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우경 도예전 - ‘K-POT의 첫 길’전
전시기간 : 2022.05.04(수) ~ 05.08(일)
전시장소 : 하동야생차박물관서(경남 하동군 화개면 쌍계로 571-25)
하동군은 제25회 하동야생차문화축제를 맞아 4일부터 8일까지 5일간 화개면 소재 하동야생차박물관에서
‘홍우경 케이팟(K-POT) 작품 전시회’를 개최한다.
경기도 이천 출신인 도예가 홍우경 작가는 도자기 공장을 한 조부 홍순환, 현대 도예의 전설적 물레대장인
부친 홍재표 도예인의 계보를 잇는 3대 명문 도예가 집안으로, 단국대 도예학과를 졸업하고
2005년부터 하동 고전면 명교마을에서 활동하고 있다.
‘K-POT의 고향, 하동’을 주제로 한 이번 전시회에는 K-POT, 차(茶)통, 물항아리 모두 3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K-POT은 ‘차(茶)관’이라고도 하며 이는 차(茶)잎을 담고 뜨거운 물을 담아서 우려낸 뒤 먹을 수
있도록 하는 도구다.
K-POT의 고향을 하동으로 만들어 주기 위해 전통 방식(물레)으로 만든 후 1270도 온도에서 도자기를 굽는다.
다른 도자기와 다른 특징은 달항아리의 제작 방법을 응용한 물대 없는 찻그릇(茶罐)이란 점이다.
우려진 찻물이 나오는 물대를 없앤 그릇은 대상에 대해 체계화된 고정 관념을 깬 결과물이다.
물성이 야물고 단단한 백자로 만들어진 이 작품은 차를 우리면 다관(茶罐)이지만, 커피 드립에 사용되면
드립서버(drip server)가 된다.
낯설지만 본연에 충실하고, 단순하지만 과감한 형태를 취한 이 시대의 다양성, 보편성을 획득한 그릇이다.
바로 이 K-POT의 첫길, 첫걸음은 하동에서 시작된다.
그러므로 한국 차의 대표적인 고향 하동이 바로 세계화로 나아갈 한국 그릇 ‘K-POT’의 고향이 된 셈이다.
홍우경 작가는 “‘K-POT’ 작품을 전시하면서 하동이 ‘케이 팟’의 고향임을 선포하는 것은 역사적·문화적으로
아주 뜻깊은 일이다.
우리의 차가 있으니 우리의 문화가 있고, 그 문화 속에서 세계로 뻗어나갈 우리만의 도구가 만들어져야 함을
제시하는 것이기 때문”이라며 그 길의 시작인 K-POT의 고향이 바로 하동(河東) 임을 재차 강조했다.
'전시회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 백자 다이닝> - 송민호, 김민선 (0) | 2022.05.05 |
---|---|
대한민국 찻사발 200인 초대전 (0) | 2022.05.04 |
홍완표 제3회 개인전 - ‘분청의 봄나들이’ (0) | 2022.05.03 |
문경도자기명품전, 문경도자기 한상차림전 (0) | 2022.05.01 |
문경도자기소원희망전 (0) | 2022.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