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예가

이종수 - 도예과교수

썬필이 2019. 9. 19. 10:37

이종수 -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도예과 교수
1942 - 1948 대전신흥국민학교
1948 - 1951 대전공업중학교 건축과
1951 - 1954 대전공업고등학교 건축과
1954 - 1963 서울대학교 응용미술과 졸업
경력
1976 - 1979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도예과 교수
1965 - 1975 대전실업대학 생활미술과 주임교수
논문
1975 「한국 도예작품이 지닌 역사적인 고찰-작품제작의 정립을 위한 방향」
2001 「불의 예술, 도자기」
수상
2008 대한민국 보관문화훈장
2008 대전광역시 시민대상
2000 한국가톨릭미술 공예부문 본상
1999 대전광역시 미술대전 초대작가상
1984 한국미술문화대상전 초대작가상
1974 충청남도지사 감사패
1969 충청남도 문화상
1969 대전시장 감사장
1962~1978 국전 공예부 입선 17회 및 특선 2회
개인전
대전시립미술관 이종수 '5주기' 展 (2013)
대전시립미술관 '겨울열매' 展 (2008)
아주미술관 '달을 품은 어머니' 展 (2005)
서울 가나아트센터 기획초대 展 (2003)
서울 정송갤러리 도자기 展 (1997)
서울 정송갤러리 도자기 展 (1995)
서울 정송갤러리 도자기 展 (1993)
서울 정송갤러리 도자기 展 (1992)
서울 정송갤러리 도자기 展 (1991)
서울 정송갤러리 도자기 展 (1990)
대전문화원 도자기 展 (1989)
서울 정송갤러리 도자기 展 (1988)
일본 동경 한국문화원 도자기 展 (1988)
서울 정송갤러리 도자기 展 (1987)
서울갤러리 도자기 展 (1986)
대전 반도화랑 도자기 展 (1984)
대전 신신화랑 도자기 展 (1982)
서울 고려화랑 도자기 展 (1982)
단체전
서울 이화익 갤러리 'A Homage to Lee Jong-Soo' 展 (2009)
미국 샌디에고시립대학 LRC홀 '한국도예의 전통과 변형' 展 (2003)
일본 한국도산학술연구원 소에다오구홀 '마음의 향 시리즈' 展 (2000)
중국 경덕진 도자아카데미 '국제도자展' (1999)
대전시립미술관개관기념 '공간확산展' (1998)
미국 뉴욕 단갤러리 '뉴욕국제미술제' (1994)
국립현대미술관 '한국현대도예 30년展' (1994)
미국 샌디에고 하이드갤러리 '한국현대도예展' (1993)

<이종수 교수>

이종수(李鍾秀, 1935년 1월 1일 ~ 2008년 8월 6일)는 한국의 도예가이며,
출생지는 대전이며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도예가 이종수(李鍾秀)는 1935년 대전 출생으로, 서울대 미대 응용미술과를 다니던 시절 처음 
도예를 접했고, 1964년부터 1975년까지 대전실업대 교수를, 1976년부터 이화여대 미대 교수를 
역임하다가 1979년에 교수직을 사임하고 전업 도예가의 길로 들어섰다.[1]
현대 도예에서 흔히 사용되는 가스가마를 사용하지 않고, 손수 흙벽 오름새가마
(여러칸의 가마, 登窯)를 만들고 장작을 때서 마치 옛 도공처럼 작업을 하는 모습은 그의 
고집스러운 예술혼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다.
그의 작품들은 크게 유백색 빛이 나는 백자들과 겉이 터지고 갈라져 마른 땅을 연상시키는 
작품들 군(群), 그리고 디자인적인 도안에서 출발한 조형적인 작품들,
추상충동을 느끼게 하는 자유로운 형태의 작품들로 분류될 수 있다.
그의 모든 작품들은 그릇(器)의 형태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도예 전통의 맥락 가운데 현대의 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그러나 전통의 어떤 측면을 되살리려 시도하는 것이 아니라 전통적인 제작 방법을 계승하되
동시대인의 정신을 담아내고 있다는 점이 남다른 지점이다. 
도자기 제작에서 불을 가장 중시하여 ‘불의 예술이며, 기다림의 미학’이라는 말을 남겼다.
주요 작품으로는 「마음의 향(鄕)」,「잔설(殘雪)의 여운(餘韻)」,「경(景)」,「겨울열매」등이 있다.

도예가 이종수씨가 가마 옆 생활공간인 수졸재 툇마루에 앉아 있다.

*****************************************************************************
작품보기

잔설의 여운,점토질,1991
잔설의 여운,점토질,1996
잔설의 여운,점토질,1989
마음의 향,점토질,2002
마음의 향,점토질,2002
백자다완
찻잔과 주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