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청자
조선 청자는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청자를 말한다.
조선 시대는 흔히 백자의 시대라고 한다. 하지만 극히 적은 수이지만 청자도 계속해 만들어졌다.
그런데 조선 청자는 백자를 만드는 태토를 사용해 그 위에 청자 유약만 발랐다는 점에서 고려 청자와
결정적으로 다르다.
조선 청자는 푸른색 효과를 강조하기 위해서인지 문양이 없는 것이 거의 대부분이다.
또 도자기의 형태, 즉 기형(器形)을 보아도 고려 청자에 보이는 것처럼 상형 청자나 향로와 같이 형태가
복잡한 것은 거의 없다.
조선시대 만들어진 청자는 특별한 목적 아래에 어느 시기에만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정설은 없다.
다만 시기적으로 17세기까지만 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또 『광해군일기』에 ‘사옹원 사기는 대전(大殿)에는 백사기를 사용하고 동궁(東宮)은 청자기를 사용한다’는
내용이 나와, 푸르다는 것을 젊고 어리다는 의미로 해석해 ‘동궁전’에 한정해 사용한 것은 아닌가 짐작하고 있다.
- 스마트K에서
'도자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호다완에 대하여 (0) | 2018.08.09 |
---|---|
달 항아리 (0) | 2018.08.05 |
조선막사발 터 홍보는 '역사왜곡'이다 (0) | 2018.08.04 |
백자의 종류 및 제작방법과 표현기법 (0) | 2018.08.03 |
정호다완은 막사발이 아니라 제기였다. (0) | 2018.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