(미국태권도본부) 영구 전시
국제 청소년 차문화대전 심사위원(국립중앙박물관)
2009 영국대사관, 프랑스 대사관에 작품 소장
2011 독도의 날 기념 독도 찻사발 헌증(정부 중앙청사)
동국대 출강
대한민국 도예공모전 심사위원
문경전통도자기 협회 회장 역임
< 수 상 경 력 >
2008 자랑스런 한국인 대상 수상
< 전 시 내 역 >
2004 대한민국 다기대전 초대전(한국공예관)
2006 대한민국 다기대전 초대전(한국공예관)
프랑스 루이스 박물관 전시
2008 세계차문화대전 초대전(서울시청광장)
2009 한중 도예명인전(북경)
2012 한일 도예교류전(일본 교토문화박물관)
2014 중국 국제도자초대전(중국 이싱시)
2017 경상북도 도예협회전(구미)
한베트남 미술교류전(베트남)
찻사발 이야기전(문경문화예술회관)
- 부림요 : 우현 이기휴 :1세대 작가로 여천 이연휴 선생의 형
- 부부도예(상주요) ; 남계 고윤길 : 경북 상주시 내서면 서원1길 13 / 054-534-7910
- 분원요 : 최근식 :경기 광주 : 1세대 도예가
- 분원천토요 : 天土백도곡
天土 백도곡 도예가
2004 세계도자기 엑스포에서 ‘분원의 아침’으로대상을 받았고, 영화 ‘스캔들’에서 조선백자 자문 및 협찬을 하였던 도예가 백도곡 선생.
천토는 국내 유명 도예가로부터 도자기에 대한 정통의 공부하였고 그 맥락의 길을 걸어왔다.
이정우 선생은 분청과 백자를 전수하여 깊이있게 작품화 하신분으로 천토의 첫 스승이었으며, 천토는 그동안 이조백자를 구현하기 위하여
경주 계림도요 운영, 경남양산 신정희 선생님에게 막사발 공부, 산청토를 연구하기 위해서 뚝배기 공장에서 기술 상무로 근무,
공주 계룡산 분청사기 도요지, 하동 막사발 도요지, 강진 청자 도요지, 분원 백자 도요지, 임항택 도요 등과 고 안동오(백자) 지순택(청자)
유근형(청자) 한국도자기1세대로부터 도예의 정신과 기술을 이전,여주,광주에서공부하였고 전국 유명 도요지 주변흙을 연구 분석하였다.
조선 관요의 백자를 복원하겠다는 의지
우리 선조의 우수하고 독창적인 문화예술, 그 정신과혼이 깃든 전통의 숨결을 잇기 위해 치열하게 애쓰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 중 천토 백도곡 선생은 불꽃같은 정열과 티없이 맑고 깨끗한 고결함을작품에 온전히 담아내는 선조들의 혼을 그대로 가진 작가이다.
천토의 정신은 조선시대 도공의 그것이다.
분원리 조선 관요 백자를 복원하겠다는 일념으로 험난함도 마다하지 않는 그에게서 옛 조선 관요터에 머물고 있는조선 도공들의 혼이
그를 이끌고 있는지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그의 우직한 정신을 마주하면서 모골이송연해지고 머리가 숙여지며 숙연해질 따름이다.
위대한 선대 도공들의 혼을 계승하면서 조선 관요의 백자를복원하겠다는 그의 의지에서 나오는 곧은 삶에 많은 분들의 성원을 기대한다.
天土 백도곡 |Baek Do Kok
1976 대한민국 전통조선백자 연구
1987 천토요(天土窯) 설립
1988 경주 계림요 운영
1994 제1회개인전 인사동 경인미술관
1994~95 제2,3회개인전 인사동 동광갤러리 기획초대전
1996 제4회개인전 인사동 통인화랑
1997 天土도예학원 운영(경기도 부천시), 제23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장려상
1998 제5회개인전 분원리 관요백자 재현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초대전
1998 11월 12일분원리 관요백자 복원추진위원회 현판식
2000 제6회개인전 서울 인사동 공화랑
2002 한국문화재단 초대전 분원관요백자(서울특별시 후원)
2003 영화‘스캔들’ 조선시대 백자 자문 및 협찬, 제7회개인전 인사동 경인미술관
2004 세계도자기 엑스포 제1회 토야테이블웨어공모전 대상 수상 작품 ‘분원의 아침’
2006 분원천토요 개칭 이전(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분원리)
2009 분원천토요 이전(경기도고양시 내곡동)
2015 분원천토요 이전(강원도양구군 양구읍 박수근로)
- 불곡요 : 하북 박진혁 경남 양산시 하북면 자산리 367
- 빗재가마: 빗재 김용문 : 충북 괴산군 연풍면 원풍로 224-11
1955 경기 오산출생
홍익미대 공예과 및 동 대학원 졸업
현 세계막사발장작가마축제 조직위원장
중국 산동 이공대,산동경공업대학교 객좌교수
막사발 세계 장작가마 페스티벌(1998~현제)
제1회 토우전 (82뉴코아미술관)
제2회 매장,그리고 발굴전(83지리산)
제3회 수장제(84 단양 남한강변)
제4회 방사,방사, 방생전(85한강미술관,제주도 이호바다)
제5회 옹관장전(87 대학로,여백사진 갤러리)
제6회 만파식도展(88 경인미술관,제3갤러리)
제7회 빗재가마 지두문전(91 민예사랑.토인,제천시민회관)
제8회 性 두향제(90 금호갤러리)
제9회 빗재가마 지두문전(91 민예사랑)
제10회 옹기와 토장생전(92 토도랑,토,아스트 페이스)
제19회 막사발 그 水葬기
제20회 도예초대전 (1999 표화랑,수화문 갤러리)
제21회 靑山白雲옹기접시전(2000 토 아트.수원미술관)
제22회 임꺽정 화톳불전(2003 갤러리 빗재가마 오픈기획)
제23회 새해맞이 김용문의 도기전(2004 다도화랑)
제24회 진달래꽃전(2005 부천시청 아트센터)
제25회 시도자전(2006 아츠윌갤러리)
제26회 대구토향갤러리 기획초대전(2007 동아갤러리)
제27회 현대시 백년 시도자전(2007 이화갤러리,갤러리31)
제28회 시도자전(2008 하나아트갤러리,아트갤러리 청담,중국치박박물관)
제29회 지두문전 극기복례 전(2009 모빈화랑)
제30회 김용문 막사발지두문초대전(2009 수원시 해피갤러리)
제31회 김용문 막사발지두문초대전(2010 대구갤러리,
남도향토음식박물관 대구남도 Os gallery)
- 사등이요 : 무초(無草) 최차란 - 경주시 하동 201-42 / 746-6474
- 사리舍利도예 : 김도윤, 김해림 :경북 경주시 사리길 71-15 054-777-2987
- 사음요 김문식
- 산내요 : 김성철 :경주시 산내면 감산리 1655- 2
- 산도방 : 정성훈 : 경남 의령군 의령읍 무전로 124-6 / 010-4546-6166
- 산성도예 : 1대: 분청 이상문 2대:아안 이승민 부산 금정구 중리1길 38 / 051-517-8376 010- 3569 - 8376
- 산인요 이덕규: 경남 양산시 하북면 충렬로 1591 / 산인요갤러리 : 055-382-0814경남 양산시 하북면 예인길 47
- 산청요 : 소강 민영기 :경남 산청군 단성면 강누방목로499번길 106-5 / 055-972-8585
- 삼산요 : 김종훈 : 경북 성주
- 삼요森窯 :수련 한보란 : 1세대 여류도예가
- 상운요 : 김성찬
- 상원요 : 이경무 :경북 문경시 틀모산길 74 / 010-3889- 8945
- 상주요 : 도봉(道峰) 김윤태 : 부산 기장군 일광면 기장대로 1201-20 두꺼비부동산 / 051-727-3187
효봉 김영길(부산요)
- 상주요 : 남계 고윤길
- 새미골가마 : 장금정(張今貞) / 딸 정주령
- 서광도예 : 서재경 : 김해시 진례면 진례로147번길 46 055-345-4053
- 서광도예원 :
소야(小野) 박병호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남정리
- 서광윤요 도천陶川 서광윤 徐光允 : 경기 이천시 신둔면 마소로 49
- 서동요 : 박종일 : 경북 경주시 산내면 장사길 462-5 / 010-3056-9311
- 서창도예 :
서창瑞昌 유창곤柳昌坤(1935 ~2012)-->녹원 유용철(이천)
- 서평도예 : 염종귀: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정영로 760-8 / 010-9239-5811
2008 제 1회 염종귀 도예전(조선일보 미술관)
2007 명지대 산업대학원 도자기 기술학과 수료
2007 경기 으뜸이 선정
1996 경기도 우수공예 기능인 지정(도자 제 96-2호)
1993 서평도예 설립
- 석광도예 : 이영석 : 경기 이천시 황무로 579
- 석담도예 : 석담 최병덕 : 경기 여주시 북내면 여양2로 259-3 / 031-882-0136
- 석문도예 박근용 :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가정리 247-4 / 031-886-6025
- 석산도예 : 상명 양금석 : 경기 여주시 현암3길 28
- 석양도예원 : 석양 서중환 :경기 이천시 신둔면 원적로159번길 83
- 석운도예 : 정운석 :경북 상주시 초림이길 19-5 / 054-533-5556
- 석천도예 : 石泉 허필호: 경남 진주시 지수면 지수로449번길 18 / 055-758-9451
- 설봉도예 : 설봉(雪峰) 박찬종 : 031-885-8877경기 여주시 학동1길 42
- 설우요(雪雨窯) ; 청우 김종훈,문지영 : 경기도 여주
- 설월도예 : 조현숙 :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설월길36번길 4 / 010-5383-0439
- 성월도예 : 김진홍 : 경기 여주시 여양로 410 / HP 010 - 7331- 2179
- 성전요 : 도곡(성전) 임일남 : 경기 이천시 신둔면 원적로147번길 19
1968년 도예에 입문한 이후 1978년 성전요를 설립하였으며,
전승공예대전 장려상을 비롯해 전국공예품경진대회에서 다수 입상
1996년에는 경기도 기능경기대회 도예부문심사위원장을 역임
2003년에 이천시 도자기명장으로 선정
- 성주요 강창성: 경북 문경시 문경읍 화지길 37-14 / 010-5341-5820
1981 문경 출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졸업
도천 천한봉 선생 사사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사기장 32-나호, 대한민국 도예명장)
< 수 상 경 력 >
2000 구미산업디자인대전 입선
2001 경상북도 공예품대전 특선
2006 전국찻사발공모대전 특선
2007 대한민국 환경미술대전 최우수상
대한민국 미술대전 입선
2008 행주공예대전 대상
2009 목포도자기공모전 최우수상
서울현대도예 공모전 특선
2014 전국발물레 경진대회 우수상
2015 경상북도 공예품대전 장려상
< 전 시 내 역 >
2006~ 예강회 정기전
2007~ 도천 천한봉 도예 60년전(예술의 전당)
2008~ CM21 정기전
2010 제1회 개인전(이형아트센터)
2010~ 경북도예가협회 정기전
2011~ 한국공예가협회 정기전
2015 아트앤 라이프전(aT센터)
2016 한국통가미협회 회원전(삼척문화예술회관)
현) 성주요(聖主窯) 운영
1. 문경도자교육원 도예강사
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강원대학교 강사역임
3. 도천가회, 질꼴
- 세라믹스튜디오 살래 : 박병욱 : 경기 여주시 대신면 초현길 80 / 010-6398-4281
- 세창도예연구소 : 김세용 경기 이천시 신둔면 원적로290번길 218( 대한민국 명장349호)
1981 제 6, 11회 전승공예전 입선.
