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레믹스(A331920) | Snapshot | 기업정보 | Company Guide
셀레믹스 331920 | 홈페이지 홈페이지http://www.celemics.com 전화번호 전화번호02-6746-8067 | IR 담당자 주소 주소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31, A동 19층 및 20층 2004호 KOSDAQ 코스닥
comp.fnguide.com
- 저평가 분석 및 하반기 수축계약 확보 기대감 등에 강세 4,840원(+8.89%) - 2023.06.26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기술력 및 지분가치 대비 현재 시총은 매우 저평가 상태라고 판단.
NGS 기술력을 바탕으로 PCR보다 정확하고 NGS보다 저렴한 BTseq 시퀀싱 솔루션을
제공하며 기존 타겟 캡쳐 키트 외 사업 영역 다각화를 지속하고 있다고 언급.
또한, 관계사 IMBdx(지분 12% 보유)는 혈액 액체생검 진단 기업으로 아스트라제네카와
표적치료제 동반진단 협력을 진행중이며, 현재 기술성 평가 진행 중으로 상장 시 동사에
수혜가 기대된다고 언급.
▷아울러 ASCO 2023에 참가하여 최근 개발한 고형암 분석패널을 공개하는 등 해외 고객사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지속중이며, 이에 따른 하반기 수출계약 확보가 기대된다고 언급.
- 최대주주 변경 속 급락 5,280원 (-14.84%) - 2023.04.10
▷지난 7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가 김효기(특수관계인 1인)로 변경 공시.
변경 후 최대주주의 소유 비율은 6.73%(549,279주)임.
- 美 매사추세츠주 공공조달 시장 진출 소식에 급등 6,860원(+14.52%) - 2023.02.15
▷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매사추세츠주 주정부와 공공기관, 대학 등에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공공조달 시장에 진출하게 됐다고 밝힘.
동사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경영대 글로벌공공조달연구센터가 국내 기업의 미국 조달시장
진출을 돕기 위해 기획한 국제입찰 프로젝트에 선정됐으며, 이를 통해 매사추세츠주
공공조달업체의 자격을 얻게 됐으며 기간은 2029년까지로 전해짐.
▷한편, 이번 매사추세츠주 공공조달의 핵심 제품인 전장엑솜분석
(WES, Whole Exome Sequencing) 패널은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에 공급을 시작하는 등 제품
경쟁력을 확인한 바 있고 올해 동사의 해외사업 확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품목인 것으로 알려짐.
- 아프리카돼지열병 염기서열분석 제품 개발 성공 소식 등에 급등
30,400원 (+10.14%) - 2020.11.24
▷동사는 언론을 통해 아프리카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 ASF) 바이러스 2형 유전자형
(Genotype II) 26주를 일괄 분석할 수 있는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제품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힘.
이번에 개발한 'ASFV all-in-one 패널'은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를 전문적으로 분석하는
NGS 기반의 체외진단 제품임.
▷한편, 신한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글로벌 6개 업체만이 상용화에 성공한 타겟 캡쳐 키트를
개발 및 상업화에 성공했으며, 향후 관련 매출 고성장까지 기대된다는 점 감안 시 현 주가는
Peer 대비 과도한 저평가라고 분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0,000원 → 43,000원[상향]
- 국내 유일의 타겟캡쳐키트 개발업체 Not Rated - IBK투자 - 2020.07.24
동사의 주력제품은 타겟캡쳐키트 Target Capture Kit) 이다
타겟캡쳐키트는 NGS 유전자검사에서 시약 소재 처럼 사용된다
타겟캡쳐키트를 생산하는 국내 업체는 셀레믹스가 유일하다
타겟캡쳐키트는 반응성이 중요한데 시약의 반응성이 낮거나 불규칙하면 검체에서 돌연변이
유전자를 효율적으로 찾아내기 어려워진다
실제 검체에 돌연변이 유전자가 존재하지만 시약의 성능이 떨어져 음성으로 표시되는
빈도수가 증가한다면 검사 시퀀싱 양을 늘릴수 밖에 없고 이로인해 검사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동사의 타겟캡쳐키트는 반응성과 성능이 좋아 시장 점유율을 점진적 높여가고 있는 상황이다
향후 실적은 타겟캡쳐키트를 중심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동사의 타겟캡쳐키트 매출액 추이는 2018 년 16억원에서 2019 년 32억원으로 증가하였으며
올해에는 49억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IPO 밸류에이션 추정손익계산서의 실적 목표치에 따르면 2022년 매출액은 175억원이다
기존 고객사 (유전체 검사기관 IVD 등)향 공급 추이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외 신규 고객사 확보로 외형을 키워간다는 전략이다
B Tseq(Barcode tagging sequencing) 의 상용화도 올해부터 시작되서 내년에 19 억원의 의미있는
매출액을 목표로 하고 있다 B Tseq 는 자체 개발한 클로닝 기술인 MSSIC 를 기반으로 NGS 의
단점을 개량한 유전체 분석솔루션으로 Sanger 기술을 대체한다는 목표이다.
밸류에이션 Peer 그룹으로 랩지노믹스 씨젠 바디텍메드 나노엔텍의 4 개사를 선정하였다
비교대상기업의 1Q20 실적을 연환산한 2020E 평균 PER 32.18 를 적용하였다
셀레믹스의 2022 년 추정순이익 96 억원을 연할인율 10.8%로 할인한 2020년말
현가는 78억원이다
할인된 순이익 78 억원을 기준 비교가치평가한 셀레믹스의 적정 시가총액은 2,536억원
주당평가액 30,753원이다 .
산출가에 할인율 34.7~47.5% 을 적용한 공모가밴드는 16,100~20,000 원이다.
'제약 바이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바이오랩 348150 (0) | 2020.11.30 |
---|---|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 347740 (0) | 2020.10.07 |
박셀바이오 323990 (0) | 2020.09.28 |
제넨바이오 072520 (0) | 2020.09.08 |
한국파마 032300 (0) | 2020.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