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ES2018에서 찾은 IT 시장 IDEA – 제4차 산업혁명 - 신한투자 - 2018.01.16 http://hkconsensus.hankyung.com/apps.analysis/analysis.downpdf?report_idx=460151
제4차 산업혁명 – 아직 시작 단계에 불과. 초연결 시대
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은 IoT, 빅데이터, 인공지능, CPS이며, 핵심 키워드는 “Data”
Data를 활용할 수 있는 업체가 헤게모니를 장악할 것. 반도체는 Data를 처리하는 핵심 부품. 메모리 반도체는
제 4차 산업 혁명의 핵심 소재
- 인공지능·IoT·클라우드… 거세지는 4차 산업혁명- 한국경제 - 2017.12.26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7122538491
- 4차 산업혁명 정책이 발동 관련주에 주목- 하이투자증권- 2017.07.20
문재인 정부는 전날 향후 정책집행의 로드맵 역할을 할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국가비전 달성을 위한 실천전략으로서 5대 국정목표와 20대 국정전략, 100대 국정과제를 선정했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혁신 창업국가 관련해서는 과학과 기술의 혁신,
전 산업의 지능화, 제도개혁, 교육 공공 사회 혁신 등을 통해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가 창출되는 국가로
도약하자는 것이 골자"라며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초지능, 초연결 기술을 확산하고 핵심기술 개발,
신산업 육성을 통해 일자리 및 성장동력을 확보해 나간다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ICT 르네상스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기반을 구축할 예정"이라며 "2017년 사물인터넷(IoT)
전용망 구축, 2018년 10기가 인터넷서비스 상용화, 2019년 5G를 조기 상용화 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5G 및 IoT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뿐만 아니라, 데이터 개방 및 유통 활성화 등을 통해 스마트홈, 정밀의료 등
ICT융합 서비스 발굴 및 확산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고부가가치 창출 미래형 신산업 발굴 및 육성의 경우는 전기차 수소차의 획기적 보급 확대, 자동차-ICT
융합 플랫폼 구축 등 스마트카 개발 및 자율주행차 산업 육성과 지능형 로봇, 3D프린팅, AR VR, IoT가전,
스마트선박, 나노 바이오, 항공 우주 등 첨단기술 산업 육성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고 소개했다.
또한 제약 바이오 마이크로의료로봇 등 의료기기 산업 성장 생태계를 구축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하이투자증권은 ▲지배구조 및 융합플랫폼(엔씨소프트, 카카오, NAVER) ▲스마트카(에코프로, 엘앤에프,
일진머티리얼즈, 포스코켐텍, 삼화콘덴서, 우리산업, MDS테크, 해성디에스, 유니퀘스트, 한라홀딩스)
▲스마트 팩토리(SK, 에스엠코어, LS산전, 포스코ICT) ▲통신인프라(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대한광통신,
오이솔루션, 케이엠더블유, 이노와이어리스, 엔텔스) ▲블록체인(삼성에스디에스) ▲의료용 로봇(고영, 큐렉소)
▲지능정보기술(효성ITX, 유비벨록스, 아이콘트롤스, KT뮤직, 에스원) ▲바이오헬스(코오롱, 오스템임플란트,
비트컴퓨터) 등의 관련 투자유망주를 제시했다.
-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날로 뜨거워지고 있다. - 대신증권 -2017.03.30
단기 소멸 이슈가 아닌 수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메가트렌드라는 점에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도 4차 산업혁명을 지원하고 선도하기 위한 정책들을 발표하고 있다.
2016년에는 ‘제조업 혁신 3.0 전략’을 발표했다.
2020년까지 1만개 공장의 스마트화를 추진하고 무인항공기, 자율주행자동차 등의 혁신 제품에 대한
실증 및 시범사업을 위해 법, 제도 등을 개선하기로 했다.
대신증권 전략리서치팀 30일 “지난해 다보스포럼에서는 4차 산업혁명 기반 기술을 크게 디지털, 물리학,
바이오 세 부문으로 분류했다”며 “당사는 각 부문별로 다시 세분화해 유망 기업을 선별해 봤다”고 밝혔다.
먼저 사물인터넷의 주요기술로 대신증권은 인공지능, 클라우드, 로보틱스, 드론, 3D프린터, 가상현실을 꼽았다.
유망 기업과 관련해 대신증권 전략리서치팀은 “4차 산업혁명 관련 글로벌기업으로 알파벳(Alphabet),
퀄컴(Qualcomm) 엔디비아(Nvidia), 아마존(Amazon), 페이스북(Facebook)이 대표적이나 우리나라는
아직 뚜렷한 성과를 내고 있는 기업이 많지 않다”며 “다만 관련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 및 투자를 하고
있어, 가까운 시일내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은 기업들을 유망 기업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국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핵심 기업들은 대부분 IT 기업들로 구성돼 있다.
특히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동시에 개발하고 있는 IT 기업들이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이와관련해 선정된 종목은 삼성전자, NAVER, 퓨전데이타, 어보브반도체, 삼익THK이다.
▲삼성전자는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반도체(시스템반도체 포함), 그리고 가상현실 등 대부분의 4차
산업혁명과 연관된 사업을 수행하고 있어 유망기업으로 선정됐다.
▲NAVER는 자율주행, 로보틱스, 인공지능기반 대화시스템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연구를 가장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어 선정됐다.
▲퓨전데이타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기술인 가상화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 국내 클라우드
시장이 커짐에 따라 수혜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어보브반도체는 사물인터넷의 핵심 칩인 MCU(Micro Controller Unit)와 통신칩 제조기업으로 공급량이
늘어 날 것으로 전망된다.
▲삼익THK는 반도체 및 자동차 생산 공정에서 사용되는 자동화 기기 및 시스템 전문기업으로 산업용
로봇분야의 우수 유망기업으로 선정됐다.
'경제.금융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 換率 / exchange rate (0) | 2017.04.18 |
---|---|
경기 회복 사이클은 어떻게 끝나게 될까? (0) | 2017.04.04 |
금리 金利 interest rate (0) | 2017.03.11 |
'땅땅' 거리며 사는 법 (0) | 2017.03.11 |
9월부터 국민연금 앞당겨 받았더라도 재납입 가능 (0) | 2017.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