1982 제 12, 13, 14, 16회 공예품 경진대회 특선 및 입선
1984 제 7회 국제 현대 미술제전 도예부 대상.
1985 저서 『전통기법을 재현한 도자기 공예』(한림출판사)
1986 평화통일 문화제 국제 예술상.
1996 한국 요업총협회 창립 50주년 제품상.
1997 97‘도자기 공모전 금상. (문화체육부)
1999~00 청강문화산업대학 전임초빙강사.
1999 명지대 산업대학원 도자기 기술학과 수료.
2001 세계도자엑스포 국제도자 워크샵 및 작품전
2002 대한민국 명장 선정(02-22호)
2003 기술과 디자인의 만남 (예술의 전당)
2004 일본 시네마현 초청 대한민국 명장전
2004 중국 경덕진 도자 천년제 초대전
2005 아이치 국제박람회 한국대표작품 선정
2005 제12회 대한민국 명장전 (AT센터)
2005 전통공예명품전 (갤러리 라메르)
2005 도자기,색과 기술의 만남 (예술의 전당)
2005 제3회 세계도자비엔날레 도자퍼포먼스 초대작가
2006 제1회 개인전 “흙에서 빛으로” (세계도자센터,이천)
2006 전통공예대전 (부천시청, 무형문화재전수회관)
2007 From the Tea ceremony To the contemporary Ceramic expression (collection-baur, Geneve, swiss)
주요작품소장
영국 엘리자베스여왕
달라이 라마 왕궁
청와대
경기도 세계도자기엑스포
국립동양박물관 (로마, 이탈리아)컬렉션 보르 (제네바, 스위스)등
- 세라믹스튜디오 완 : 김세완
- 소랑요 : 권혁문 : 경남 양산시 하북면 상덕1길 36 / 010-4544- 4593
- 소림도예 소림沼林 이석화(1913~1999).1세대작가.1946년 소림도예 연구소 설림.
- 소명요 : 김동민 : 경주시 천북면 물천안길 99-21 / 010-3131-8982
- 소사요 : 김진완(1965년) 경기도 이천
- 소산도예 한호현 : 경기 이천시 신둔면 경충대로 3148-26 / 031-634-1079
1958. 경기도 이천 출생
1978. 동해 한종현 선생 사사 , 우당 한명성 선생 사사
1987. 도산 고 고영재 선생 사사
1988. 소산도예연구소 설립
1999. 전통 장작가마 초기 무광백자 재현
2001. 한,중 도자 교류 및 문화탐방 참가
2003. 한,일 도자 교류 및 문화탐방 참가
2004. 이천도자공모전 동상 수상
2006. 이천시 해맞이 장작등요 불지피기행사 주관
2007. 제27회 대한민국 현대미술대전 특별상 및 특선 수상
경기도 우수기업박람회 초청전시 (경기도청)
2009. 목포 전국도자기공모전 입선 수상
2010. 문경 전국 찻사발공모전 입선 수상
한국,INDONESIA(인도네시아) 도자 교류 전시회(자카르타)
목포 전국도자기공모전 입선 수상
2011. 이천시 유네스코지정기념 초청진사전-공평갤러리(후원:이천시청)
제18회 한국미술 국제공모대전 특선 수상
제32회 대한민국 현대미술대전 대상 수상
아름다운 나눔보듬터 도예전-한전아트센터 갤러리(후원: KB생명, 현대모비스)
제32회 대한민국 현대미술대전 협회장상 수상
대한민국 도예공모전 입선 수상
대상수상 기념 전속장작등요 초대전-대구백화점프라자
도예유공자 표창장수상 -이천시장-
2012. 한국도예연구협회 협회전 -갤러리와부
제33회 대한민국 현대미술대전 추천작가상 수상
도자와 시민과의 어울림한마당 전통장작등요 불지피기행사 주관
한국 도예연구회 회장 역임
2013. 대한민국 명인명장전 - 롯데갤러리(주관:롯데백화점, 중소기업유통센터)
제34회 대한민국 현대미술대전 초대작가 추대장 수상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전통공예 도예 명인
2014. 현, 한국 현대문화미술협회 초대작가 및 운영위원
현, 한양예술대전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현,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명인인증 심사위원
현, 대한민국 현대미술대전 전통공예 심사위원장
현,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사)한국예술문화 명인협회 부이사장
현, 소산도예연구소 소장
아들: 소우
- 소석도예 : 손광수 : 경기 이천시 경충대로2993번길 46
- 소우재 : 유휘 강신봉 : 여주시 북내면 당전로 358-3 / 031) 882- 1450 / HP 010- 8994- 6882
- 소정도예: 손유순 : 경기 이천시 신둔면 경충대로3145번길 12-17
- 속리산방 : 송충효 : 제주시 오남로 7-13 (도남동, 도남1차e-편한세상 110동 102호) / 010-7712-3161
- 손빚요 : 강인순
- 손호규 도공이야기:
- 솔밤도요 : 정현진 : 경북 안동시 서후면 교리평촌길 35
- 송원요 : 서현주 : 경북 영천시 화남면 천문로 1749-63 / 010-3022-2228
- 송월요 : 송월 김종호 : 경기 이천시 경충대로2993번길 64
https://www.youtube.com/watch?v=biDNE_BsDp8&feature=youtu.be
- 송전도예공방 : 김정란 : 경기 여주시 대신면 대신로 578 / 010-4437- 3137
- 송정도예 : 송정 松正 서쌍수 : 031-885-1684경기 여주시 현암2길 6-9
- 송파도예 : 송파松坡 조이현(曺利鉉) : 031-633-6587경기 이천시 신둔면 둔터로 58
松坡 曺利鉉 略歷
1944年 忠南 瑞山出生
1981年 韓國傳統芸術大賞展 金賞
1982年 白磁個人展 (seoul)
1987年 白磁展-素朴美의 再現 (世宗文化會館)
1988年 ‘88 Olympic 記念新美術展招待出品
1992年 結晶釉個人展
1994年 京畿道 工芸品競進大會 佳作
1995年 全國工産品競進大會 銀賞
1997年 結晶釉個人展(seoul)
1998年 曺利鉉結晶釉招待展 (大田)
1999年 結晶釉招待展 (議政府)
1999年 京畿工藝品競進大會 特選
1999年 元老陶芸家10人展 (KOEX)
1999年 利川陶芸家協會展 (京仁美術館)
2000年 韓國茶器名品100人展
2000年 利川陶芸家協會展
2001年 利川陶芸家協會展
2002年 利川陶芸家協會展
2002年 EXPO 世界陶磁center 作品所蔵
2002年 Canada 韓國陶磁展 (Calgary)
2003年 利川陶芸家協會展
2004年 利川陶芸家協會展(京仁美術館)
2005年 利川陶藝家協會展(Art Center)
2005年 世界陶磁 Biennale Workshop參加
2005年 世界結晶釉磁器作家招待展(America Kansas City)
2006年 사발(茶碗)公募展 入選
2006年 사발(茶碗)公募展 特選
2006年 京畿工藝品競進大會 特選
2006年 全國工藝品競進大會 特選
2006年 韓國傳統窯硏究會會員展
2006年 東洋陶磁展
2006年 利川陶藝家會展
2007年 東洋陶磁展
2007年 世界結晶釉陶藝家展(Cambridgespring,PA,USA)
2007年 韓·佛陶藝家展(SENA Gallery,Paris)
2007年 京畿陶磁發見展
2007年 中國 景德鎭 当代國際陶藝家展
2008년 韓國傳統窯保存協會會員展
2008年 東洋陶磁展(利川陶磁振興財團)
2008年 韓·印泥陶磁交流展(Jakarta,Indoneseia)
2009年 東洋陶磁展
2009年 景德鎭世界陶磁祝祭參加(二代展)
2009年 利川世界陶磁Center企劃展
2009年 Seoul Design Olympiad 2009 後援
2009年 (사)韓國陶藝協會展 (國會議事堂)
2010年 日本東京韓國文化院展示會
2015年 現在 松坡陶藝研究所 代表
- 송하요 : 우상욱
- 수광도요 : 백석(수광) 이정하 : 경기 이천시 신둔면 남정리 343-19
1929~1999
1세대 대방동 가마 일원으로 물레의 1인자이며, 대한민국 명장
- 수레질 도예공방 라필주 : 광주 북구 송해로40번길 8-19
- 수로窯 : 1대 남곡 고승술 2대 보천 이위준 3대 이재림: 경남 고성군 구만면 영회로 1749 수로요 / 055-672-4272
(보천 이위준)- 수림도예 : 경기 여주시 어영실로 116-16
- 수천요 :手天 심재용 :구미
심재용 沈在容 / Shim, Jae Yong
2002 경일대학교 조형대학 산업공예학과 졸업
2004 경일대학교 조형계열 인테리어조형디자인학부 일반대학원 졸업
개인전
2003 제1회 개인전 대구 경일대 갤러리
2006 제2회 개인전 대구 두산갤러리
2011 제3회 개인전 구미 구미문화예술회관
2011 제4회 개인전 네델란드 I Gallery Amber (2011 한국-네델란드 수교 50주년 기념 초대전)
2012 제5회 개인전 대구 모란동백갤러리 (그릇 물레에서 내려앉다)
2012 제6회 개인전 대구 대구문화예술회관 (2012 올해의 청년작가 초대전)
현 : 문경도자예술연구소 연구원, 구미시 향토작가회 회원, 구미도예가회 회원
한국도예협회회원, 경상북도 도자기협회 회원, 가마골 회원, 영남미술대전 초대작가
구미공예문화연구소 소장, 수천요 대표, 문경대학 도자기공예과 초빙교수
- 수현도예 : 박명배 :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경충대로493번길 29 / 010-5208-7733
現 수현요 운영중국 산둥성 즈보시 도자박람회 참가성남 아트센터 도자전시회대구 동아백화점 전시(2009년)광주왕실도예작가전(2007년 성남아트센터)롯데호텔 도예전 연2회 전시제1회 경기도 평화통일 미술대전 공예부문 입상세계도자기엑스포 참가청강문화산업대학도자디자인과 졸업고 사갑봉선생 도자 사사
- 수호요 : 수호 박경선
- 승평요 : 이시형 : 경주
- 신경희도예연구소 : 신경희
- 신라요 : 반계磻溪 유효웅柳孝雄 : 경북 경주시 하동공예촌길 45 / 054-746-1115
- 신정희요 : 신한균 :경남 양산시 하북면 평산마을길 114 '신정희요(窯)
- 신철 :
신철
단국대학교, 동대학원 졸업
개인전 18회, 단체전 150여회
수상경력 : 120여회
작품소장 : 뉴욕브루클린박물관, 청학미술관, 방산자기박물관,
청강문화산업대 사랑관 도벽, 아산자이아파트 도벽
현재 : 한국미술가협회 회원, 도곡도예가회 회원
- 신현철도예연구소(왕실도자) : 연파 신현철 : 경기 광주시 도척면 마도로 123-16 / 031-762-2525 010-9122-9122 http://www.shcceramic.com/
- 심곡요 : 안주현 : 경남 밀양시 산내면 가인리 1528
개인전
2006년 심곡 다관전 [아름다운 차 박물관]
2007년 제 2회 심곡 다관전 [나눔 갤러리]
2008년 제 3회 심곡 다관전 [통도사 성보 박물관 갤러리]
2009년 제 4회 심곡 다관전 [통인 화랑 갤러리]
2016년 제 5회 심곡 백자다관전 [갤러리 밈]
단체전
1997년 김해도예 협회전
2000년 대한민국 다기전 [국립 민속박물관]
2002년 도우회 5인전 [대구 동아쇼핑]
2006년 경남 장작가마 교류전 [리사 갤러리]
2006년 도우회 후쿠오카전 [오이씨 갤러리]
2006년 월간 Tea&Peaple 차도구 기획전 [분당 디자인 센터]
2008년 도우회 오사카전 [Yamaki 갤러리]
2008년 새김과 차 그릇의 만남전 [아름다운 차 박물관]
2009년 4인 4색 story - telling전 [자이 갤러리]
2010년 아름다운 그리고 불완전한 도자 3인전 [전주 교동아트]
2013년 다완사랑 작가전 [갤러리 오늘]
- 심암 心岩 : 노덕주
- 심원도요 : 심원深源 박경환 朴慶煥 : 경기도 광주
- 심천요 : 심천 深泉 김진현 : 경기 이천시 신둔면 수광리 260-3 031-632-7086
- 아인요 : 아인 박종한
아인박종한 약력
1943년 4월 진주공립중학교 졸업, 진주고등학교 졸업
1944년11월 반진단원 9병과 같이 일본의 본거지인 부산항구를 폭파계획을 세우다 적발되어 부산형무소에
투옥되었다가 광복으로 구사일생으로 살아나옴
1950년 6월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4년 재학 중 6.25 사변으로 학업중단
1953년 4월 8일 반진 구국정신을 건학이념으로 선친 만암의 전 유산을 기본 재산으로 대아중, 고등학교 설립.
