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정밀기기

셀루메드 049180

썬필이 2017. 11. 7. 18:14

http://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04918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셀루메드(A049180) | Snapshot | 기업정보 | Company Guide

셀루메드 049180 | <!-- CELLUMED | --> 홈페이지 홈페이지http://www.cellumed.co.kr 전화번호 전화번호02-2104-0475 | IR 담당자 02-2104-0475 주소 주소서울시 금천구 디지털로 130, 402호(가산동, 에이스테크노타워9차

comp.fnguide.com

-  지난해 적자지속에 하락 1,615원(-3.00%) - 2024.03.15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55.52억원(전년대비 -21.73%), 
  영업손실 104.57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375.92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 현대차, 교체형 배터리 사업 추진 소식 속 관련 사업 추진 사실 부각에 상승 
  4,040원(+5.90%) - 2023.09.08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이 배터리를 탈부착할 수 있는 전기차 배터리 교체 
  시스템 개발을 추진하는 것으로 전해짐. 전기차 배터리 교체 시스템은 완충까지 아무리 빨라도 
  20~30분이나 걸리는 기존 유선충전 시간을 1~2분으로 확 줄일 수 있어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주목받는 기술로, 현대차그룹은 배터리 리스운영을 통한 전기차 판매가격 인하와 안정적인 
  수익원 확보 등을 노리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교체형 배터리시스템 사업화를 위한 직원 채용을 진행하고 
  있으며, 전기차(EV)의 교체형 배터리 시스템 관련 실증사업(Proof of Concept) 운영 및 사업화 
  방안을 수립하고 교체형 시스템을 활용해 EV 신사업 기회를 발굴하는 직무로 알려졌음.
  ▷이 같은 소식에 2차전지 교체형 배터리팩의 자체 양산 및 유통, 국가 표준형 배터리팩이 
  적용된 전기이륜차의 생산 및 판매, 다양한 표준형 배터리팩 호환이 가능한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BSS)’ 사업 등을 추진중인 동사가 금일 시장에서 부각.  
- 정부 우수기업연구소 육성사업 선정 소식에 상승 4,320원(+3.23%) - 2023.06.14
  ▷동사는 언론을 통해 산업통상자원부(산자부)가 시행하는 ‘2023년 우수기업연구소 육성사업
  (ATC+)’의 주관기업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밝힘. 이번 국책사업 선정으로 동사는 향후 4년 동안 
  19억원 규모의 연구비를 정부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게 됐으며, 정부 지원을 받아 골형성단백질
  (BMP2)의 생산 수율을 기존 대비 5배 이상 향상시키는 공정 개발뿐 아니라 BMP2를 활용한 
  골이식용 복합소재 개발을 추진 예정임. 
- BYD, 전기차 판매 고속 성장 속 전기이륜차·교체형 배터리팩 제품 개발·독점 공급 계약 체결 
  부각에 상승 5,220원 (+5.67%) - 2023.05.03
  ▷상하이 증권보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중국 전기차 선두 업체 BYD의 4월 신에너지차
  (전기차·하이브리드차·수소차) 판매량이 21만295만대로, 전년동월대비 98.3% 증가한 것. 
  이에 따라 BYD의 올해 1∼4월 누적 판매량은 76만2,400대를 기록했음.
  ▷이에 BYD와 전기이륜차·교체형 배터리팩의 제품 개발·독점 공급 본계약을 체결하고, 
  글로벌 독점판매를 위한 준비에 착수한 바 있는 동사가 금일 시장에서 부각.
- 2차전지 신사업 등 사업다각화를 위한 자금 조달 최종 조율 소식  상승 
  5,540원 (+3.17%) - 2023.03.28
  ▷언론을 통해 2차전지 신사업 등 사업다각화를 위한 자금 조달을 최종 조율 중이라고 밝힘. 
  여러 투자자들 가운데 현 시점에서 가장 적절한 조건을 제시하는 기관으로부터 50억원 규모의 
  1차 투자를 유치할 계획이며, 동사는 향후 사업 진행에 따라 1~2차례 추가적인 자금 조달을 
  추진한다는 방침.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투자 유치 과정에서 국내 굴지의 증권사 및 자산운용사 등 
