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발 관세 여파, KOSPI 하단 2,380pt - DS투자 - 2025.04.04
미 정부 관세 이슈 Summary
- 트럼프 대통령4/2 국가긴급경제권한법(IEEPA)을바탕으로보편관세+상호관세계획 발표
- 전세계 국가보편관세10% 4/5 적용예정
- 국가별 대미적자 수준에따라 부과되는상호관세는 4/9 적용예정
(상호관세=보편관세10% + +α)
- 최종 관세 레벨은보편관세+상호관세가아니라,상호관세로봐야 함.
최종 관세 레벨은 4/9 확정 예정
- 보편 관세 발표이후 상호관세 발표까지시간차가 존재.
여타국들과의협상의여지를 열어둔것으로 해석해볼수 있음
- 미 정부는 이번 관세 조치를 통해 중국과의 무역전쟁 전면전의 시작 시그널을
드러낸 것으로 보임
- 이번 상호관세조치로인해 대중관세 레벨은30%~54%
(기존20% + 상호관세10~34%)까지 확대될예정
KOSPI 역사적 지지선 12M/F PBR 0.8배
미 정부의금번 관세조치로 인한한국의 영향은제한적일전망.
이미KOSPI는관세 리스크를상당 부분 반영했다고판단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업종인 자동차(25%)와 철강(25%) 산업에 대한 관세 정책은
이미 집행 중. 전체 관세율이 높아진 중국과 달리 미국의 한국에 대한 금번 상호관세 레벨은
이전 산업 관세 수준에서 확인된 25%.KOSPI 약세 심화를 야기할 추가 악재는 아니라고 판단.
오히려 중국대비 관세부담이 낮다는관점에서외국인저가 매수세유인으로작용할 가능성
KOSPI 12M/F PBR은 경제 위기 국면이 아닐 시 역사적으로 0.8배에서 높은 지지력을 보유.
글로벌 무역전쟁 전선 확대로 인한 투자 심리 악화를 고려 시 장기평균(10y) -1std 수준인
12M/F PBR 0.8배 수준까지의 일시적인 조정은 감안할 필요(-4%).
이에 따라 당사는 이번 국면에서 KOSPI 하단을 2,380pt로 제시
대응 전략측면에서관세 리스크가제한적이거나관련 리스크를선반영한업종 비중확대 권고
1. 엔터& 인터넷→ 관세 리스크저항력보유
2. 자동차& 철강 → 관세 리스크선반영에따라 저가 매수세유입기대
한 줄 요약: 금번 상호관세의 표적은 중국. KOSPI 약세 심화 야기할 추가 악재는 아니다
'주식시장 투자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런 버핏, “주가 하락 때 주식 매도는 바람직하지 않아” (0) | 2025.04.06 |
---|---|
글로벌 자산전략 : Trump Scenario (0) | 2025.03.18 |
공매도 재개에 따른 수급 영향 (1) | 2025.03.14 |
트럼프 시대의 투자전략 : 러시아가 온다 (0) | 2025.03.13 |
3월 KOSPI 전망 - 한국 쎄다 (1)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