오민교육 창설. 33년간 교장역임.
1977년 8월 남명제 창설. 한다례 복원
1978년 5월 아인요 설립, 전국도요지조사, 발굴, 전통다완재현
1978년 8월 최범술, 김미희, 박동선 외 몇몇 차인 동지들과 사단법인 한국차인회 창립. 창립부회장 및 고문 역임.
정신문화연구원에서 제1회 한국다도연수회 개최. 한국다도정신 강연.
1979년 4월 박응송 스님 안내로 조자룡, 김붕호와 같이 일지암 유적으로 찾고 밀지암 재건
1981년 5월 25일 차의 날 창설. 진주 촉석루에서 거행. 차의 날 선언문 작성
1981년 10월 경의정 학생다도정립
(대아고등학교 전교생 실시-3년 후 서울대71명 입학 전국최고합격률)
1982년 4월 무애사발(이도다완), 오행다완, 경의잔 창작
1993년 10월 한민족현창회 창설 회장취임. 지리산 청학동에 민족재단 건립
1994년 오성다도 정립, 전국오성다도 연구회 조직
1995년 남해 하천다숙 다도교육실 개방
2005년 12월 하천다숙 국가 중요문화제 선정
2006년 5월 오성다도 책출판
(방대한 보관자료로 근대차문화사 및 한국차철학정립을 정립함)
2007년 5월 25일 하천다숙에 차의날선언기념비 제막
1991-2008 이후 차 교육에 매진 -현재 300여 개 차단체/10,000여명 차 교육
2008년 6월 한국차인대상 교육부분 수상
수 상
1989년 5월 25일 한국차인 연합회 창설 공적패 수상
1998년 7월 7일 한국다도협회 차문화 공로상 수상
1998년 10월 31일 초의상 수상
2000년 11월 명원차문화 공로상 수상
2008년 6월 한국차인대상 교육공로상 수상
강연 및 전시
MIT,하버드대학 한국다도강연/나고야 성 박물관 이도다완 특별강연 등 30여 회
한, 미, 일 다완 및 다도구전시 20여 회
- 아화도예 이성도
- 알천도예 : 이동면 : 여주시 신륵1길 55 / 031-885-9313 /HP 010-8582-9313
- 언양요:김춘헌:신정희 선생님의 제자 : 울산 울주군 상북면 석남로 451
- 여천도요 : 여천 이연휴 :이천 도자기 명장 : 경기 이천시 신둔면 원적로 369-39 / 031-632-7116
- 영광도요 유영채: 031-637-5424경기 이천시 신둔면 고척리 588-2
1962. 전남 영광출생
1990. 당산도예 설립
남산 한옥마을 전시 개인전
목포 도자기 축제 참가
의정부 호암선생 사군자 시사
1995. 잠실 롯데백화점 행사 전시
청강대학 산업 디자인과 수료
청강대학 산업 기술학과 수료
1999. 세계 도자기 엑스포 생활 도자전 입선
전국 미술대전 우수상
이천 문화원 회원
2000. 인사동 아트홀 1회 단체전 전시
영광도요 설립
인사동 아트홀 2회 단체전 전시
인사동 아트홀 3회 단체전 전시
인사동 아트홀 4회 단체전 전시
2004. 명지대학교 최고기술학과 졸업
전국 미술대전 최우수상
이천 사단법인 도예가 협회 회원
2006. 명지대학교 대학원 동문회 전시(예술의 전당)
2008. 명지대학교 대학원 동문회 전시(인사동)
- 영남요 :경북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579 영남요 / 054-571-0901
백산((白山)김정옥:국내 도예 부문 최초의 대한민국 명장(1991년)이자 중요무형문화재 제105호로 지정(1996년)
우남(牛湳) 김경식:우리나라 도예부문 최초로 1991년 대한민국 명장으로 지정된데 이어 1996년 중요무형문화재
105호로 지정된 백산(白山) 김정옥(金正玉) 선생의 아들이자 사기장(沙器匠) 이수자이다.
백산과 우남의 영남요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조선 백자의 맥을 이어가고 있는 곳.
김취정선생으로부터 김광균, 김영수, 김락집, 김운희, 김장수, 김정옥, 그리고 우남 김경식으로
이어지는 도자기 가문으로 4대째의 김운희에 이르러서는 경기도 광주군 분원리에 있는 조선왕조의 관요(官窯)를 통해 명장으로 이름을 널리 알렸던 뼈대 있는 도자기가문이다.
010-5309-3959
우남 김경식 牛湳 金璟植(1867년~)
국가무형문화재 105호 사기장 전수조교
단국대학교 도예학과 박사수료 / 전통문화대학교 전통공예학과 강사
< 수 상 경 력 >
2004 제22회 대한민국 신미술대전 전통공예부문 대상
2005 (사)한국전통문화예술진흥협회 주최 『2005 우수청년작가전』
전통도예부문 청년우수작가상(문화관광부장관상)
2006 제22회 대한민국전통미술대전 전통도예부문 대상
뉴스매거진「2006년 인물대상 민속예술 대상」 수상
2009 글로벌 명장 선정
2011 제 36회 대한민국 전승공예대전 문화재보호재단 이사장상
제1회 문경찻사발 축제 전국 발물레 경진대회 대상
2012 고용노동부 장관 표창장/경상북도 기능경기대회 은상
2013 제 38회 대한민국 전승공예대전 국무총리상/제 48회 전국 기능경기대회 은상
< 국 내 전 시 >
2004 개인전 대백프라자, 대구
2006 개인전 <한국 전통백자의 멋> 법련사 불일미술관, 서울
2010 개인전 <우남 김경식 도예전> 봉산문화회관, 대구
2012 초대전 <달항아리. 一念> 父子展 한전 ART CENTER GALLERY, 서울
2013 기획 초대전 <도예 명문가 3대전> 수성아트피아, 대구
2015 초대전 <도선불이 陶禪不二: 백산 김정옥 3代展>, 국회의원회관 전시실, 서울
2017 기획 초대전〈명장명품: 무한부작無汗不作〉참가, 신세계 백화점, 대구·부산·광주
초대전〈흙. 달이 되다〉, 전곡선사 박물관 아트섹션 오픈 기념, 전곡
초대전〈백산 김정옥 부자전>, 세종갤러리, 서울
< 해 외 전 시 >
2002 개인전 <한국최고の登リ業 이조 8대 영남요 우남 김경식 다도전茶道展>
마루이마이백화점(丸井今井百貨店), 도쿄, 일본
2006 특별 초대전 베를린 한국문화원, 독일
〈아세아 태평양 국제미술 교류전〉 참가, 말레지아
2008 초대전 <김경식 다도전茶道展> 게이오京王 백화점, 도쿄, 일본
2011 한국대사관 특별 초대전
<문경에서 세계로From Munkyung to The World> 토론토, 캐나다
왕립 온타리오 박물관, 캐나다 역사박물관(구: 국립문명박물관), 상설전시
< 논문·저서 >
2018 『한·중·일 가마구조의 특징과 시기적 변천』, 도서출판 알음
『근대 공예론』, 도서출판 알음
2017 「경상북도 문경지역 도자제작의 역사와 사기장인의 역할」,
『한국도자학 연구』, 한국도자학회
『도자기 제작의 과학기술적 특징과 장식기법』, 도서출판 평화
『망댕이 가마 제작기술 연구와 현대적 복원』, 도서출판 평화
『다완』, 도서출판 평화
2016 『백자의 숨결 잇는 튼실한 그릇 아비. 8대 도공 김경식의 삶』, 도서출판 뉴욕
< 특허 및 디자인 등록 >
특허: 황자(黃磁)의 제조방법/분홍색을 갖는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만들어진 도자기
디자인: 주전자/합/숙우/찻상
9대 김지훈:
- 영주헌도예 : 현강 이정협 : 경기 여주시 강변북로 70-3
- 예송요 : 유기정 경기 이천시 신둔면 마소로95번길 21
- 예인요 :月仁 임용택,朱木 이미진
- 예진도요 : 한기웅 :경기 이천시 신둔면 서이천로853번길 115-97
- 오름도예 : 조무현趙武鉉 Cho,Mu Hyun :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봉헌리 230번지 / 010-5224-7590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졸업 (도자기전공)
1997 제1회 조무현 도예전(국민대학교 조형 갤러리)
2005 제2회 조무현 도예전 (경인미술관
2011 제3회 조무현 도예전 (통인화랑)
1995~1999 도도회 출품
1996~1998 한국공예가회전 출품 1
1997~2010 북악 CD전 출품
2006 대한민국 다기대전 출품 (한국 공예관, 청주시)
2010 한국도예전 출품(고대안 갤러리, 일본 하나마키시)
2010 국제문화창의박람회 한국도자관 출품 (베이징, 중국)
1991 대한민국 공예대전 입선
1992 서울 현대도예공모전 입선
1999 경북 공예대전 장려상
2000 강원도 공예대전 은상
2002 경기 관광기념품 공모전 장려상
2005,2006 토야 테이블 웨어 공모전 입선
2012 경기도 공예품대전 특선
2012 대한민국 공예품대전 특선
2012 대한민국 도예공모전 특선
1998~1999 안동과학대학 사회교육원 출강 1
2001~2004 한국폴리텍III대학 산업디자인과 출강
오름도예연구소 Orum Ceramic Studio
경기도 광주시 실촌읍 봉현리 116
tel 031 797 4069 mobile. 010 5224 7590
e-mail orum7590@hanmail.net
https://blog.naver.com/orum7590
- 오름오르다 : 박채영 :
- 옥천요 : 담월(潭月) 이숙인 충북 옥천군 군북면 성왕로 1824-48 / 아들: 도당(棹塘) 최석호
- 왕방요 : 신용균 : 故 신정희 家에서 분청 맛이 가장 이름난 요장은 둘째 아들인 신용균 작가가 아닌가 하는 ~~
울산시 울주군 삼동면 하잠리 709-1 /052-264-9824
- 완송도자기: 류선영 :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곤지암리 57 / 010-8700-6089
- 용도예 :故김인용:현)김영주 :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무갑길124번길 69 / 017-277-0543
- 용연요 : 윤경훈 ; 경북 문경시 문경읍 용연길 156-30 / 054-571-7124 010-6532-7124
1997 도예 입문
2004 요업기술원 수료
2007 수철을 이용한 도자기 및 이의 제조방법 특허 획득
음성 철박물관 수철도자기 영구 소장
2018 문경 전통찻사발축제 14회째 참가
< 수 상 경 력 >
2007 경북 미술전람회 입선
영남 미술대전 특선
2010 문경 전통찻사발공모대전 수상
2014 대한민국 현대미술대전 특별상 수상
< 전 시 내 역 >
2006 문경 명품다기특별전(세종문화예술회관)
Ceraf모임 단체전(인사동 경인미술관)
2007 Ceramic Friends 단체전(서울 북촌 지노공간)
2010 만추 3인전
노르웨이 국립오슬레이박물관 용연요 수철도자기 전시
2014 제1회 개인전
2015.10 중국 경덕진 세계 도자 박람회 참가
- 용운도예 : 용운 박광성 : 경기 여주시 도예촌길 44
- 용운도예/강유신/진례면 진례로 337-15/010-6767-3391
- 우곡요 : 이종태 :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 만어로 370 / 055-356-3841
- 우당고려청자연구원 :우당宇堂 한명성 경기도 이천군 신둔면
- 우리도예공방: 이규열 :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옛진말길 63-11 / 010-2229-9022
2015 우리도예공방 운영
2015 경기도 세계도자 비엔날레 전시
2006 경기도 세계도자 비엔날레 전시
2011 대한민국 현대미술대전 특선
2011 신미술 대전 특선
2011 공평 갤러리 그룹전
2011 흙으로 만든 세상 그룹전
2009 현대 자동차 그룹 초대전
2007 광주 왕실 도예 작가전
2006 우리도예공방 설립
- 우석도자기 : 박우영 031-886-0069경기 여주시 독바위길 45
- 우성 (愚星) 조애실 : (趙愛實.1920.11.17∼1998.1.7)
여류시인ㆍ애국지사. 호 우성(愚星). 함북(咸北) 길주군(吉州郡) 길주읍(吉州邑) 길북동(吉北洞) 출생.
