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자기 이야기

백자 유개호 白磁 有蓋壺

썬필이 2019. 8. 23. 10:26

백자 유개호 白磁 有蓋壺 16세기 높이26cm :

2015년 5월31일 서울옥션 제15회 홍콩경매 낙찰가 260만 홍콩달러(약3억8천만원)

순백의 몸체에 살짝 물레 흔적이 보이는 백자 항아리입니다.

하부에서 어깨로 올라가는 선은 듬직하면서도 당당한 느낌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 위에 큰 뚜껑이 덮였습니다.

도자기도 주로 음식을 담아 쓰는 용도인 이상 마개나 뚜껑이 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짝을 갖춰 전해지는 것은 극히 드문 실정입니다. 
우선 그 점이 눈길을 끌며 그 위에 잘 빗은 연봉 모양의 꼭지가 달렸습니다.

연봉의 품위도 그렇지만 밋밋한 가운데 살짝 격차가 있는 단을 두어 표나게 보이지 않은 속에서도

격을 높였습니다.
도자기 감상의 3대 포인트는 흔히 형태, 색, 문양이라고 합니다. 백자의 경우 당연히 문양은 거론할게 없습니다.

남은 것은 형태와 색인데 이 형태와 색은 문양과 달리 그 탁월함이나 뛰어남이 쉽게 눈에

들어오는 것은 아닙니다.

머릿속에 어느 정도 비교 대상의 자료가 있어야 비로소 한 마디 하게 것입니다.
전문가 이 선생의 말에 의하면 이렇게 부드러운 색을 보이는 백자는 경기도 광주의 번천리  일대에서 만들어진

백자의 특징이라고 합니다.

시대는 16세기후반에서 17세기 전반. 이때만 해도 아직 분원이 고정돼 있지 않고 여기저기 2,30년 단위로 옮겨

다니던 시절입니다.
용도는 제기입니다.

제기는 중국이 그렇듯이 오래 전부터 금속기가 쓰였습니다.

아마 귀족사회였던 고려에서는 금은기를 썼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고려의 유습을 그대로 물려받은 조선 초에도 이를 썼던 것 같습니다.

초기의 실록을 보면 ‘금은기의 사용을 줄이고 대신 황동이나 사기를 쓰도록 하자’는 내용이 보입니다.
이는 다른 얘기지만 금은기를 쓰다 중국 사신이 보고 진상을 요구하면 곤란하지 않겠느냐는 게 이유였습니다.

황동 즉 놋쇠 제기는 아주 친숙합니다만 이 역시 부족한 동 때문에 일본의 동을 수입해 쓰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이런 사정이면 백제가 제기로 정착한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해야 할 것입니다.

이 백자 항아리는 보이고 있는 높은 제조 솜씨와 풍기는 품격으로 보아 왕실 제사용으로 쓰인 것으로 여겨집니다.
물론 전하는 것은 거의 없습니다. 출토품이 대부분입니다. 왕실제례용 백자가 부장품이 되는 사정에 대해서는

그 이유가 분명치 않습니다.

그렇지만 시장 사정을 들어보면 도자기 붐이 있었던 70, 80년에는 크고 작은 여러 종류의 제기용 백자항아리가

출토돼 돌아 다녔다고 전합니다.

그런 가운데에도 이렇게 큰 형태에 좋은 색 그리고 완벽한 형태를 갖춘 백자 항아리는 비교적 출토품이 흔하던

시절일망정 쉽게 볼 수 있는 물건은 결코 아니라는 것이 이선생의 지적입니다. - 스마트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