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예가

지당 志堂 박부원 朴富元 - 陶元窯

썬필이 2018. 12. 20. 14:28

지당 志堂  박부원 朴富元
1938 11월 12일 출생
1962 도암 지순탁 선생 도예 입문
1974 陶元窯 설립 1976 한국 도예5인전 매일신문사후원 오사카 긴키백화점초대전 (日本)
1978 북큐슈시 제15주년 기념 한국도자기 초대전 (日本)
1978 동경 韓.日 茶道회 초대전 (日本)
1980 동경 긴쟈마쯔자카야백화점화랑 초대개인전
1981 동경 긴쟈마쯔자카야백화점화랑 초대개인전 (日本)
1982 ‘분청사기’ 개인전 (세종문화회관)
1982 도쿠시마시 후원회 초대전 (日本)
1984 동경 긴쟈마쯔자카야백화점화랑 초대개인전 (日本)
1987 지당 박부원 개인전 (롯데화랑)
1987 동경 긴쟈마쯔자카야백화점화랑 초대 개인전 (日本)
1988 오사카 한큐 GRAND B/D 개인新作전 (日本)
1992 EBS (교육방송국) ‘전통문화를 찾아서’ (분청사기편 특별프로제작)
1999 시애틀박물관 및 아시안박물관 한국전통도자기 초청강연 (美國)
2000 왕실도자기협회 초대 회장
2001 세계도자기엑스포 추진위원
2008 광주왕실 도자기 초대명장
2008 박부원 古稀기념전 (이천세계도자센터 제4전시실))
2010 名人名品 36선 ‘ 한국의 미 ’ (이천세계도자센터 제1전시실)
2011 경기근대도자 100년의 기록 (경기도자박물관 1층 기획전시실)
2012 왕실 도자500년, 50년의 셀레임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4전시관)
2013 지당 박부원 특별기획초대전 ‘ 불에서 태어나 보석’ (밀알 미술관)
2014 지당 박부원 전주대학교 개교50주년 특별초대전 ‘흙, 불과의 인생’ (전주대학교)
現 한국사발학회 사발공모전 심사위원/한국 차인연합회 심사위원
광주 백자 공모전 심사위원/광주 왕실 명장 심사위원
한국도자재단 이사 
박물관 소장품 목록 :  스미소니언 박물관 (미국) 상트페테르부르그시 민속박물관 (러시아) 
                                  국립민속박물관(한국) 이천 세계도자센터(한국), 경기도 도자박물관(한국) 
                                  빅토리아 & 앨버트박물관(영국)

박부원 선생은 1960년대 전승도자의 길을 걷기 시작해 오늘날까지 한국전통전승도자계의 
원로로서 한국도자의 정신을 계승하며 새로운 전통을 개척해왔다.
지당 박부원 선생은 70년대 도원요를 설립한 이후, 일본과 한국, 미국을 무대로 다수의 
전시회를 개최하는 등 활발한 작품활동을 통해 한국전통도자의 아름다움을 알려왔다.
박부원 선생의 대표작인 현대화된 백자는 청아하고 소박한 풍류 한 자락을 현대인의 
일상공간에 전해준다.
조선시대 소박하고 청빈한 풍류의 정수로 사랑 받아왔던 백자는 정신성이 무엇보다 잘 
드러나는 작품분야라고 할 수 있다.
선생의 백자 달항아리의 순한 빛과 절제된 형태는 한국 자연의 산세처럼 과함이 없으면서도 
그것이 놓인 공간에 중심을 잡아주는 힘을 가지고 있다.
분청사기 또한 넉넉한 형태에 시원스럽게 지나간 귀얄은 새벽 마당에 첫 싸리비질처럼 땅의 
청명한 기운과 인간의 바른 조화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그의 정신이 그대로 묻어나는 다구 등 소품은 각계각층의 애호가들의 일상에 
또 다른 기쁨을 선사하기도 한다.
이처럼 한국의 미와 전통적인 기법에 대한 오랜 연구를 바탕으로 한 그의 작품은 감상과 
일상의 쓰임이라는 공예의 본분을 다하고 있기도 한다.

****************************************************************************

작품보기

주동채이귀편병_28.1x24cmx36.4cm
분청조각문이귀호_32.8 * 24.8 * 22.7cm
귀얄분청인화문찻사발 입전 13.8 높이 7.3 굽지름 5.2cm(출처 차와사람)
이라보찻사발 입전 14.1 높이 6.2 굽지름 4.9cm(출처 차와사람)
분청통형다완 입지름 12.8 높이 8.8cm
분청조화암각화문호
백자호
분청자인화문소구호
백자 달항아리 H40.6cm W42.5cm
찻잔 입전 6.7 높이:4.4 굽:3.6 무게:72g
분청인화문찻사발 입전 14.3 높이 6.4 굽 4.3cm(출처 차와사람)
인화문분청찻사발 입전 13.6 높이 6.1 굽지름 4.8cm(출처 차와사람)
찻잔 입전:6.2 높이:4.0 굽:3.0 cm
시대찻사발 입전 13.9 높이 7.5 굽지름 5.0cm(출처 차와사람)
이도다완 입전: 14.3 높이:8.6cm
웅천다완 입전 13.7 높이 8.8 굽지름 5.9cm
귀얄분청찻사발 입전 13.7 높이 6.5 굽지름 4.7cm(출처 차와사람)
귀얄다완 입전 13.6 높이 6.7 굽지음 4.9cm
다지 지름 25.0 높이 5.0cm
웅천다완 입전 12.3 높이 7.2 굽지름 5.0cm
찻사발 입전:14.7 높이:9.6 굽:6.0cm 무게:420g
입학찻사발 입전 10.5 높이 8.4 굽지름 5.5cm(출처 차와사람)
두두옥찻사발 입전 14.5 높이 7.8 굽지름 5.3cm(출처 차와사람)
시유다관 100cc
이라보다완 입지름 14.1 높이 6.2cm
90cc
귀얄분청 찻사발 입전 14.5 높이 6.9 굽지름 4.8cm(출처 차와사람)
분청오리연화문호 높이 21.0 지름 27.0 입지름 15.0 굽지름 13.0cm
청동채 요변 달항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