1946년 경성여자신학대학(京城女子神學大學) 중퇴. 1946년 순간(旬刊) 「한보(韓報)」에 <새벽 제단>발표
20여 년간 도자기를 연구, [청민공예연구회] 회장,
이북5도청 내 함북문화진흥협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 건국훈장 애족장(1990) 수상.
- 우송움막 : 故 우송(又松)김대희 딸 김현진 :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용면리 410 / 031-637-7116
2013년 7월22일 여주 이천에 집중호우가 내리던날 아침
이천 신둔면 용면리 산속 집앞에서 실족(추정) 급류에 휩쓸려 오후에 한참아래 계곡에서 시신발견.
- 우시형공방 : 우시형 :충북 음성
- 우일요 : 은전/토전 : 김익영 : 서울 성북구 성북로 95-4
국민대 공예미술학과 명예교수
- 우정도예: 이만재 :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수양3리 485 / 010-7755-3627 : 목단 생활도자기 및 작품
2015 광주왕실도예 문화이사
2001 광주왕실도예 조합
1995 우정도예 설립
- 우정요 : 정구천 경기 여주시 현암2길 6-7 / 031-885-0086
- 욱산 김석만
- 운강요(김해도자연구소) : 김양수 : 김해시 생림면 장재로 353번길 20-9/010-6724-0061
- 운공방 : 김호철 :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만삼로 385-11 / 010-8776-7199
단체전 다수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특선 및 입선서울산업미술가회 전국공모전 특선국제도예대전 특선 및 입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예학과 졸업
- 운산도예 김흥배 : 경기 여주시 여양로 1083-10 / 제6대 여주 도예명장
- 운암도예 : 운암 김강용 : 경기 여주시 여양로 266-14
- 원광도예 이종성: 충청북도 충주시 중원대로 3683
무형 문화제 10호
- 원정도예원 박래헌 경기 이천시 신둔면 황무로251번길 43 / 031-637-1780 / 010- 4421- 1780
박래헌 이력
세종대학교 회화과 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도예학과 졸업
1996년 전승공예대전 대통령상 수상
1999년 한국공예가협회 협회상 수상
2003년 세계도자비엔날레국제공모전 심사위원상
2004-2007년 “From the Fire" 미국순회전
2007-2010년 “Tradition Tranceformed" 유럽순회전
2007년 스미소니언 미술관 기획전 (워싱턴D.C, 미국)
2007년 세계현대도예작가전 (경덕진박람회, 중국)
2009년 한국도자명인100인전 (한국미술관, 서울)
2010년 2010교류&교감전 (북경한국문화원, 중국)
2011년 “향의 여운” 개인전 (지유갤러리, 서울)
2012년 “산수도” 도자벽화 제작 (여주검찰청)
2013년 “박래헌의 달 항아리” 개인전 (모아갤러리, 파주헤이리)
전: 세종대학교, 한국전통문화학교 강사, 서울과기대 겸임교수 역임, 이천시미술장식품심의위원
현재 : 현대도예가회 회원, 한국미술협회 분과위원. 조각심포지엄추진위원
- 월당도예:월당(月堂) 이순길 :여성도예가 (1935년) 백제미술대전 대상 수상
- 월봉도예촌(한솔도예): 오정택 : 경북 문경시 신기로 172 /054)553-3324 (HP)010-3502-5792
1987 계명대학교 미술대학 산업미술학과 도예전공
1999 문경대학교 도예과 겸인교수 역임
2002 경상북도 전통문양디자인 경진대회 심사위원 역임
2013 경상북도 공예품 경진대회 심사위원 역임
2013 문경 전통도자기협회 회장
2017 제1호 문경시 도자기 명장선정
2018 문경 전국 찻사발 공모대전 심사위원 역임
< 수 상 경 력 >
1996 경상북도 공예품 경진대회 동상
1997 경상북도 공예품 경진대회 동상
1998 대한민국 공예품 경진대회 특별상
2009 대한민국 사회공헌 대상
2017 대한민국 문화미술대전 공예부분 대상 외 다수
< 전 시 내 역 >
1990 현대도예 90년대의 확산전(서울)
1995 용과 예의 5인전(서울)
1998 영남도예 100인전 초대출품(대구문화예술회관)
경주 문화 엑스포 초대출품(경주)
2000 문경도예가 9인전(일본오사카)
2002 국제 차 문화 대전(서울 코엑스)
2003 세계 도자기 비엔날레 전통가마 제작 워크샵
2003 대구 유니버시아드 초대전(대구)
2003 뉴욕 박람회 초대전(미국 뉴욕)
2004 한국 전통도자의 맥과 정신 초대작가전
2005 월봉요 다도구전(대구)
2006 문경 명품 차도구전(서울 세종문화회관)
2008 광복 60주년 독립운동가를 위한 전통도예 초대전(서울)
2009 현대 도자 백호전(대만 신광 백화점)
2010 한중 명인 100인전(서울)
2012 분청사기 전통과 현대의 만남(대구대 중앙 박물관)
2012 전통문화계승인 초대전(대구 대덕문화전당)
2014 계명미술대학 50주년 초대전
2015 중국이싱 국제도자 초대전
2016 명가명작 초대전
2017 한베트남 미술 교류전(호찌만)
2017 도예 명장 초대전(광주문화원) 외 200여회
< 연 구 실 적 >
특허 제 0392110호
의장특허 제 0289925호
특허 제 0284704호
특허 제 0194902호
특허 제 10-1839097호
특허 제 10-1796458호
- 월산(月山) 윤성도(尹晟度)
- 월산요 : 정용석 : 경상북도 영천시 화남면 죽곡2길 15-1 / 054-335-5550 백산 김정옥선생님 사사 전수생
- 월정도예 : 월정(月正) 한석기 : 경기 이천시 신둔면 원적로 2-16 / 031-634-8590
- 웅천요 : 최웅택
- 유천도요 : 유천(柳川) 이은규 : 063-583-1905전북 부안군 보안면 청자로 1594-4
- 은광도예 은광 恩光 김익진
- 은작기림 : 은성민 :
경남 양산시 하북면 순지리 692번지-은작기림.(통도사 하북 파출소 맞은편) H.P-010-3110-1955
- 은전요 : 금태웅 :
- 이경훈도예연구소 : 이경훈
- 이도도예 : 조성일 : 충남 논산시 연산면 청동로1길 93 / 041-734-7771
- 이랑도예 : 경상북도 상주시 상산로 82-3 010-9324-1787
- 이부웅 작가 Lee Boo WONG
1942 인천출생(인천시 주안동 1258번지)
1961-1965 홍익대학교 공예학부 도예전공 졸업
1968-1987 홍익대학교 도예과·대학원 강사
1974-2007 단국대학교 조형예술대학 도예과 교수
1973 한국 현대 도예가 초대전(서울대학교 박물관)
1974 한국 문예 진흥원 공예가 초대전 출품(문예진흥원)
1975 한국 광복 30주년 현대 공예대전 출품
1978 한국 현대 도예전 출품(국립현대미술관)
1982 한국 도예의 단면전(뉴욕)
1982~1994 서울 신문사 도예 공모전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1982 ~ 1994 한국 현대 미술 초대전(국립현대미술관)
1983 한·영 수교 100주년 기념 도예 초대전(영국)
1983 한국 도예 초대 작가전(프랑스)
1984 ~ 2008 전국 공예품 경진대회 심사위원 및 경기도 지도위원
1985 ~ 1998 한국 현대 공예대전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1986 한국 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 초대전(국립현대미술)
1990 예술의 전당 미술관 개관기념 한국미술 오늘의 상황(예술의 전당)
1993 Contemporary Korean Ceramics
1994 한국 현대도예 30년전(국립현대미술관)
1988 ~ 1995 서울 현대 도예 비엔날레 초대전(서울시립미술관)
1995 서울신문창간40주년기념, 한국현대도예 50인 초대전(서울갤러리)
1989 ~ 1996 서울 공예 대전 초대 출품(서울시립미술관)
1999 ~ 2006 한국 현대 도예가회전
1999 ~ 2006 한국도자학회
2000 2000 대한민국 도자전
2003 일본 세계 도자 교류전
2002 대한민국 도자전 초대 출품(광주 세계도자기 EXPO)
2002 ~ 2006 인천 하와이 국제 미술 교류전
2005 ASIA CERAMIC NETWORK
2007 개인전 5회
- 이세용도예 : 이세용 : 서울 성북구 성북로6가길 2 / 070-7750-2401
- 이소도예 : 임성호 : 충남 공주시 반포면 도예촌길 71-27 / 041-857-8811
- 이우 : 이주석 우은주
- 이인도예공방 : 이윤섭 :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만선로 112-38 / 010-2335-2992 백자, 생활자기
2003 제 38회 전국 기능 경기대회 도자부문 금상
2003 경기도 지방 기능경기대회 도자부문 은상
2002 제 7회 국제 도예 대전 입선
1994 제 15회 서울 현대도예 공모전 입선
1994 제 9회 대한민국 공예대전 입선
1994 국제 도예공예 대전 대상수상
1991 91 디자인대전 입선
1986 서울 지방기능 경기대회 금상수상
199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졸업
- 이조요 : 故)토정 홍재표 :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수하리 494-2 / 031-634- 6278
- 이천도요:(방곡민요)고 좌봉(소암) 김응한 (묵전요 고김태한 선생님은 형)
- 인화요 : 서인화 :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상번천2리 569 010-3993-0042
- 일봉도예공방 : 고영선 경기도 하남시 산곡동로66번길 010-6325-3236 : 분청, 생활자기, 화도구 생토
- 일석도예 一石 정선영鄭善泳 : 경기 화성시 팔탄면 독곡길 68-4
- 일송도예 : 황동구 : 경남 고성군 하이면 봉현3길 76-5 / 055-835-8745 / 010-2628-8745
- 일송도요연구소 : 심정섭: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도척윗로 720 010-9001-9659 주생산품 : 생활자기 전통조선백자 작품
'제7대 광주왕실도자기'명장 '
조선백자 재현스페이스 모하 초대전(모하갤러리)경기도정 600년 기념 특별기획전(한국도자재단)한중도자전(중국경덕진)한국전통가마 보존회(일본동경 한국문화원)대한민국 종교예술제(예술의 전당)한국차도구 백인전(경복궁)1대 창설자
심승화 선생과 2대 심상옥 선생에 이어 3대 째 전통가업을 굳건히 이어가고 있는 도자 명인
- 일청도예연구소 : 일청 박철순 : 경기도 여주
- 자기소의봄 : 유천욱 강현경
'자기소(磁器所)'란 조선시대에 상품(上品)백자를 제작, 생산하여 나라에 공납하던 곳이며, '봄'은 새로움, 변화, 다채로움,
신선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작업실에서 생산되는 모든 제품에 그러한 것들을 담아내고자 하는 의지이기도 합니다.
