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연스님의 재미있는 茶이야기](24) 차와 다식
싸늘한 바람이 매몰차게 흐르는 일지암에 한 통의 전화가 왔다.
아랫마을에서 아들과 함께 비닐하우스에 키위를 키우며 살아가고 있는 한 할머니로부터였다.
“시님 암자는 눈 피해 없능교. 우리는 올해 농사 다 망쳐부렀소. 이참에 열심히 허믄 농협 빛좀 갚을줄 알았는디.
하늘이 무심허게도 비닐하우스가 무너져부러갖고 키위가 다 얼어죽어부렀소.”
오로지 키위농사밖에 모르는 할머니다.
그 할머니는 새벽 5시에 일어나 저녁 7시까지 비닐하우스에서 살다시피 한다.
비닐하우스는 그 할머니에게 희망이요 부처였던 것이다.
그런 비닐하우스가 엄청난 폭설로 인해 폭삭 주저앉아버린 것이다.
깊은 산속은 아직 눈이 지천으로 쌓여 있다.
인적은 끊어지고 바위틈에 훈기를 내뿜으며 졸졸 흐르는 유천만 살아있는 듯하다.
자연을 벗삼아 삶을 일궈가는 것이 이곳 남도인들의 살림살이다.
그래서 남도인들의 살림살이는 늘 유연하고 부드럽다.
그리고 그곳에는 인간의 향기가 뿜어내는 인정이 있다.
그런데 미친듯이 쏟아낸 눈덩이들이 그들의 살림살이를 공포로 바꾸어버린 것이다.
삶의 근본은 의식주다. 그중 가장 기본은 식이다.
식은 과거처럼 단순한 먹을거리가 아닌 당시대의 삶을 영위해갈 수 있는 하나의 문화기준으로서
작용한 지 오래다.
현실은 아직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하지 못하고 있다. 그같은 우리의 현실에 대해 어떤 선사는 이렇게 말했다.
“여러분 지금 여러분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입니까. 묵은해 새해 그런 거 다 필요없습니다.
본래 있지 않은 것이 시간이요 우리의 몸뚱어리인 것입니다.
그러니 우리 묵은해니 새해니 가리지 말고 매일 매일 매시간 매시간 그자리에서 행복하게 일하며 사는 것이
제일 중요한 일입니다.”
새해가 밝았다. 올 한 해 산적한 우리의 살림살이는 또 어떤식으로 펼쳐질까 매우 궁금해진다.
그러나 가만히 되돌아보면 그 이전의 해도 작년도 삶을 운영하는 살림살이는 크게 달라져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단지 우리가 정해놓은 시간만 우리곁을 지났을 뿐인 것이다.
차 살림살이도 마찬가지다. 차인들의 살림살이 또한 매년 정해놓은 시간속에서 마치 쳇바퀴처럼 움직인다.
차인의 삶은 늘 자유롭고 풍성해야 한다.
차의 품성처럼 매일 매일 창조롭고 여유로운 살림살이를 통해 자신의 내면을 가꾸고 주변의 삶을 정화해내는
것이 매우 중요한 살림살이 중 하나다.
우리의 차 살림살이 중 빠지지 않는 것이 하나 있다. 바로 다식이다.
최근에 다식은 다담을 하는 곳에서 매우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되었다.
여러 사람들이 모인 찻자리에서 다식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다식의 근원에 대해 육당 최남선은 “다식은 다례의 제수요 다례는 지금처럼 면과로서 행하는 것이 아니라
본래는 점다를 하던 것인데 찻가루를 찻잔에 넣고 반죽하는 풍속이 차차 변하여 다른 식물질의 전분 등을
애초에 반죽하여 제수로 쓰고 그 명칭만은 원초의 잉전함이라는 말로서 수긍되는 말이다. ”라고 적고 있다.
조선때 대표적인 실학자인 이익은 그의 명저인 성호사설에서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다식은 아마 송조의 대소룡단이 변한 것이리라. 차는 본래 전탕을 하는 것이지만 가례에는 점다를 한다.
