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 소식

하지훈, 허승희, 박서희 3인전 ; <곁 : 일상으로 부터>

썬필이 2024. 6. 12. 00:02

전시제목 : 하지훈, 허승희, 박서희 3인전 ; <곁 : 일상으로 부터>
전시기간 : 2024.06.07(금) - 06.24(월) 10:30am - 6:30pm
전시장소 : 아르떼케이(서울 강남구 언주로172길 24)

전시 《곁: 일상으로부터》는 한국 전통 가구를 현대의 쓰임에 맞게 재해석하는 하지훈과 
국내외 박물관과 미술관에 소장된 문화재를 회화의 소재로 사용하는 허승희,
 ‘조선백자의 현대화’를 이야기하는 박서희의 도자 작업을 선보인다. 
그리고 오래전부터 일상에 자리했던 공예품인 가구와 연적, 도자를 동시대적 관점으로 
재해석한 세 작가의 작업을 공예와 예술을 구분하는 이분법적 사고를 
벗어나고자 하는 시도로 바라본다.
한국의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가구를 디자인해온 하지훈에게 전통은 보존되어야 하는 
대상인 동시에 시대에 맞게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야 하는 존재다. 
이러한 사유는 소반을 모티프로 한 작업에서 두드러지게 드러난다. 
그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재료 삼아 <투명 반>을 제작하거나, 강원도 통소반의 디자인에 
알루미늄을 활용한 <원형 반>을 만듦으로써 현대 재료와의 결합을 보여준다. 
나주 소반을 의자로 재구성한 <나주 의자>는 나주 소반이 지닌 구조의 미학을 이어가면서도 
입식 문화로 바뀌어 가고 있는 현대의 공간과 쓰임에 발맞춘 디자인을 보여준다.
허승희는 조선시대 백자와 연적을 캔버스에 옮겨 그리는 작업을 통해 문화재의 아름다움과 
섬세함을 표현한다. 최근에는 연적의 형태와 문양에 담긴 평안, 재물, 화목 등의 의미를 살피는 
작업을 집중적으로 전개한다. 
문화재 복원 모사를 진행하는 연구자이기도 한 작가의 작업은 실증적인 사고에 바탕을 둔 
고증과 문화재에 내재된 미학의 현대적 재구성 사이에 위치한다.
순도 높은 백색의 흙 위에 돌과 물, 나뭇잎과 같은 자연물을 연상시키는 다양한 빛깔의 유약을 
입히는 과정을 통해 탄생한 박서희의 도자기는 조선백자의 현대화에 초점을 둔다. 
형태와 장식적으로 기교를 많이 부리지 않아 오래 바라보아도 질리지 않는 조선백자에 매력을 
느꼈다고 말하는 그의 도자기는 전통 유물 형태와 장식에서 영감을 얻어 재구성되었음에도 
조선백자의 고유한 특징 중 하나인 부드러운 곡선 형태를 유지한다.
이처럼 세 작가는 전통이 되어버린 과거의 일상에 자리했던 공예를 현재의 일상에 위치시키며 
예술과 공예 사이에 존재하는 위계에서의 탈피를 모색한다. 
이때 작가들은 공예와 순수예술을 구분 짓는 요소이자 공예의 태생적 특징인 일상성과 
실용성에서 벗어나려 하지 않는다. 
일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하지훈의 가구와 손을 통해 이루어지는 물레성형 기법으로 제작된 
박서희의 도자기는 인간 신체와 관계된 사물이며, 물리적 목적과 기능을 위해 만들어진 존재로 
정의되는 공예품의 본질을 담고 있다.
* 연적의 문양과 형태에 담긴 의미를 그려낸 허승희의 회화는 글씨나 그림을 그리는 도구가 
아닌 곁에 두고 관조하며 즐기는 용도로 기능하는 연적을 보여준다. 
세 작가의 작업은 거대 담론의 시대였던 모더니즘과 작가가 선택하고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작품이 된 오브제의 등장을 지나 개인이 지닌 개별적인 서사와 일상이 예술이 되는 동시대와 
조응하며 공예와 예술의 경계를 흐린다. - 글: 안유선 (arte k)

하지훈 作 반닫이 시리즈 - 2024
박서희 Polygonal Bowl. container, 자기 - 2024
허승희 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