'자기소의 봄'은 유천욱, 강현경 두 작가에 의해 모든 작업이 이루어지며, 백자에 현대적인 색채와 기형을 가미한 테이블 웨어와 동물들의
형태를 응용한 도자 인테리어 소품 등을 위주로 제작하고 있습니다.
*류천욱 RYU CHEON WOOK
국민대학교 공예미술학과 도예전공 졸업
국민대학교 대학원 도예학과 졸업
2009 '문화를 나누다'전
2008 '봄식탁'전, 한일교류 '友'전, 'Feea at home, please'
2007 '홈&테이블 데코 페어'참가, '이야기숲'전, '流'전
2006 '류천욱, 강현경'전, 한일청년작가교류전 '여행', '크리스마스선물'전, '서울 리빙 디자인 페어'참가, '홈&테이블 데코 페어'참가, '도자기 비엔날레'참가
*강현경 KANG HYUN KYUNG
국민대학교 대학원
도예학과 졸업
수상경력 - 제7회 관악 현대미술 대전 특선
블로그 - http://blog.naver.com/zakisovom
- 자인요 김성태 : 충남 보령시 신설4길 2
- 장송모 도자연구원 : 호봉 장송모(1929~) : 강원 횡성군 공근면 창봉길 32 / 033-342-0011
강원도 무형문화재.
수많은 연구와 공부를 하시면서 국사편찬위원회 사료 심사위원 까지 지냈으나
첫 번째 개인전을 고희를 넘긴 73세 되던 해인 2002년에 가진 것만 봐도 선생님의 도공으로서 예술혼을 엿 볼 수 있고,
선생님의 작품은 시중에서 쉽게 볼 수도 없다.
선생님은 빙열백자(氷裂白滋)를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재현해내며 주목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선생의 작품은 국내는 물론 일본 북해도 도야 전시관, 중국 칭하대 박물관,
미국 워싱턴 DC 스미소니언 박물관 등 세계 유명 박물관에 상당부분 소장이 돼 있다.
대한민국 훈장과 문화관광부장관상등 다수의 상도 수상했다.
무형문화재 6호 지정
원주시 행정자문위원.
전통 도자문화사 연구회장.
국가 기술 자격 검정시험 출제전문위원.
전통공예기능 보존 협회 부이사장.
문화재 보호재단 전통문화 연구회원.
조선국 통신사 역관사비 건립위원 (대마도).
한국 문화사학회 이사.
한국 전통 공예학회 회장.
아시아 학술연구회 이사.
국사편찬 위원회 사료조사위원.
현대미술 대상전 심사위원.
한국 미술제 심사위원.
KBS 시청자 위원.
한국 신지식인 연합고문
독립기념관 사료조사위원
한중우호협회원
무형문화재 강원도회장
무형문화재 전국연합회 부회장
- 장안요 : 신경균 : 부산 기장읍 장안리 307 / 051-727-8216 http://www.janganyo.com/
- 장훈성도예 : 장훈성: 경기 이천시 신둔면 도자예술로 85
- 장휘요 : 병옥 최인규: 경기 이천시 경충대로2993번길 16
2005년 이천시 도자기 명장에 선정
https://www.youtube.com/watch?v=OzlNcEHcVh4&feature=youtu.be
- 잿골도요 : 한영석
- 전원도예 단아 박광천(朴光千) : 경기 여주시 어영실로 87
2008년 전원도예 박광천 여주시도예명장 3호
- 정감 : 이경춘 홍승희: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천진암로522번길 65 전화번호 : 010-8291-8522
- 정광도예 : 亭侊 성정훈 031-632-9923경기 이천시 신둔면 도자예술로99번길 72
- 정도가 : 정종혁 : 경기 이천시 신둔면 도자예술로6번길 46
학 력 : 공학박사 (명지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도자기전공 )
경 력: 현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도자기 기술학과 부교수
현 원점도예 대표 (도예공방, 도예교실)
정도가 천목 도자기 연구소대표
국가기술자격증 :
자격종목 7890( 도자기 공예 기능사) 한국 산업인력공단 발행
증 명 서 : 등록도예가 한국도자재단발행
도예교실인증서 명지대학교 한국 도자기 연구소 장
논 문: 2001년 천목유약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nmoku glaze)
2006년 유적천목의 유적 발생 구조 (한국세라믹학회)
(Oil spot generative formation of oil spot Tenmoku)
2010년 화목천목유약의 특성과 생성 메카니즘(일본세라믹학회)
(A Study on the properties and formation mechanism of Nogime Tenmoku glazes)
2010년 황토를 사용한 천목소지 개발 (한국세라믹학회)
(Development of body for temmoku tea bowl using Hwangto)
2010년 천목다완 소지 및 유약연구
(A Study of Temmoku Teabowl Bodies and Glazes )
전시경력:
1999년~2000년 일본 큐수지방 호텔 및 매장 15겔러리 순환 전시
2002년 한국 인사동 덕원 갤러리 도자기 전시 다수
2004년 일본 한국문화원 공동전시 다수
2011년 봄 COEX 천목다완 전시
2011년 여름 공평 갤러리 [홍천목 세상을 열다] 개인전 전시
- 정봉도예 : 진영남 : 광주 광산구 월곡반월로 74
- 정요 : 정진완 : 경기 이천시 모가면 대월로261번길 120-13 / 031-634-7195
- 정호요 : 소담 임만재 : 경남 김해시 한림면 퇴래리 572-2 / 055-346-2612
- 제주요 (濟州窯) 육산六山 김영수 : 제주 제주시 애월읍 평화로 2847 / 064-748-0121
김영수 1947년 서울 출생
17세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황실지정 가마인 대설요에서 일본 황실의 명품 창작 기법을 전수 받고
1975년 경기도 광주에 터를 잡고 본격적으로 작품을 제작 한다
이후 제주도의 화산토를 연구하여 점력이 약한 화산토로 1200도 가 넘는 고온에서 도자기를 구워냈다
화산토의 색상이 여러가지라 검은색과 햐얀색도 등등 여러가지 색상이 나온다.
- 조경도예 : 조경(趙京) 조경수 : 경기 여주시 신륵3길 2
- 조광도예 : 안효규 경기 여주시 강변북로 70-5 / 031-885-2836
- 조선도공 : 황홍희
- 조선요 : 聞山 문산 김영식 : 경북 문경시 문경읍 관음길 212 / 054-571-2536 010-6664-4394
1989 가업계승
2004 KBS 대하드라마 <불멸의 이순신> 망댕이가마 2기 제작 및 소품 협찬
2006 조선요 망댕이가마 경상북도 민속자료 135호 지정
2010 청와대 신년 건배잔 제작 및 특허등록출원(특허청)
2017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사기장 32-라호 지정
< 수 상 경 력 >
2001 대한민국 전승공예대전 입선
2002 대한민국 전승공예대전 장려상
2003 대한민국 전승공예대전 입선
2009 현대미술대전 공예부문 최우수상 및 특별상 수상
2010 대한민국 전승공예대전 입선
2012 대한민국 전승공예대전 특선
< 전 시 내 역 >
1997 러시아 한국도자전시회 출품
2002 대구 문화예술회관 기획 <올해의 청년작가 초대전>
2005 일본 아리따 도자기축제 초대전시회
2008 일본 한일교류 초대전(큐슈 다께오시)
2012 미국 엔니카 도자기전시회 찻사발 출품
2013 롯데갤러리 본점(서울) 조선백자 8대 종가 기획전
2014 오사카 한큐 백화점 한일 교류전
2015 한일 수교 50주년 나고야성 박물관 한일교류전
2016 경북도청이전기념 달항아리 십오인전
현) 8대째 조선백자 가업계승 및 조선요 운영
- 조오씨네도요 : 조한범
- 조은요 : 홍영표 : 김해시 진례면 진례로 233번길 29-2 / 010-3634-3910
- 조일요 : 정재효 : 울산시 울주군 삼동면 조일 982 / 052-264-3851
63년 부산생,
81~83 고영재 선생 사사
83~93 신정희 선생 사사
90'국민대 조형대학 졸업
00' 부산대 대학원 수료
신정희 선생의 조카사위
- 조평요업 : 故)조평 조한경 : 031-884-2336경기 여주시 여양로 222-18
- 좌봉가2대 : 김현규
- 주언식도예공방 : 주언식
서울 산업대학교 도예학과 졸업
단국 대학교 대학원 도예과 졸업
제3회 대한민국 미술대전 입선 (84)
제22회 대한민국 산업디자인전 입선 (87)
대한민국 공예대전 입선 (86,87,90,91,94)
서울현대 도예공모전 입선 (94)
단체전 40여회
한국미협, 한국공예가회, 질꼴, 신공예회, 전업도예가회 회원
- 주흘요 : 월파(月波) 이정환 :경북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590-3 / 054-571-2368
1970 관음리 민요 도예 입문
1983 문경 관음리 춘호요 설립 고려 다완(백자) 집중 연구
1992 주흘요 이전 설립
2003 문경 전통찻사발축제 추진위원장
2006 전국기능경기대회 도자기 심사위원
2010 문경 전통도자기협회 회장 역임
2012 경상북도 도예 부문 최고장인 선정(도예 부문)
< 전 시 내 역 >
1982 일본 명고옥 삼활백화점 다도구 개인전
1992 일본 동경, 나고야 오사카 등 순회 전시 다수
1996 제4회 국제 차 문화대회 초대전(세종문예회관)
1997 영남 전통도예전(대구 문예회관)
1998 중국 항저우 차엽박물관 전시
2003 찻사발 명인 5인전(서울 백상미술관)
2012 회령유 전시회(부산 신세계백화점)
미국 NCECA 전시회 찻사발 출품
2013 한일도자교류전(부산문화회관 대전시실)
2015 회령도자전(한중북일) 롯데백화점 본점 롯데갤러리
- 죽연도요 : 서영기: 충북 단양군 대강면 방곡리 175-2/ 043-422-4439 / 010-4436-9921
- 중점요 ; 김태운 : 경북 문경시 문경읍 관음2길 37
- 지강도요 : 김판기 : 경기 이천시 사음로 6 / 031-631-5867
1983년 경기 이천에서 도자작업 시작.
1997년 전국 도자 및 공예대전에서 60여회 입상.
2000년 제28회 동아공예대전 대상 수상.
2008년 유네스코 우수 수공예품지정으로 인정받음.
2010년 빗고을 공예대전에서 금상 수상.
