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백자 국화형 합(高麗白磁菊花形陰盒) 12세기후반 지름10.3cm :
2008년6월18일 서울옥션 제111회미술품경매 Lot.145, 7000만원 낙찰
실제로 최건 전경기도박물관장의 말에 따르면 청자 도요지 근처에는 대개 백토가
소량이지만 나고 있다고 합니다.
즉 대개의 고려청자 가마에서는 청자와 백자를 함께 구웠던 것입니다.
이들 일련의 고려백자는 당시의 사정을 말해주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백자완은 안쪽에 연판문을 두르고 그 속에 꽃문양을 넣었습니다.
그리고 살짝 보이는 굽을 보면 해무리 굽입니다.
굽은 바닥면과 닿는 부분을 말합니다. 초기 청자완은 굽에 특징이 있습니다. 해무리굽입니다.
이는 월주 가마의 전매특허라 할 수 있습니다.
초기 청자에는 월주식 그대로 마치 해무리가 진 것처럼 둥근 테가 넓적하게 굽을 이룹니다.
이 백자완에도 그와 같은 굽이 보이고있습니다.
'도자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자 음각연엽문 합 (0) | 2019.09.04 |
---|---|
고려백자 음각연화파어문 탁잔(高麗白磁陰刻蓮花波魚文托盞) (0) | 2019.09.03 |
고려백자 양각화훼문 완 高麗白磁陽刻花卉文碗 (0) | 2019.09.02 |
분청사기 상감어문 병 粉靑沙器象嵌魚文甁 (0) | 2019.09.02 |
분청사기 인화문병 粉靑沙器印花文甁 (0) | 2019.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