  여러 기관투자자들을 만났다"며 "대부분의 기관들이 투자환경이 매우 어려운 시점이지만 
  추진 중인 2차전지 교체형 배터리 플랫폼 신사업 등 사업다각화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고 밝힘.
- 2차전지·AI 기반 의료용 로봇 전문가 영입 소식 등에 상승 5,120원 (+4.49%) - 2023.03.15
  ▷동사는 전일 주주총회소집결의 공시를 통해 2차전지 신사업과 인공지능(AI) 기반 수술로봇 
  분야 진출을 가속화하기 위해 외부 전문가인 이병길 사내이사와 노두현 사외이사를 
  영입했다고 밝힘. 이병길 사내이사 후보자는 중국, 홍콩 등 수년간 통신 및 전자분야 글로벌 
  기업에서 경영자로 근무했으며, 노두현 사외이사 후보자는 서울대병원 정형외과 교수로, 
  서울대 의과대학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은 인재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의 관계자는 "2차전지와 AI 기반 수술로봇 분야는 성장성이 클 뿐 아니라 
  진입장벽 또한 매우 높다"라며 "이번에 영입한 두 사람은 해박한 전문지식과 탄탄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회사가 추진 중인 미래 전략사업과 비전을 실현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힘.
- 2차전지 교체형 배터리 플랫폼 신사업 순항 소식에 상승 5,050원(+5.10%) - 2023.03.02
  ▷동사는 언론을 통해 신성장 동력으로 추진 중인 2차전지 교체형 배터리 및 전기이륜차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힘. 특히, 연내 2차전지 관련 사업의 기틀을 마련하고 
  내년부터 본격적인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아울러 신사업에 대한 기대감으로 최근 대다수 전환사채(CB) 채권자들이 전환청구권을 
  행사해 장기투자자로 전환됐다며, 이는 외부의 투자자들이 2차전지 교체형 배터리 플랫폼 
  사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고, 신사업의 높은 미래가치가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
  ▷ 관계자는 “올해 1월 글로벌 기업 ‘BYD(비야디)’와 교체형 2차전지 및 전기이륜차 사업을 위한 
  MOU를 체결한 후 세부적인 배터리스펙과 시장확대 방안 등을 긴밀하게 조율 중”이라며, 
  “조만간 시장에서 기대하고 있는 본계약 소식을 비롯해 2차전지 교체형 배터리 플랫폼에 대한 
  정부승인과 배터리 양산에 이르는 향후 계획들이 신속하게 추진될 것”이라고 밝힘. 
- 국내 전기이륜차 시장 확대 및 BYD, 전기이륜차 모델 국내 승인 기대감 등에 상승 
  5,740원(+3.61%) - 2023.02.20
  ▷ 언론에 따르면, 모빌리티 산업의 전동화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전기이륜차 시장이 
  또 하나의 틈새 모빌리티 신사업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한국스마트이모빌리티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전기 이륜차 시장 규모는 약 7,400억원, 
  운영 대수 100만 대를 돌파했으며, 친환경 전동화 추세에 따라 글로벌 전기이륜차 시장 2027년 
  규모가 1조원 규모로 확대되고, 약 600만 대 이상의 전기이륜차가 보급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음.
  ▷또한, 정부도 전기이륜차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동사가 최근 한국에 들여온 BYD의 
  전기이륜차 '네르바(NERVA EXE)' 모델에 대한 정부 승인을 추진중인 점이 부각되는 모습.
  ▷한편, 동사는 올해 초 글로벌 전기차 1위 기업인 BYD와 전기이륜차·교체형 2차전지 배터리 
  관련 업무협약(MOU)을 맺은 바 있음.
- 교체형 2차전지시장 진출 기대감 등에 상승 5,410원(+3.05%) - 2023.02.14
  ▷강용주 동사 부사장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신사업인 교체형 2차전지 시장 진출과 관련해
  “글로벌 전기차 1위 업체인 중국 BYD(비야디)와의 독점 계약으로 우선 국내 137만 
  배달라이더의  교체형 배터리 전기이륜차 수요를 선점할 계획"이라고 밝힘. 
  ▷ “지난해 국내 전기 이륜차 판매량은 2만2,000대 수준으로 아직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리지 