- 지랑요 : 심천(心泉) 신봉균(申奉均) - 신정희 작가님의 막내아들
- 지산도천방(芝山陶天房) 지산 芝山 이종능李鍾能 :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관음 1리 734-3번지 (절골)
1958년 신라(新羅)의 고도(古都) 경주(慶州)에서 태어남
1983~1985 - 지리산일대 분청사기 파편 태토(胎土)수집 연구
1989~1992 - 일본, 제주도, 대만, 태국의 남방문화의 흐름 추적 연구
1992~1993 - 중국, 몽고, 실크로드 명요(名窯) 명차(名茶) 산지를 찾아 북방문화권의 흐름 추적 연구
2002. 2 - 중국 남송의 명요(名窯) 건요(建窯) 길주요(吉州窯) 답사 태토, 파편, 가마 구조 연구
현 재 -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관음1리 734-3(전골) 지산도천방에서 작품활동 중
- 지석도요 : 우현 손동진 : 광주광역시 남구 양괴동 893 (빛고을공예창작촌)/062- 373- 4358 / 010- 5331- 1628
- 지암요: 志岩 안홍관 : 경남 김해시 생림면 봉림로98번길 25 / 055-321-3342 / 차사발 명장(2009년)
- 지평도예 : 1대 한영석 2대 한치수 3대 한상준 4대 청담 淸淡 한창문韓昌文 5대 한기석 6대 한민우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도척로330번길 31 010-4224-3386
청담 淸淡 한창문韓昌文 : 1924~1996. 1967년 대통령문화상
청담 한창문(1924-1996) 선생은 생전에 국내외(특히 일본)에서
분청사기의 독보적인 거장으로 인정 받으셨던 도공이십니다.
1대 한영식 선생 - 조선조말 도편수
2대 한치수 선생 - 조선조말 광주분원 도편수
3대 한상준 선생
4대 한창문 선생, 자제분인 5대 한기석 선생
6대 한민우에 이르기까지
집안의 명맥을 이어오시고 계십니다.
1984년 일본 오사카에서 개인전을 열었을 당시 아사이 신문에 대서 특필되었을 정도로
국보급 대가로 인정 받으셨던 분입니다. http://breaknews.com/77595
한창문 - 1924년 경기도 출생,
1996년 작고. 1967년 전국도예전 대통령 문화상을 수상한바 있으며,
1968년 경기도 광주군 동부면에 ‘산곡요’를 설립하였다.
한기선 도공 <지평 조선백자연구소 >
업실 주소 : 경기도 광주시 실촌면 곤지암 216
전화번호 : 031ㅡ 769ㅡ 4050
핸드폰 : 011ㅡ 265ㅡ 7544
약 력 : 청자 5대가 전래 명문가
1대 : 고조부 한영석 이조 시대말기 광주분원 도편수
2대 : 증조부 한치수 이조 시대말기 광주분원 도편수
3대 : 조부 한상준 경기도 광주, 이천 도예가
4대 : 부 한창문 1924년생 경기도 광주, 이천 도예가
5대 : 한기선 현재 도예가> Han Gi Sug
광주 왕실 도자기 조합 총무이사
대한민국 전승도예협회 이사
한국 도자 협회 회원
지평조선백자 연구소 연구 소장
광주 왕실 도자기 축제 추진위원
도인회 회원
경기장인 보존협회 이사
조선 관요분원 5대 후손
> 학 력
2007 명지 대학교 산업대학원 도자 기술학과 졸업
2009 한국도자 재단 도예인아카데미> 전시경력(최근년도순)
2007 싱가포르 국제 박람회 도자 워크숍
2007 독일 도르트 먼트 대학 초대 특별전
2008 경기 장인협회 창립전
2009 위안부 나눔의집 돕기 자선 도자전
> 수상경력
2003 w[1회 아름다운 공모전 특병상
2007 대한민국 공예품 대전 국무총리상
2008 대한민국 전승공예대전 특선2
2009 클레이 페스타벌 종합 대상 수상
> 작품소장
2000 국립 민속 박물관(수장고)
2001 세계도자 엑스포 대형 작품(경기도청, 광주시청, 경기도자 박물관)
2007 독일 도르트 먼트 대학(독일 슈투트가르트)
2015 한국도예협회 이사
2015 광주왕실도자기명장 심사위원
2015 광주왕실도자기조합 이사장
2014 문화관광부 지정 대한민국 우수공예품 선정 <백자모란문향합>
2014 경기정도 600년 달항아리 전(대한민국 경기도, 경기도자박물관)
2013 대한민국 현대도예 공모전 은상
2011 한국도자재단 전통도자 레지던시(대한민국 경기도, 한국도자재단)
2010 위안부 돕기 자선도자 전(대한민국 경기도, 나루아트센터)
2007 대한민국 공예품대전 국무총리상
- 진곡도예 : 황승욱 : 경북 청도군 금천면 소천신당길 42-17 / 010-6460-9812
- 진세라믹스 : 한라미 ;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국사봉로133번길 60-26 전화번호 : 010-3244-0345
- 진묵도예 : 김상곤 : 전북 무주군 무주읍 최북로 15 무주전통테마파크 진묵도예
- 진안요 : 송산 서선길 : 경북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637 / 054-572-0330
- 진주요 :연천(蓮泉) 洪性璇 홍성선
- 창무도예연구소 : 창무(蒼茂) 오재경(吳在璟) : 경기 여주시 강천면 강문로 181 / 031-885-7070
1961년 경기도 여주 출생
제물포고등학교(25회) 졸업
1981년 세종대학교
1985년 한국미술대전특선
1986년 백제미술대전대상
오재경 도예가는 1980년대 부터 여주 도예촌에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는 데, 그 처음에는 수묵산수화를 추상화적으로 이미지를 표현해서 작품을 만들었다. 산수화를 기하학적 문양으로 표현해서 그것을 자신의 작품에 그리는 방식이었다.
그러다가 구상한 것이 점묘기법을 통해 도예의 회화성을 극대화 하는 것이었다. 조각도로 그림의 주변을 쪼아서 점을 이어서 평면을 만들어
백그라운드를 표현하면 앞의 그림이 가장 잘표현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아주 세심한 작업으로 인내심이 없으면 불가능한 작업이다.
이런 제작법을 자신의 아호를 따 이름 붙인 ‘창무(蒼茂) 점묘기법’이라고 명명했다.
특별한 기법때문에 다른 일반도자와 차별화되기에 IMF때와 값싼 중국산이 밀려와도 견딜 수 있다고 한다.
- 채담요 : 최재욱: 경북 문경시 중앙7길 10- 5 / 010-4660-8379 (한도공)010-8643-8379
2002 원광대 도예과 졸업
2002~2008 문경 부광요와 전주 도화지도예문화원을 오가며 수련
2008 채담요 설립
2010 인사아트페어 참가
< 수 상 경 력 >
대한민국 공예대전
온고을 미술대전
사발 공모전
문경 찻사발공모전 입상
< 전 시 내 역 >
2014 다락으로의 초대(개인전)
2016 자연유 그릇전 개인전(아트스페이스 퀼리아-평창동)
평창동 이야기 기획전(아트스페이스 퀼리아)
2017 입고 담고 마시고 꾸미고-2인전(영주시민회관)
평창동 이야기 기획전(아트스페이스 퀼리아)
- 천토요(天土窯) : 천토 백도곡 : 경기도 고양시 내곡동58-3 분원 천토요
- 청강도예 : 청강 정화석 경기 여주시 여양로 399
- 청곡요(雲岩陶藝硏究所) 운암 조규진: 경남 김해시 진례면 진례로 307
- 청광도예 : 김외준 : 경북 경주시 남산2길 5
- 청광도예원: 김기찬 061-853-4125전남 보성군 보성읍 사동길 52-11
- 청구도예 : 청구 이종환 : 경기도 이천
- 청담도예 :청담5대 한기옥 : 경기 광주시 실촌면 곤지암2리 216
- 청룡도예 : 김영길 : 경기 여주시 여양로 452 / 031)885-5890/H/P 010-5265-1066 http://cafe.daum.net/chdragonk
아들:김광훈
- 청림도요 : 청전 김학재 :경북 문경시 산북면 성곡길 67- 6 / 010-4769-3399
대한민국 전통명장 (전예 제 50호 명 15호)
전통 도예 명장 (진사, 천목 부문)
중요무형문화재 105호사기장 : 백산 김정옥(전통 도자) 사사
< 수 상 경 력 >
한국을 빛낸 사람들 대상
한국 도자명인 대상
현대미술대전 특별상, 최우수상
< 전 시 내 역 >
중(북경)·한중일 초대작가전
벨기에(아트녹턴) 전시
울산 리 갤러리 초대전
창원 성산 문화회관 개인전
갤러리 공감 초대전
국회의장 초청 국회의원 회관 초대전
- 청마도예연구소 : 청마 유태근 : 경북 문경시 마성면 신현리
- 청봉도예 : 장기덕 : 경남 밀양시 단장면 표충로 186-31(1대 장창완, 2대:장영길) / 055-353-5592
- 청산도예 : 조명환 :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영지로 610 (외동읍): 010-4505-8610
- 청산요 : 김동욱 : 경북 문경시 문경읍 오서2길 62-33 054-552-6947 / 010-2742-6947
문경대학 도자기공예과 졸업
도천 천한봉 선생 배움
도천가회 회원
< 수 상 경 력 >
2010 정수미술대전 입선 외 다수
2013 문경전통찻사발공모전 입선
2013 대한민국공예대전 입선
2014 문경전통찻사발공모전 입선
대한민국 공예대전 입선
대한민국 공예대전 입선
2015 김해분청사기공모전 특선
2016 문경전통찻사발 공모대전 특선
김해찻사발 공모전 입선
남북코리아 국제미술전 특별상
< 전 시 내 역 >
중국 길림성 황 미술관 작품 영구전시
키르기스스탄 공화국 현대미술관 개인전
- 청석도예 : 정도현 : 경기 이천시 황무로 229-8
- 청심김영기 도화방: 청심 김영기
- 청암 :김이주(金二周)
- 청암요 : 장상철 : 울산 울주군 삼동면 금곡길 78 / 052-254-5997
- 청인도예: 김윤희 여주시 북내면 도예촌길 26-1 031-885-5810 / 010-3394-5810)
- 청진요 : 靑珍 양명환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산이리 76 전화번호 : 011-443-0465
- 청파요 : 청파 : 이은구 : 경기 이천시 경충대로2993번길 81
1943년, 충남 공주 출생
1976년, 청파요 설립
1981년, 미국 뉴욕한국문화원 개인전
1982년, 미국 LA 삼일당 개인전
1981년, 유해강. 이은구 2인전(일본 가고시마)
1983년, 오스트리아 빈 국립박물관 영구보존 전시
1986년, 제6회 개인전(롯데미술관)
1993년, 롯데화랑 개인전
1996년, 일본 오사카 긴테츠백화점 60주년 기념개인전
1997년, 대한민국 문화훈장 수훈
2005년, 국립공주대학교 객원교수
2005년, 이천문화원장 역임
2006년, 국민훈장 모란장 수훈
- 초석 권순형 :
1929년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난 초석 권순형 선생은 서울대학교에서 응용미술을 전공하고
1961년부터 동대학 도예전공 교수로 30년이 넘는 세월 재직하면서 실험적인 작품 활동과 후학 양성에 이바지하였다.
기본적으로 권순형 선생의 작품은 도자기 표면에 유약을 발라 그 유약이 녹는 것을 이용한 추상적 문양이 특징이다.
미리 유약을 발라 그것이 녹을 때 어떻게 될 것인지를 예측하고, 유약이 녹는 순간 가마의 불을 조절해녹는 정도를
조절하는 기법이다.
그래서 자신이 조절하기 쉽도록 유약의 융점과 점성을 조절한 것을 새로 만들어 사용했다는 생각이다.
권순형 선생은 예술가였다. 예술가라면 자기 분야에서 자기가 만든 새로운 기법으로 작품을 만들어 자신의 개성을
표현해야 진짜 예술가인 것이다.
그래서 그는 자신의 도자기를 만들기 위해 스스로 유약을 개발해서 썼고 또 그 유약이 녹는 점을 이용해서
도자에 그림을 그려 작품을 만들었다.
이처럼 초석 권순형 선생은 도자기에 유약으로 그린 추상작품을 담아냄으로써 현대 도예의 새로운 길을
개척한 1세대 원로 도예가이다.
