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하락과 침체 - DS투자 - 2023.04.14
물가하락의 양면성
3월 물가지수에 대한 반응은 5%라는 숫자에 대해 아직 높다는 시각과 침체 시작이라는 시각이 교차하고 있다.
2분기는 물가지표의 기저효과가 강하게 반영되는 구간으로 물가하락이 크게 의미가 없을 수도 있다.
그래서인지 물가가 내려오니 침체에 대한 우려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침체 시기를 가늠하기 어렵지만 올해 내내 논란이 될 것이다.
다만 경기 사이클이 미국과 다른 지역이 교차하고 있어 침체 영향이 상쇄될 가능성도 있다.
시장은 물가하락의 양면성을 그대로 반영해가고 있다.
한쪽으로는 기대를 반영하는 반도체, 자동차 등의 대응이 나타나고 있고 다른 한쪽으로는 헬스케어,
음식료 같은 방어적 업종으로 대응이 나타나고 있다.
공통적인 부분은 과도했던 종목 움직임에 반 작용이 나타났다는 점일 것이다.
급속한 경기침체가 아니라면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흐름을 이어갈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보면 대형주/코스피가 상대적으로 나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주식시장 투자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 증시 정체 Vs. KOSPI 레벨업. 누구를 따라갈까? (0) | 2023.04.17 |
---|---|
"연준 5월 인상 끝 아닐수도"…기대인플레 공포 (2) | 2023.04.15 |
기술적 저항 돌파의 기로 - 상승기 주도주 분석 (1) | 2023.04.14 |
이익이 턴어라운드 한다면? 이익 ‘성장’ 지표에 주목 (0) | 2023.04.13 |
미국, 디펜시브로의 변곡점? (0) | 2023.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