점다는 찻잔에 다말을 넣고 탕수를 부은 다음 다적으로 휘젓는 것이다.
지금 제사에 다식을 쓰는 것은 점다의 뜻이지만 그 명칭만 남고 실물은 바뀌어 버린 셈이나 사람들이 송홧가루
등으로 어조화엽과 모양을 만들어 쓰는 것은 곧 용단이 변한 것이라 볼 수 있다.”고 해 다식의 근원은 병다에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다식은 과거의 찻자리에서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식은 주로 차를 마실 때 초탕과 재탕 사이에 먹으면 가장 적절하다.
차의 고유한 맛과 다식의 맛도 함께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진한 다식은 차 고유의 맛을 훼손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신중한 선택을 해야 한다.
다식은 원재료의 고유한 맛과 꿀의 단맛이 잘 조화된 것이 특징이라면 특징이다.
또한 주재료에 따라 이름을 달리한다.
이를테면 소나무 가루의 고운 분말로 만들어내는 다식의 제일미로 치는 송화다식, 녹말다식, 흑임자다식 등
주재료에 따라 다식의 이름이 결정된다.
옛 문헌에서는 독특한 다식의 존재도 밝혀주고 있다.
전치 포육 광어 등 동물성 재료를 사용한 다식들이 등장하는 것이 그것이다.
전치 포육 등 동물성 다식들은 간장과 참기름을 넣고 꿀과 물엿으로 반죽해 만든 것이 특징이다.
당시 차는 일반 민중들보다는 지배엘리트층에 의해 발전해왔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매우 귀한 음식이었던
육류다식은 그 찻자리의 상하를 논할 수 있을 정도였다는 것을 일깨운다.
차를 대표적인 음료로 애용하는 한국 중국 일본의 다식은 각각 나라마다 특성있게 발전해왔다.
먼저 중국의 찻자리에서 볼 수 있는 다식들을 살펴보자. 중국의 찻자리에서 볼 수 있는 다식은 주로 견과류다.
땅콩 해바라기씨 호박씨 수박씨 등 견과류가 흔하다.
이에 비해 일본은 과자류 다식이 매우 발달했다. 일본의 어느 찻자리에서나 다식은 등장한다.
어떤 찻자리는 너무 단 과자를 내놓아 차맛을 버린 적이 있다고 말할 정도로 일본의 찻자리에서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고유한 다식이 꼭 등장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일본의 찻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과자류 다식은 무려 300여가지나 될 정도로 다양하다.
이에 비해 우리의 찻자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다식은 자연에서 채취한 곡류가 대부분이다.
밤가루 송홧가루 콩가루 녹말가루 참깨 콩 찹쌀 밀 등 곡식들을 빻아서 볶은 가루들을 꿀이나 조청 등으로
반죽해 무늬가 새겨진 다식판에 꾹꾹 눌러서 여러 가지 문양을 만들어낸다.
옛 기록에 의하면 송의 정위 채군모가 묘한 것을 생각해 내어 차떡을 만들어 조정에 바쳤는데 이것이 풍속이
되었다며 다식의 시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성호사설에서는 “다식은 송조의 대소용단이 변한 것이며, 국가의 제천에 쓰였는데 본래는 제사에 점다를 쓰던
것으로 시작된 것이다.”고 적고 있다.
삼국유사에서는 “삼국시대에 찻잎가루로 다식을 만들어 제사상에 올린 데서 시작되었다.
밀가루를 볶아서 꿀 기름 청주에 반죽하고 이것을 익힐 때 모래를 깐 기왓장에 담아 기왓장으로
뚜껑을 해서 익힌다. ”고 적고 있다.