- 초연도예 :
이정희: 대전 서구 복수북로 42 / 010-4014-7893- 취산요 : 차동기 : 울산 울주군 두동면 박제상로 281 / 052-268-3173
- 태성룡도방 : 태성룡 (구)청암요:
- 태광도예: 태광 박수재 경기 여주시 북내면 여강로 14
- 태산도요 김봉태: 경기 이천시 신둔면 황무로230번길 6-5
청담동 토마토 갤러리 토왈 회원전
엑스포 참여 작가 초대전 (대구푸른방송)
국보 보물 재현전 (명동롯데호텔, 잠실롯데호텔)
현재 태산도요 대표
- 태원도요 : 라용환 苔圓窯(태원요) 라용환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도지리 1-11 / 031-638-3780 010-8721-3761
-1963 장성출생
-1987 지당 박부원 선생 사사
-1995 대원요 설립
-1997올림픽 파크 호텔 전시
-1999 엑스포 도예전 입선
-2000 한국다기 명품전
-2001 삼도다완 전국 도예 작품전(일본)
-2003 경기도 공예품 대전 입선
-2006 문경 찻사발 공모전 특선
경기도 공예품 대전 대상
전국공예품대전 회장상
-2007 문경 찻사발 공모전 특선
- 토광도예 종산 故) 배종태 :김해시 진례면 진례로247번길 5-11 <배쌍용>
- 토광도예 토광(土光) 장동국 : 김제 벽골제 주변의 아리랑문학관 창작스튜디오 1층
- 토광요 : 김용희 : 경북 문경시 문경대로 2744 /054)571-1614.H.P 010-8572-6255
1964 대구 출생
1991 계명대학교 미술대학 산업미술학과 졸업
2001 세계도자기EXPO 참가(경기도 광주)
2003 문경전통찻사발축제 전통망댕이가마 축조
경기도 세계도자비엔날레 ‘전통가마 워크샵’ 참여
2004 흙빛도방 전통망댕이가마 축조
2008~2018 문경전통찻사발축제 참가
수상경력
1998 경상북도 공예품 경진대회 은상
2001 경상북도 공예품 경진대회 입선
구미시 시가지 벽화공모전 입선 및 가작
2005 문경찻사발축제 전국찻사발공모대전 다기부문 입선
2007 문경찻사발축제 전국찻사발공모대전 동상 및 입선
2010 문경찻사발축제 전국찻사발공모대전 입선
2013 문경찻사발축제 전국찻사발공모대전 입선
전시내역
1992~1998 계명도예가회전
1995 대구도예가회전
1997 아름다운 우리 향토전, 영남도예 100인 초대전
1998 경상북도 미술협회전, 경상북도 시마네현 미술교류전
2000 국그릇 밥그릇전, 계명공방도예가회전
2002 제1회 흙빛 김용희 생활도예전
2005 제2회 봉산문화거리 내 신미화랑 초대 개인전
2006~2014 춤추는 그릇전
2009 한·중 도자명인 100인전
2011 영남도예 300인전
2015 문경찻사발축제 춤추는 그릇전 VI(개인전)
2017 중국 곤명지묵 국제차우회 초대전
- 토곡요 : 토곡 이경효 : 경남 양산시 하북면 삼수리 115-3 / 055-382-8551
- 토람도예 김정호: 경기 안성시 금광면 한운길 347 / 070-7724-0309
- 토루 : 곽경태 郭庚泰
곽경태 郭庚泰 · Kwak Kyeong-tae ...
서울 산업대학교 도예학과졸업
서울 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도예전공 졸업
수상경력
2009 - 울산 국제 옹기공모전 “대상”
아름다운 우리도자전
토야 테이블 웨어전
작품소장
뉴칼레도니아 한국 문화원
영암 도기문화 박물관
홍콩 영사관
한국 전업도예가회, C·M 21회
서울 산업대학교, 공주대학교 강사역임
도예공방 토루 운영, Caramic shop&Cafe 운영
- 토리섬 Torisum 장성배 : 경기 이천시 신둔면 도자예술로6번길 73
장성배 도예가 이력
1993. 국민대학교 졸업
2005. 동 대학원 졸업
개인전
1999. 제1회 개인전(핸드 앤 마인드)
2001. 제2회 개인전(통인화랑)
단체전
1993. 생활도예 소품전(예맥화랑)
1995. 북악도예가 회전(경인미술관)
1996. 북악도예가 회전(경인미술관)
1997. 유명작가 초대전(부천LG백화점)
1998. 서울 오픈 아트페어(예술의 전당)
1999. 안산 미술 협회전
2000. 한˙일도예 페스티벌(일본도꼬나메)
2001. 상차림전(통인화랑)
2003. 전업도예가 협회전(인사아트)
2004. 접시표현전(토 아트)
2004. 전업도예가 협회전(몬티첼로)
2005. 새해, 소망 행복한 바자회 展
수상
1992. 산업미술가협회 공모전 입선.
1993. 산업미술가협회 공모전(일본 구주신공예 회장상)
1996. 소사벌 미술대전 특선
현재
한국미술협회, 북악도예가 회원
이천 도자기조합 이사, 한국 공예단체 총 연합회 이사
전업 도예가협회 이사, 토리섬 도예공방 운영
e-mail: torisum02@hanmail.net.
http://www.torisum.com
- 토림 : 양재순
- 토림요 ; 한대웅 : 울주 상북면 명촌리
- 토모 정철호 : 충북 청주시 흥덕구 사직동 220-8번지 / 010-4040-0414
- 토산방 : 도농 김영배 : 경기 여주시 북내면 상고1길 47 / 031)883 - 3744 /HP 010-3570-0396
- 토선도예(천마도예원) : 김영득 : 경북 경주시 하동공예촌길 29
- 토산요 : 안기모 : 부산 가락
- 토암도자기공원: 故)토암(土岩) 서타원(徐他元)[1946~2005]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로 107-27[대변리 521-1]
신라토기연구소(언양)->타원요
- 토야요 : 송승화 :경남 밀양시 초동면 금포길 244-8 / 010-4609-7660
- 토준도예 : 박성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삼덕1길 37 / 010-4593-9935
- 토지도예 김기종 : 충북 청원군 내수읍 형동리 455 011-465-8788
- 토향재 : 박상언 ; 경남 양산시 상북면 대석길 37 축사/ 055-374-6658
- 토화도예 이창수 : 031-632-8306경기 이천시 신둔면 도자예술로5번길 52
작가 블로그 http://blog.naver.com/tohwa8306
작가 홈페이지 http://www.이천도자기.net/
이창수 작가 이력
2013 한국도예고등학교 도자기술교사 위촉 , 전승도예협회회원 전승도예협회전
2012 한국도예고등학교 도자기술교사 위촉 전주전통공예전국대전[특선] /전승도예협회전
2011 한국도예고등학교 도자기술교사위촉 전승협회전, 경기도 기능대회[금상]
2010 인도네시아 문화교류전/교토 갤러리 감 초대전/전승협회전, 도쿄 신주쿠 한국문화원 초대전시회 .
2009 이천도자장인보존회 회원 전승협회 회원/문경 찻 사발전[입선]
2008 한국도예작가35인전 경기도자 장인협회전/김제 지평선 대전[특선], 백제문화재(전국백제토기 물레시연회), 제4회 도화지전통가마축제 워크샵/한중워크샵
2007 대한민국현대도예공모전[입상] 이천제일고교 지도교사[2007~2009] 청강대학 물레경연대회[특선]
제4회 세계도자비엔날레 물레경진대회 높이 넓게 만들기[입상]
제4회 세계도자비엔날레 물레경진대회 많이 만들기[은상]
1991 전시회 이천 풍물 이미지전, 도자연구개발[1991~2006]
1990 미술대전 제7회 경인미술대전[입상], 제26회 경기미술대전[입상], 제5회 한국문화예술종합대상전[특선]
1989 한국문화예술제 미술[입상]
1986 한국문화예술제 공예[입상]/미술[입상], 채묵을위한표현전 [1986~1991]
1985 도예입문
- 통도요 : 송암(松岩) 김진량
- 통한공방 이승희 : 충북 청원군 문의면 남계리 182-1 010-9426-0565
- 평강도요 함정구 : 경기 이천시 신둔면 도자예술로6번길 106 / 031-637-8860
- 평원요 : 도촌(陶忖) 박태춘 : 경북 문경시 문경읍 관음1길 10번지
출생 : 1954년 5월 2일, 부산광역시소속 : 평원요(대표)경력 : 2011.12 한국전통문화예술진흥협회 도자기 명장
2010 제1대 문경전통장작가마보존회 회장
2006.09 전국기능경기대회 도자기 심사위원
2004.09 전국기능경기대회 도자기 심사위원2010 제1대 문경전통장작가마보존회 회장
2011.12 한국전통문화예술진흥협회 도자기 명장
- 포암요 : 이동규 : 경북 문경시 문경읍 관음길 25-8 / 054-571-1640
1973 경북 문경 관음리 출생
1995 주흘요 입문
2002 포암요 설립
2014 도자기성형기법 특허출헌 (특허 제 10-1385188호)
< 수 상 경 력 >
2004 대한민국 현대미술대전 입선
2005 미술전람회 입선
2005 문경 전국찻사발공모대전 특선
2006 영남 미술대전 특선
문경새재 전국찻사발공모대전 대상
현) 포암요 운영
- 포일요 : 윤창민 :밀양
- 하빈요 : 이명균
- 하잠요 : 김경남 :
- 한국도요 : 동곡 김정묵 : 경기 이천시 신둔면 황무로 485 / 031-638-7037
- 한국청자 연구소(한청요) : 변산 위군섭 (邊山 韋君燮)
1911년 평안북도에서 출생한 한국 도예의 명장, 변산 위군섭 (邊山 韋君燮) 선생은 한국청자연구소를 설립하여
오늘날의 수많은 도예 명장들을 길러낸 근/현대 도예의 대부다.
한국 도예 1세대 작가로서 해강 유근형, 도암 지순탁, 호산 안동오 선생 등과 같은 시기에 왕성한 활동을 하셨으며,
고작 위광조(1936~) 선생의 선친이다.