  않은 상황”이라며, “올해 하반기부터 양산에 돌입하면 올해는 매출 10억원 규모로 시작하고 
  내년 50억~80억원, 2025년 3,000억원 수준으로 매출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힘.  
  “국내 전기이륜차 시장을 선점한 후 ‘메이드인코리아’ 제품으로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 
  시장도 공략할 계획” “물류, 도심항공교통(UAM), 자율주행 선박 등의 다른 모빌리티 시장으로도 
  영역을 확장할 것”이라고 언급. 
- mRNA 생산효소 개발을 위한 독일 아르떼社 실사 완료 소식에 급등 
  7,900원 (+13.83%) - 2021.12.16
  ▷동사는 언론을 통해 독일 랑겐펠트에 위치한 아르떼(ARTES)사를 방문해 mRNA 생산 효소 
  개발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세포주 개발 및 생산공정개발 등 전체적인 일정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고 밝힘. 더불어 위탁생산(CMO)를 위해 함부르크에 위치한 리히터 헴 바이오로직스
  (RHB)도 방문해 생산세포주 제조, EU-GMP/ cGMP(우수 의약품제조품질 기준)급 품질관리 
  개발 일정 관련 협의도 진행했다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만큼 
  동사는 mRNA 기반 소부장기업으로서 생산효소 개발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며, 
  “아르떼사와 지속적으로 협력을 통해 mRNA 백신,  치료제 생산효소 개발기간 단축 및 조기 
  생산에 속도를 낼 계획”이라고 밝힘.
- 골이식재 미국 FDA 승인에 상한가 14,950원 (+30.00%) - 2018.04.12
  ▷동사는 골이식재 Rafugen DBM을 미국 식품의약청(FDA)로부터 승인 받았다고 공시.
  이를 통해 전세계 근골격계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했다고 밝힘.
- 줄기세포 치료제 BMP4 복합체 생산 확대 소식에 상한가 12,400원(+29.84%) - 2017.11.16
  ▷동사는 언론을 통해 줄기세포치료제인 BMP4 복합체 생산을 통해 관련 제품을 
  확대하겠다고 밝힘.
  ▷회사 관계자는 현재 BMP4 단백질을 의약품급 수준으로 생산하기 위해 진행중이며, 피부, 
  인대, 뼈 등 다양한 조직의 치료제품으로 생산하고 향후 임상시험을 거쳐 상용화가 이루어 
  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 라퓨젠 美 FDA 승인심사 준비 소식에 강세 9,700원(+8.02%) - 2017.11.09
  ▷동사는 골이식재 '라퓨젠 DBM'의 동물 유효성 실험을 마치고 美 식품의약품안전청(FDA)의 
  승인심사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힘.
  '라퓨젠 DBM'은 탈회골기질인 DBM내 내재돼 있는 천연의 골형성 단백질을 주원료로 한 
  제품으로 기존 골이식재  대비 높은 골 형성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는 “지난해부터 '라퓨젠 DBM'의 美 FDA 승인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며, 
  향후 자회사 엔도텍을 통해  5,000억원 규모의 미국 시장 진출과 남미 등 글로벌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밝힘.
- 필러용 고분자 복합체 관련 특허 취득에 상한가 9,320원(↑29.99%) - 2017.11.07
  ▷동사는 콜라겐 및 디알데히드전분을 포함하는 필러용 고분자 복합체 관련 특허를 
  취득했다고 공시. 이번 기술은 디알데히드 전분, 콜라겐 및 헤파린을 포함하는 생체적합성 
  필러용 고분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필러에 관한 것으로, 앞으로 
  출시하고자 하는 제품 개발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힘.

'의료정밀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디텍메드 206640  (0) 2017.11.12
얼라인드(238120)---->로고스바이오  (0) 2017.11.12
휴비츠 065510  (0) 2017.11.04
인터로조 119610  (0) 2017.11.04
인바디 041830  (0) 2017.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