이같은 사실을 돌아볼 때 다식은 채군모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우리도 삼국시대부터 아주 귀한 찻자리의
음식으로서뿐만 아니라 나라의 중요한 제사를 지낼 때도 사용되었던 고유의 음식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약용은 아언각비에서 “다식을 세상에서는 인단이라고 하는데 밤 참깨 송홧가루를 꿀과 반죽하여 다식판에
넣어 꽃잎 물고기 나비모양으로 박아낸 것이다.”며 현대에 들어 사용하고 있는 다식판의 문양들이 어디부터
유래했는지를 알게 한다.
우리의 다식은 매우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지혜로운 조상들의 삶이 풍요롭고 여유로웠음을 알게한다.
다식에 복을 기원하는 수·복·강·녕 같은 글자를 비롯하여 수레바퀴 당초 국화 꽃 등을 집어넣었을 뿐만 아니라
오행을 나타내는 오색다식을 썼다.
이것은 다식 하나에도 삶의 건강과 풍요를 기원할 뿐만 아니라 다식을 만드는 사람도, 먹는 사람도 함께 행복을
나누는 상생과 조화의 질서가 어디에 있는지를 알게 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흔히 만날 수 있는 다식의 종류를 살펴보자.
우리의 대표적인 다식은 쌀다식 밤다식 녹말다식 콩다식 승검초다식 생강다식 용안육다식 송화다식 등이 있다.
이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건강과 아름다움을 상징하며 찻자리의 품위를 높여주는 송화다식이다.
본초강목에서는 “송화는 맛이 달고 온하며 독이 없다.
심장과 폐를 부드럽게 하고 기운을 늘려주며 풍을 제거하고 지혈을 시킨다.
또한 송홧가루는 공기주머니가 두개가 있어 산소공급의 효과가 매우 커서 다쳐서 피가 나거나 화상을
입었을 때 그 가루를 바르면 지혈효과가 있다.”고 적고 있다.
오월초순부터 피기 시작하는 솔꽃을 받아 꿀에 반죽해 다식판에 찍어낸 송화다식은 궁중의 잔칫상에는
필수음식으로 올랐을 뿐만 아니라 민가의 제사상에도 빠지지 않았다고 한다.
송화다식은 다식판을 특히 깨끗하게 하여 노란색이 곱게 되도록 해야 예쁜색의 다식을 만들 수 있다.
이밖에도 쌀로 밥을 지어 말린 후 노릇하게 볶아 곱게 빻아서 체로 쳐서 여기에다 꿀과 소금을 넣고
잘 반죽한 쌀다식, 밤을 삶아 속껍질까지 벗긴 다음 곱게 찧어서 체로 치고 여기에 계핏가루 유자청 꿀을 섞어
반죽한 밤다식, 짙은색의 오미자 물을 만들어 준비해둔 녹말가루에 오미자 물과 꿀을 석고 잘 반죽한 녹말다식
등도 찻자리를 풍성하게 하는 우리의 대표적인 다식들이다.
다식과 어울리는 차들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무조건적으로 아무 찻자리나 다식을 내놓는 것은 큰 결례일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백차와 어울리는 다식으로는 맛이 강하지 않은 과일로 만든 푸딩종류가 잘 어울린다.
백차의 담백한 맛과 푸딩의 싱그러움이 절묘하게 조화되기 때문이다.
우리의 대표적인 차인 녹차를 마실 때에는 송화다식 깨다식 콩다식 등이, 황차에는 땅콩이나 호박씨 깨로 만든
강정이 잘 어울린다. 청차 우롱차에는 콩다식과 양갱 등이, 홍차에는 달콤한 쿠키나 케이크가, 흑차에는 육포나
과일 등으로 만든 전과류나 떡 과일의 씨앗 등을 곁들이면 차맛이 훨씬 더 향긋하게 느껴진다.
다식은 찻자리를 풍요롭게 한다. 차는 근본적으로 나눔과 편안함을 던져준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매일 매일 스트레스에 쫓기며 사는 현대인들은 찻자리에서 자신의 영혼을 쉬게 해줄 줄 알아야 한다.