고작古作 위광조韋光祚
- 한남세라믹 : 이용렬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가마을길 19 / 017-233-4163 주생산품 : 오카리나 악기
2015 1th 하늘소리 오카리나 이용렬 작가전
2013 특허등록 번호 10-1430812-0000
2005 디자인등록 30036990600
2004 하늘소리 오카리나 브랜드 탄생
2001 경기 세계도자기 엑스포 전 출품
1992 한남세라믹 창업 대표 이용렬
- 한도요 : 한도 서광수 무형문화재 사기장 41호 명장 14호 / 경기 이천시 신둔면 원적로133번길 161
- 한산도예연구소 : 한산 이상규
- 한석봉요 : 한도현 : 경기도 이천
- 한청도요 :한청 김복한 :경기 이천시 신둔면 경충대로3159번길 12-34 / 031-632-7117
2003년 이천 도자기명장
2004년 경기도 으뜸이
2012년 대한민국 명장 선정
- 항산도예연구소 : 항산恒山 임항택 : 경기 이천시 신둔면 황무로517번길 57 / 031-632-7173
<작가 약력>
2004년 도자기 공예부문
대한민국 명장 선정
'임항택 진사백자전'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동경갤러리 구보타 조선백자 진사전
한국,중국,일본,독일4개국 도자 비교전
(일본 아리따 박물관)
파리한국문화원 도자초대전
이천 세계 도자기 엑스포 초대 외 다수
경기도 이천에서 항산도예연구소 운영
- 해강요 : 해강: 유근형(1894 ~ 1993년) 인간문화재
2대 해강 유광열(柳光烈)
- 해너울공방 임병한 : 충북 충주시 엄정면 신만리 211-68 / 010-2034-4530
- 해동도요 : 해동 안창복 : 경기 여주시 여양로 240-15 / 031-885-3171
해동 안창복
1983년 경기도 민예품경진대회 입선
1985년 경기도 민예품경전대회 특선
1986년 한국전통공예대전 대상
1997년 경기도 민예품경진대회 장려상
1998년 경기도 민예품경진대회 특선
- 해림요 : 이춘규 : 이임준선생(1904~1968.인간문화재)의 아들 / 경기 이천시 신둔면 원적로 69-18 / 031-635-5478
- 해석요업 : 김창호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천진암로570번길 12-7 전화번호 : 010-3342-6532
2012 남이섬 아름다운 여름 도자전
2011 증국 즈브시 도자 박람회 전시
2007 광주 왕실 도예전
2005 세계도자기 비엔날레 참가
2003 다기공모전 특선
2001 세계 도자기 엑스포 참가
1998 통인화랑 도예전
1994 경기도 공예품대회 입상
1992 경기도 공예품대회 입선
1990 해석 도예연구소 설립
- 해암전통도예 : 해암海岩 조재호
- 해청도예 : 유광춘 경기 여주시 도예로 183 / 031-885-4802
- 해청요 : 정정묵(鄭正默)
- 해호전승도예 : 해호(海虎) 오대오(吳大吾) : 공예미학 박사 1세대 도예명장 한국 미 예술제 대상 수상과
각종 공모전 심사위원 역임등 1927년생
- 향산도예 고경옥 : 대구 달성군 화원읍 비슬로 1774-48
- 현공요 : 안성모 : 경남 양산시 하북면 삼덕로 190
- 현담요 : 김대웅 : 권기현
- 현암요 : 오순택 : 경북 문경시 문경읍 팔영리 산100 /경북 문경시 문경읍 팔령안길 52 / 010-7187-2740
< 전 시 내 역 >
2001 한·중 도예정품전(상해)
2004 흙에서 찾은 길(서울 덕원갤러리)
2006 대한민국 다기대전(한국공예관)
한국·대만 국제차호교류전(대구)
2007 세심재갤러리 초대전(제주도)
2008 정짜이완·오순택 다호 2인전(대만)
2009 한·중 도자명인 100인전(서울)
2010 인사 아트페어(토포하우스)
2012 미국NCECA 전시회 출품
2015 독일 keramikmuseum전시
- 현암요 : 현암 현무남
- 현운요 : 조태영 : (대한 명인 제 09-230호) : 충북 단양군 대강면 도락산로 187-4
- 현진도예 : 박광연 : 경기 여주시 대신면 여양로 914- 19 / 031)886-0897 / HP 010-5755-1764
- 호죽도방 : 이강효 : 충북 청원군 옥산면 호죽리 129
- 홍로요 : 신경애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문창리 녹동길 43
건국대학교 디자인조형대학 도자공예 졸업
2001 경북 공예품 경진대회 입상
2003 국제 차 문화대전 초대전시(서울코엑스)
2004 ‘빛깔있는 도예전’ 초대전시(예송갤러리)
2005 ‘불의춤’ 개인전(경인미술관)
2006 문경전통찻사발축제 공모전 입상
전국사발공모전 입상
2007 ‘문경도자기명품전’(세종문화회관)
전국사발공모전 입상
2008 문경전통찻사발축제 공모전 입상
한중도자교류전(서울인사동.중국이싱)
2009 ‘The Christmas전’
Hotel Valhalla Inn Thunder Bay(Canada)
2002 ~ 2009 문경전통찻사발축제 참여
2010 문경교육청 지혜간 세대나눔 도자강사
2011 現 홍로요 운영, 건국공예가회 회원
- 홍규전통도예연구소: 故)이홍규 : 인간문화재(고)이임준님 선생의 자제이자 해림 이춘구 선생님과 형제간
- 화개요 : 안상흡
- 화목토 도예연구소 동우東愚 박종환 항아姮娥 최선주 : 경기 이천시 신둔면 도자예술로6번길 82
東愚 박종환
화목토 도예연구소 대표
단국대학교 겸임교수
강동 미술협회 공예분과 회장
개인전
2003 화기전 (경기문화재단)
2012 박종환 도예전 (강동아트센터)
2003 도자기 기술과의 만남전 (예술의 전당)
2005 세계 도자 비엔날레 퍼포먼스 (이천)
2006-2014 火木土 회원전 개최 5회" 흙내음 불꽃소리”(강동 아트센터 외)
2007 국제 도자기 특별전 (한국 공예관)
2008 일본 동경 전시 (한국 문화원)
2011 차와 디자인전 (이천 세라믹스 창조센터)
2000 한국 예술 문화 협회전 - 특선
2000 UN 세계 평화 예술전 - 우수상
2008 전국 찻사발 공모대전 - 장려상
2010 전국 차도구 공모전 - 특선
명성 문화 선교학교 도예강사
이마트 문화센터 도예강사
1999 토원 화기전
- 환도예공방 : 배두환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삼합리 25-31 21/ 전화번호 : 010-2679-2671
1990 한도예공방설립
1998 서울산업대학교 도예학과 졸업
2015 現 광주왕실도예조합원
- 환요 : 전문환
- 황담요 : 김억주 : 한국도예명장(08-1호) 경북 문경시 마성면 신현리 506-1 / 054-572-1765 ,010-3533-1765
1992 전통도자기 황담요 설립
1994 한일교류도예전(일본시마네현)
1995 일본 NHK-TV 출연(아시아 골동품의 요람)
KBS, MBC-TV 황담요 방영
문경 전통 다완에 관한 연구 논문 발표(건국대 대학원)
1998 일본 오모도 센께이, 우라 센께이, 무자노 꼬지 센께이,
이에 모또 인증 싸인 획득
(정호다완, 도도야다완, 이라보다완, 오기다완)
2000 MBC-TV 황담요 전통 도자기제작 전과정 방영
2001 국립민속박물관 정호다완 영구 소장
“일본큐슈, 오사카, 나고야 차도구 순회전시”
2002 지역특화우수문화상품계영배춤품 (문화관광부장관상수상)
1992~2004 대한민국 공예대전외 20회 입상
2007 국립 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 신소재공학과 요업 실험 산학 교수
2008 한국전통장작가마(중국의 흥)
천년만에 역수출 MBC-TV 9시 뉴스데스크 보도
글로벌 한국도예 명장 선정 08-1호
2011 문경시 전통도자기협회 회장
문경시 도자기대사1호 선정
2013 문경 도자기협동조합 이사장
2017 문경도자기 명장 선정
문경시 시민문화대상 수상
2014~현재 문경전통찻사발축제 추진위원장
< 전 시 내 역 >
1994 일본 시마네현 유노스츠 도자교류전
1996 일본시마네현 아스끼시 8경제창 2주년기념 문화협회초대전
2001 일본 오사카 영사관 초대전
2005 대구 대백프라자갤러리 개인전 ‘삶의 질박함이 담긴 다완’
2007 서울 운현궁 초대전 (주최:에문관)
2007 대구 대백프라자갤러리 한중도자문화교류전
2009 서울 해밀튼호텔(장미홀) 초대전
글로벌 도예명장 선정 기념 김억주 도자 예술전
2010 서울 인사아트페어 초대전
2011 대구 대백프라자갤러리 김억주도자전
김이윤
- 황우요 : 신왕건 : 031-633-1599경기 이천시 모가면 공원로284번길
- 황제도예 : 이기호 : 경북 문경시 문경읍 상리2길 30-23/ 010-3533-76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졸업
관광 명품 인증 (130호, 345호)
공예 명품 인증 (KC-12-0015)
경일 대학교 겸임교수 역임
삼성현 미술대전 심사위원
한국미협 회원, 관광명품협회 회원
경북도예가회 회원, 한국공예학회 회원
< 전 시 내 역 >
개인/초대전 14회(대구, 서울)
단체전 150여회 출품
< 수 상 경 력 >
31회 경북 산업 디자인전 대상
32회 경북 공예품 경진대회 대상
42회,44회 경북 공예 대전 대상
10회 대구 관광 기념품 공모전 대상
18회 경북 관광 기념품 공모전 대상
- 황종례 도예연구소 : 黃鐘禮
* 1927년 개성 출생
* 1962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도예과 졸업
* 1965∼1966년 상명여자사범대학 미술교육과 조교수
* 1975∼1993년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공예미술학과 교수
* 1993∼현재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공예미술학과 명예교수
* 1972년 황종례 도예연구소 설립
- 회령도예 : 박종식(1947) :고양
1966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공예과 (도자기 전공) 졸업
1973 도자기 연구소 설립
1980 도자기 벽화연구원 미국 연수
1982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초대작가 출품
1983 프랑스 비엔날레 국제 도자기전 입선
1988 국민대학교 대학원 졸업
1997 한국도자기 30년 역사 초대 출품
주요 상훈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입선 7회 (68, 73, 74, 75, 77, 78, 79)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특선 2회 (80, 81)
현대미술 공예부문 초대전 출품 3회 (86, 88, 92)
신인예술상 입상 (68)
공간미술 도상전 1위 (68)
프랑스 비엔탈레 국제 도자기전 입선 (83)
하남미술대전 심사위원 (2002)
- 효석요 : 류대원 : 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 송정1길 26-31
- 효천요 : 권태현
1947년생
1983 효천요 설립
1985 제15회 전국공예품경진대회 장려상 수상
1987 경기도 도자부문 우수기능인 지정
2005 대한민국명장 선정(05- 18호)
2006 대한민국명장 박람회전
2007 한중일 도자교류전
2008 대한민국 도자전
- 효향요 : 이인수 : 경북 칠곡군 왜관
계명대학교 미술대학 산업미술학과 졸업
단체전
2016 봄갤러리 3인전(대구)
2013 다완사랑 작가전(갤러리오늘, 대구)
2012 분청전통과 현대의 만남(대구대학교 중앙박물관, 대구)
2011 전통도예작가전(대덕문화전당. 대구)
작품소장
조선관요 박물관(경기도 광주), 인도 뉴델리 국립공예 미술관
- 후의요 이경희 : 경북 문경시 문경읍 교촌탑골길 40- / 010-4339-2181
1997 서울산업대학교 도예학과 졸업
< 전 시 내 역 >
2002 해피 크리스마스 ‘2002 선물을 위한 소품전’(포스코갤러리)
문경요의 꿈-스승과 제자와의 만남전(예술의 전당)
2003 시월愛전(도예갤러리 몬티첼로)
2004 시월愛전(도예갤러리 몬티첼로)
2005 개인전 ‘반하다’(통인화랑)
2006 gori 2005 christmas story(나눔갤러리)
한·일 우호전(가나 아트스페이스)
2006 gori 불우환자돕기 ‘함께하는 마음전’(아산병원)
2007 도천 천한봉 도예 60년전(예술의 전당)
2007 gori ‘봄봄전’(성보갤러리)
2008 한·일 우호전(일본 시가라키 도성갤러리)
2010 한·일 우호전(가나 아트스페이스)
2016 East Meets West(미국 노스캐롤라이나 Campbell House Galleries)
- 흥국도예 우정 정구천 : 경기 여주시 북내면 신남1길 99-10
우정 정구천 1937 충북 영동 출생
1959 도예 입문
1980 전국민예품경진대회 입선
1981 경기도민예품경진대회 특선
1978 여주 흥국도예연구원 설립
- 흙마루도예공방 : 홍준기 : 경기 여주시 오금동 오금2길 109- 4 / 010- 4630- 5661
- 흙의 하늘 김향미: 충북 청원군 오창읍 석우리 석우길 33-2 / 011-466-3467
- 흙이야기 도예공방: 이치헌
- the SHED : 서병찬
- 2대토광도예: 배창진:진례면 고모로 324번길 103-94/010-7167-5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