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조선시대의 지성이었던 다산(茶山)은 ‘차를 마시는 민족은 흥하고, 마시지 않는 민족은 망한다’고 했습니다. ‘차를 마신다’는 말은 ‘차를 아는’ 것으로 바꿔 이해해도 좋을 것입니다. 다산의 시대는 깊은 모순과 부패로 인해 조선왕조의 붕괴조짐이 현저하던 때였는데, 그런 상황에서 너무나 하찮게 보이는 차 마시는 일을 들고 나와 민족흥망이 차와 관련 있다고 한 까닭이 무엇이었을까요? 차는 다산의 시대에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 중국과 우리나라는 대략 2천여 년 정도의 역사를 지녀왔고 일본도 1천여 년 전부터 차를 알고 있었습니다. 여기에 대답하기 위해 쓰여진 것이 해남 대둔사 승려 초의(草衣)의 ‘동다송(東茶頌)’이었던 것 같습니다. ‘동다’라는 말을 중화론적 세계관 또는 중화사대주의 폐습대로 해석한다면..