부글부글 끓는 찻물소리 그리고 푸른 망망대해 같은 푸른 찻물, 내 코를 지나 내 영혼마저 감싸안는 싱그러운
차향을 통해 지쳐버린 심신을 놓아버려야 한다.
그리고 그 각박함을 채워주는 다식 한 조각은 또 얼마나 나를 풍요롭게 하는지를 알아야 한다.
차 한잔의 미학은 온 우주의 주인으로 나를 탈바꿈시킬 수 있는 마력이 깃들어 있다는 것을 차를 마시는
이들은 알아야 한다.
그 마력 속에는 오늘을 살아가는 자신의 삶의 건강성이 담보되어 있다는 것 또한 알아야 한다.
- 일지암 암주
■ 다채로운 문양 찍어내는 다식판
얼마전 광주에 있는 한 찻자리에 참석했다. 겨울인지라 따뜻한 병차가 준비되어 나왔다.
정갈한 찻자리에 다소곳하게 놓여있는 것은 빨강 파랑 노랑의 송화다식이었다.
늦봄과 초여름에 청결한 산을 찾아 송홧가루를 모으는 일은 마치 개미가 자신의 식량을 저장창고로 나르는 것
같은 고된 노동을 하는 것과 같다.
그 찻자리의 주인은 그런 소중한 송화다식을 10명 정도 되는 차인들에게 나누어준 것이다.
그 찻자리 주인의 정성과 깊은 마음도 함께 느낄 수 있었다.
찻자리를 만드는 차인들에게 다식을 준비하는 것은 매우 많은 시간과 정열을 필요로 한다.
그 다식들을 아름답게 하는 것이 바로 다식판이다.
그러나 그 다식판을 많은 사람들은 떡판으로 오해하고 있기도 하다.
다식판은 길쭉하고 단단한 나무조각의 위아래에 다식모양을 파낸 것과 한조각에 구멍을 파낸 것도 있으며
각재에 원형 화형 물고기 등을 음각으로 파낸 하나의 판으로 된 것도 있다.
다식판은 양각판 돌출부에 음각된 전통건축이나 한복에 쓰이는 무늬와 비슷한 복을 기원하는 수복강녕 같은
글자를 비롯하여 수레바퀴 당초 국화 꽃 완자무늬 연꽃무늬 물고기 문양 등 그 조각의 모양이 매우
정교하고 아름답다.
옛날에는 그 무늬만 봐도 누구의 집에서 만든 다식인 줄 알만큼 중요한 것 중 하나였다.
다식판은 대를 물려 사용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빌려주지 않는 풍습이 있다고 한다.
다식판의 존재는 차 문화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찻자리가 단순히 차를 음용하는 수준을 넘어 인격과 인격이 만나 향기를 나누는 소중한
자리인 것이라는 점이다.
손수 차를 끓이고 그 차를 마시며 다식을 먹는 것은 긴 시간동안 차를 통해 자신의 내면을 가라앉히고
마주한 손님과 삶의 지혜를 나누는 교감의 자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우리들은 그 다식들이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를 잘 모른다.
진정한 차인이라면, 또한 차와 함께 다식을 즐길 수 있는 차인이라면 다식을 만들어낸 그 찻자리의 주인에게
매우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감사하는 마음이란 그 찻자리에 대한 공경과 하심하는 마음자리를 그대로 내보여주는 것에 다름아니다.
그것이 차와 다식이 주는 또다른 미학이 아닐까 한다.
'"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연스님의 재미있는 茶이야기](25) 미국·유럽으로 간 차 (0) | 2020.04.06 |
---|---|
日人들의 이도차완 사랑 (0) | 2020.04.05 |
[여연스님의 재미있는 茶이야기](23)한국 차문화의 다양성 (0) | 2020.04.04 |
[여연스님의 재미있는 茶이야기] <22> 차만들기와 다도 (0) | 2020.04.03 |
[여연스님의 재미있는 茶이야기] <21> 차를 알 수 있는 책들 (0) | 2020.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